사건별 검색
TOTAL. 4,004 건
-
파리장서비(대교공원)
파리장서사건은 1919년 파리강화회의에 보내기 위해 한국독립을 호소하는 서한을 작성한 사건이다. 3·1운동이 전국적으로 전개되자 유림측에서도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되는 강화회의에 한국독립을 호소하는 장문의 서한을 작성하였다. 이 사건은 전에 의병을 일으켜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던 호서지방의 유종(儒宗)인 전 승지 김복한(金福漢)을 중심으로, 대부분 의병에 참여하였던 김덕진(金德鎭)·안병찬(安炳瓚)·김봉제(金鳳濟)·임한주(林翰周)·전양진(田穰鎭)·최중식(崔中軾) 등에 의해 이뤄졌다. 일본의 배신행위와 명성황후와 고종의 시해, 그리고 한국주권의 찬탈과정을 폭로하고 한국독립의 정당성과 당위성을 주장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이 호서지방 유림들의 활동이 전개되고 있을 때, 영남유림에서도 곽종석(郭鍾錫)·김창숙(金昌淑) 등이 필두로 같은 목적의 일이 추진되고 있었다. 그 뒤 영남유림은 이런 사실을 알고 영남본(嶺南本)을 전용학(田溶學)에게 주며 홍성으로 가서 호서본(湖西本)과 비교, 검토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교정본이 작성되기 전에 파리강화회의 대표로 선정된 김창숙이 시급히 상해(上海)로 출발하게 되었다. 이에 서울유림들은 영남본이나 호서본의 내용이 서로 뜻이 같으나, 영남본이 호서본보다 포괄적이면서도 뜻이 명확하다는 여론에 따라 김창숙에게 영남본을 주어 출발시켰다. 그리고 장서 말미에 134명 유림대표가 서명하였으며, 대표파견 경비는 황일성(黃佾性)이 조달하였다. 그러나 장서는 김창숙이 파리로 가져가지 못하고, 당시 신한청년당(新韓靑年黨) 대표로 선정되어 파리에 가 있던 김규식(金奎植)에게 송달되었으며, 또한 국내 각 향교에도 우송되었다. 그런데 같은 해 4월 12일경상북도 성주의 만세시위운동에 관련되어 일본경찰에 붙잡혔던 송회근(宋晦根)에 의해 사건이 발각됨으로써 관계자들이 피체되어 옥고를 겪었다. 호서 출신 김복한 등 17인이 파리강화회의에 보내기 위한 서한을 작성하였으며 이를 기념하기 위해 파리장서비를 건립하였다.
-
병오항일의병기념비
丙午抗日義兵記念碑(병오항일의병기념비) 이청천 서. 이청천이란 이명을 지닌 한국 광복군 총사령관이었던 지청천 장군이 썼으며 1952년 건립되었다. 홍주의병은 전 이조참판 민종식을 중심으로 농민, 유생, 구관리 등이 창의하여 현재의 예산군 광시면에서 출발, 부여군의 홍산면을 거쳐 남포를 지나 홍주성을 탈환하였다. 그러나 우세한 일본군의 화력 앞에 무너지면서 수백명이 전사하고 말았는데, 당시 일본군이 의병들의 시체를 매장하기도 하였으나, 많은 의병들의 시체가 40여 년 간 홍성천과 남산부근에 방치된 상태로 남아 있었다. 이에 해방된 이후 그들의 유골을 남산에 안치하고 '병오항일기념비'를 세우며 추모제를 지냈는데, 1949년에 현재의 의사총이 있는 구릉에서 또 다른 많은 유골들이 발견되면서, 이 유골들이 옛 홍주의병들의 유해임이 고증되었고, 그 연고로 인하여 현 위치에 새로이 의사총을 조성하게 되었다. 그 후 홍주의사총은 성역화 작업이 이루어지면서 오늘에 이르고 있다.
-
홍주동학기념비
오관리 세광아파트와 목빙고 옆에 있는 홍주동학기념비, 홍주동학군은 이곳 고지에서 일본군과 관군이 있는 홍주성을 공격했다. 1895년 일본군이 철수한 이후 2월까지도 동학도를 체포하는데 혈안이 됐다. 일본군이 노린 것은 접주들이었으며, 동학을 초멸하려면 간부격인 접주들을 체포해야 한다는 방침을 세웠던 것이다. 이는 관군을 물리친 여세를 몰아 홍주의 동학군들은 예산으로 진입해 관아를 습격한 다음 삽다리(삽교)쪽으로 옮겨가 이 일대를 점령하고 유숙했다고 한다. 1985년 11월 6일의 ‘양호우선봉일기’에는 덕산의 삽교천변에 이르러서 보니 “지푸라기가 연달아 깔려 있고 빈 볏섬도 널려 있었다. 불을 피운 자국과 밥을 지은 흔적이 수리에 걸쳐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 다른 기록에는 “27일 오후에 발진하여 동군 덕산(德山)의 역촌 뒤뜰에서 유숙하고 익일은 즉, 28일은 대신사주 탄신기도일이라 역촌 후일에서 기도하고 즉발 홍주군(洪州郡)”이라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기록으로 볼 때 관군들은 해미에서 덕산을 거쳐 홍주(洪州)로 이동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대목이다. 이는 연전연승한 동학군이 27일 저녁에 덕산에 진출하여 작전회의를 갖고 홍주성(洪州城) 공격을 결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
최명용 묘
최명용(1891-1965)은 충청남도 서산군 태안면 어은리에서 최중식(崔中軾)의 아들로 태어났다. 15살 때 홍성군 결성면 형산리로 이주했고 부친과 동문 수학했던 김복한의 문인이 되었다. 17살 때 고령 박씨와 결혼한 그는 1919년 홍성군 홍동면에서 발발한 3.1 운동에 참여했다가 경찰에 체포되어 며칠간 구류되었고, 이후로는 요시찰 인물로 지목되어 감시를 받았다.1920년, 최명용은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파견된 이시영의 조카 이규준(李圭俊), 이강인, 민창근 등과 연락을 맺고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했다. 그러나 1921년 2월 22일 경찰에 체포되었고, 그해 10월 15일 공주지방법원에서 제령 제7호 위반 혐의로 징역 1년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1927년 유교부식회(儒敎扶植會)를 조직하여 유교사상에 입각한 인도주의와 민족의 독립정신을 고취하는 교화운동을 전개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86년 최명용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고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
-
김봉안 묘
김봉안은 충남 홍성군(洪城郡) 금마면(金馬面) 가산리(佳山里)와 홍성 시장에서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전국 각지에서 독립만세운동이 일어나고 있을 때 금마면 가산리에서도 이에 호응하여 가산리 이원교(李元交)의 집에서 연극이 공연되고 있을 때 만세운동을 일으키기로 계획하였다. 1919년 4월 1일 밤 임시 공연장에 모인 30여 명의 관중은 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를 시작했다. 하지만 곧바로 일제 경찰에 의해 해산 당했다. 만세운동이 일경에 해산 당하자, 이들은 이튿날 홍성 장터로 나가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를 펼쳤다. 김봉안은 이날의 만세운동에 참가하였다가 체포되어 1919년 4월 14일 홍성경찰서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태(笞) 90도(度)를 받았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07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
홍범식, 홍명희 집
홍범식(1871 - 1910)의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성방(聖訪), 호는 일완(一阮)이며, 충청북도 괴산 출생으로 참판(參判) 홍승목(洪承穆)의 아들이다. 1888년(고종 25) 진사가 되었으며 1902년 내부주사(內部主事)·혜민서참서(惠民署參書)를 역임하였고 1907년 전라북도 태인군수에 부임하였다. 당시 일제침략에 항거하는 의병이 전국에서 봉기하여 치열한 항일전투를 전개하고 있던 때로서 적극적으로 의병 보호에 힘써 일본군의 체포망을 피하게 하였다. 1909년 금산군수로 부임하여 선정을 베풀어 주민들의 칭송이 자자하였다. 1910년 일제에 의하여 주권이 강탈되자 통분함을 이기지 못하고 목매어 자결하였다. 홍범식이 장남 홍명희 등 가족에게 남긴 유서에는 “기울어진 국운을 바로잡기엔 내 힘이 무력하기 그지없고 망국노의 수치와 설움을 감추려니 비분을 금할 수 없어 순국의 길을 택하지 않을 수 없구나 … 죽을지언정 친일을 하지 말고 먼 훗날에라도 나를 욕되게 하지 말아라.”는 내용이 담겼고 부친의 유언을 모든 집안 자제들이 좌우명으로 삼다고 전해진다. 정부는 고인의 충절을 기리어 1962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홍명희(1888-1968)의 호는 가인(可人), 벽초(碧初)이고, 경술국치 이후 오산학교(五山學校)·휘문학교(徽文學校) 등에서 교편을 잡았고, 1920년대 초반에는 동아일보 편집국장을 지냈다. 1927년, 신간회(新幹會)의 창립에 관여하여 그 부회장으로 선임되었고, 1930년에는 신간회 주최 제1차 민중대회사건의 주모자로 잡혀 옥고를 치렀다. 1945년 광복 직후에는 좌익운동에 가담하고, 조선문학가동맹 중앙집행위원장이 되었으나, 월북하여 요직을 거쳤다. 홍범식 고택은 경술국치에 자결 순국한 홍범식의 고택인 동시에, 사랑채는 1919년 괴산만세시위를 준비하였다고 전하는 3.1만세운동 유적이다. 또한 홍범식의 아들인 임꺽정의 작가 홍명희의 고택으로도 알려져있다.
-
괴산 만세운동유적비
괴산 만세운동유적비는 충청북도 괴산군 수진교 앞 옛날 괴산장터에 위치해있다. 괴산의 3.1만세운동은 충청북도 지역에서 최초로 일어난 만세운동이다. 홍명희(洪命熹)의 주도로 전개되었다. 고종(高宗)의 인산(因山)에 참여하였던 그는 손병희(孫秉熙)를 만나 괴산에서 만세운동을 일으킬 것을 부탁받고, 고향의 인척과 지역 인사를 규합하여 3월 19일 괴산 읍내장터에서 만세시위를 주도하였다. 이후 괴산읍에서는 3월 24일과 29일 그리고 4월 1일까지 만세시위가 전개되었다. 특히 3월 29일 이후의 시위는 괴산읍민들이 자발적으로 나서서 치열하게 전개하였던 만세운동이다. 1919년 3월 19일, 수천 명의 군중이 괴산장터에 모여들었다. 이때 홍명희를 비롯한 만세운동의 주도자들은 장꾼들 앞에서 독립만세를 선창하면서 시위를 주도하였다. 그러자 괴산장터는 순식간에 대한독립만세 소리로 진동하였다. 이에 당황한 일경(日警)이 긴급히 괴산장터로 출동하여 홍용식, 홍명희, 이재성 등 18명을 현장에서 체포하고, 태극기와 독립선언서를 압수하였다. 그러나 오히려 시위군중은 점차 늘어났으며, 그들은 괴산경찰서로 몰려가 사로잡힌 시위군중의 석방을 요구하였다. 3월 24일에도 만세시위가 일어났다. 이번 시위는 홍명희의 동생인 홍성희(洪性憙)를 중심으로 괴산읍의 서기 구창회(具昌會), 괴산군 소수면(沼壽面)의 면서기 김인수(金仁洙) 등과 함께 만세시위를 의논하고 시위를 주도하였으나 곧 일경에 강제로 체포되었다. 홍성희가 붙잡히자 분노한 군중들은 더욱더 거세게 시위를 벌였다. 3월 29일은 장이 서는 날로 오후 6시경 1,500여 명의 군중이 장터에 모여 대한독립만세를 외쳤다. 이 과정에서 많은 군중이 일경과 격돌하였다. 이튿날인 30일에도 만세시위는 계속되었다. 이날도 많은 군중이 경찰서로 가서 경찰과 충돌하였다. 이후 4월 1일에는 1,000여 명의 군중이 면사무소로 몰려가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를 전개하였다. 괴산의 3.1만세운동에는 홍명희뿐만 아니라 홍용식, 홍성희 등 그의 친척과 지인들이 만세시위에 대거 참여하였다. 홍명희는 이른바 일제의 치안유지법을 위반하였다는 죄목으로 1년 6개월을 선고받고 청주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1919년 3월 19일부터 4월 1일까지 주로 괴산장터의 장날을 이용하여 다섯 차례에 걸친 대규모 시위를 격렬하게 전개한 괴산읍의 3.1만세운동은 이후 충청북도 전 지역에서 만세시위가 본격적으로 전개되는 계기가 되었다.
-
홍명희 집
홍명희(1888-1968)의 호는 가인(可人), 벽초(碧初)이고, 홍범식과는 부자지간이다. 홍명희는 경술국치 이후 오산학교(五山學校)·휘문학교(徽文學校) 등에서 교편을 잡았고, 1920년대 초반에는 동아일보 편집국장을 지냈다. 1927년, 신간회(新幹會)의 창립에 관여하여 그 부회장으로 선임되었고, 1930년에는 신간회 주최 제1차 민중대회사건의 주모자로 잡혀 옥고를 치렀다. 1945년 광복 직후에는 좌익운동에 가담하고, 조선문학가동맹 중앙집행위원장이 되었으나, 월북하여 요직을 거쳤다. 충북 괴산에 위치한 홍명희 생가지 표지석이다. 홍명희가 태어난 곳은 홍범식 고택인 [충북 괴산군 괴산읍 동부리 450-1]이지만, 만세운동으로 인해 피체되어 옥고를 치른 후 이사하여 살았던 곳은 이 사적의 주소인 [충북 괴산군 괴산읍 제월리 365]이다.
-
홍범식 묘
홍범식(1871 - 1910)의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성방(聖訪), 호는 일완(一阮)이며, 충청북도 괴산 출생으로 참판(參判) 홍승목(洪承穆)의 아들이다. 1888년(고종 25) 진사가 되었으며 1902년 내부주사(內部主事)·혜민서참서(惠民署參書)를 역임하였고 1907년 전라북도 태인군수에 부임하였다. 당시 일제침략에 항거하는 의병이 전국에서 봉기하여 치열한 항일전투를 전개하고 있던 때로서 적극적으로 의병 보호에 힘써 일본군의 체포망을 피하게 하였다. 1909년 금산군수로 부임하여 선정을 베풀어 주민들의 칭송이 자자하였다. 1910년 일제에 의하여 주권이 강탈되자 통분함을 이기지 못하고 목매어 자결하였다. 홍범식이 장남 등 가족에게 남긴 유서 10여 통은 전해지고 있는데, 그 요지는 “조선 사람으로 의무와 도리를 다하여 빼앗긴 나라를 되찾아야 한다. 죽을지언정 친일을 하지 말고 먼 훗날에라도 나를 욕되게 하지 말라”는 내용이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충절을 기리어 1962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
정원택 공적비
정원택(1890 - 1971)은 1910년에 대종교(大倧敎)에 입교하였으며, 1912년 상해(上海)에서 신규식 등이 조직한 동제사(同濟社)에 가입하여 항일운동을 하였다.1918년에는 파리강화회의에 참석할 사절단의 자금을 간도(間島), 노령(露領)에서 인수하여 전달하였으며 1919년에는 대한독립의군부(義軍府)의 조직에 참여하여 서무를 담당하였다고 한다.1919년 4월에는 의군부의 기밀사(機密事)로 상해(上海)에 출장하여 이동녕(李東寧) 등과 함께 길림(吉林)의 상황을 보고하고 국내에서 새로 온 청년들에게 폭탄제조법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1919년 4월에 개최된 임시정부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선출되어 의정원 회의에 참석하였다. 당시의 임시정부는 재정(財政)의 조달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는데 그 동안은 각 지방에서 모여든 인사들 중에 자금을 가져오는 이도 있었고, 또 각기 가까운 계통을 통하여 자금이 들어오기도 하였지만 정부의 조직 또는 운영을 위하여 이를 솔선하여 공식적으로 희사하는 경향이 적었으며, 또 정부의 조직과 함께 5월에 개최된 제4차 의정원 회의에서는 구급의연금(救急義捐金)의 모집을 결정하고 각 도별로 구급 의연금 모집위원을 선출하였지만 그것이 당장 소기의 성과를 거둘 수도 없는 일이었다. 따라서 신규식(申圭植)·조소앙(趙素昻) 등 임정 요인들은 동년 5월초에 의정원 의원인 김덕진(金德鎭)과 함께 그를 국내로 밀파하여 서울의 정두화(鄭斗和)를 찾아 자금 조달을 원조 받도록 하였다. 그러나 그는 귀국 도중에 일경에게 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
모래재의병 격전유적비
모래재의병 격전유적비는 1908년에 의병장 한봉수를 중심으로 괴산 모래재에서 일본군과 격전을 벌인 것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것이다. 한봉수(1883 - 1972)는 1907년 의병투쟁에 나선 이후 1910년 5월 일제에 피체될 때까지 충청북도 일원은 물론 경상·강원지역 등 광범한 지역을 무대로 20여회에 걸쳐 격렬한 투쟁을 벌인 중부지방의 후기 의병장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평민으로 구성된 소규모의 부대를 이끌고 민중적 기반에서 호응을 받으며 활동하였는데, 번개대장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신출귀몰한 유격전의 명수였다. 그의 투쟁 유형은 일본인 자산가와 친일파 처단, 밀정과 변절자의 응징, 일본군과의 직접 교전, 군자금 모금, 우편행랑의 습격 등 다양하였다. 1910년 피체된 한봉수는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합방대사령(合邦大赦令)으로 면소되어 출옥하였다. 이후 1919년 거족적인 독립운동인 3·1운동이 발발하자 4월 1일 고향인 세교리장터에서 만세시위를 주도하였고, 이튿날에도 내수보통학교 학생들과 장꾼들을 주도하여 만세시위를 주도하다 피체되어 다시 1년간 옥고를 치렀다.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하였다.
-
유해륜 묘
유해륜(1883 - 1956)은 충북 괴산(槐山) 사람이다. 괴산군 소수면 몽촌리(沼壽面 夢村里)에 거주하였으며 이곳 유지로서 경권중(慶權重)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을 계획하였다. 그는 1919년 4월 2일 면민 200여 명을 규합하여 소수면 길선리(吉善里)에 사는 김승환(金昇煥) 면장의 집과 소수면 주재소로 집결하여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시위군중을 주도하다가 일경에 붙잡혔다. 그리하여 이해 4월 23일 공주지방법원 청주지청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0월형을 선고받고 5월 16일 경성복심법원에서 공소 기각되었으며, 6월 16일 고등법원에서 상고 기각되어 1년 여의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