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항일운동
사건설명
국내항일운동
사건설명
TOTAL. 729 건
오철식 묘
오철식(1882-1947)은 충청남도 논산 출신의 독립운동가로 이명은 오재봉(吳再峯), 오명석(吳明石)등이 있다. 1931년 독립운동을 목적으로 설립한 황석공교에 입교하였다. 황석공교는 김영식(金靈植) 등이 독립운동을 목적으로 설립한 종교로서 1936년 말까지 이하익(李夏翼) 등 20여 명의 동지를 규합하였고 이후 황극교(黃極敎)로 개칭하였다. 이들은 황석공소서(黃石公素書)에 의거한 믿음, 사랑, 존경을 교의 기본으로 해서 교도들에게 독립 가능성을 인식시키고 민족사상을 주입시키기 위해 항간에 유포되고 있는 소위 '정감(鄭堪)의 예언'에 따라 천서 16자인 주문을 외우면 '삼재팔난'을 면하게 한다고 선전하면서 교도를 획득하였고, 점차 독립의식을 교양시키고 이면으로는 조선독립의 목적을 가지고 있음을 알려서 결사에 가입하게 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오철식은 1937년 음력 3월 은세룡(殷世龍) 등과 함께 교단 조직에 관해 협의하고 충남 논산군 천호산(天護山)에서 독립을 기원하는 천제[천류(天禷)]에 참가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체포되어 징역 2년을 받아 옥고를 치렀다. 1941년 조국광복을 위해 헌신하다 체포돼 2년 2월의 형을 선고받고 공주와 전주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른 사실이 입증되었다. 정부에서 독립운동 위업을 기리어 2010년 3월 1일 제91주년 3.1절을 맞아 건국포장(제2446호)을 추서했다.
오철식 추모비
오철식(1882-1947)은 충청남도 논산 출신의 독립운동가로 이명은 오재봉(吳再峯), 오명석(吳明石)등이 있다. 1931년 독립운동을 목적으로 설립한 황석공교에 입교하였다. 황석공교는 김영식(金靈植) 등이 독립운동을 목적으로 설립한 종교로서 1936년 말까지 이하익(李夏翼) 등 20여 명의 동지를 규합하였고 이후 황극교(黃極敎)로 개칭하였다. 이들은 황석공소서(黃石公素書)에 의거한 믿음, 사랑, 존경을 교의 기본으로 해서 교도들에게 독립 가능성을 인식시키고 민족사상을 주입시키기 위해 항간에 유포되고 있는 소위 '정감(鄭堪)의 예언'에 따라 천서 16자인 주문을 외우면 '삼재팔난'을 면하게 한다고 선전하면서 교도를 획득하였고, 점차 독립의식을 교양시키고 이면으로는 조선독립의 목적을 가지고 있음을 알려서 결사에 가입하게 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오철식은 1937년 음력 3월 은세룡(殷世龍) 등과 함께 교단 조직에 관해 협의하고 충남 논산군 천호산(天護山)에서 독립을 기원하는 천제[천류(天禷)]에 참가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체포되어 징역 2년을 받아 옥고를 치렀다. 1941년 조국광복을 위해 헌신하다 체포돼 2년 2월의 형을 선고받고 공주와 전주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른 사실이 입증되었다. 정부에서 독립운동 위업을 기리어 2010년 3월 1일 제91주년 3.1절을 맞아 건국포장(제2446호)을 추서했다.
항일 민족시인 7위 추모분향단
충청남도 보령에 위치한 항일 민족시인 7위 추모분향단이다. 이 분향단에 모셔진 시인은 이상화, 한용운, 심연수, 윤동주, 이육사, 김영랑, 오일도이다. 이상화(1901-1943)는 경상북도 대구의 저항 시인으로, 대구고보 재학 시인 1919년 3월 8일 장날을 이용하여 동료와 함께 독립 만세 운동을 주동하였다. 또한 <신라제(新羅祭)의 노래>,<나의 침실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등의 일제에 대한 민족 저항시를 집필해 민족의 독립정신을 고취시켰다. 1935년에는 중국으로 건너가 친형인 이상정(李相定) 중국군 장군과 조국의 독립을 위한 국내 조직을 협의하고 1937년 귀국하였다. 그러나 곧 대구경찰서에 붙잡혀 2개월간 구금되어 고문받고 석방되었다.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다. 한용운(1879-1944)은 충청남도 홍성 출신의 불교인이자 저항 시인이다. 1894년의 동학혁명에 가담하였으나 실패하였고 만주 간도성 등을 다니며 광복 운동을 하다가, 1905년에 인제의 백담사(百潭寺)에서 승려가 되었다. 1919년 3월 1일 오후 2시 인사동의 태화관에 모인 민족대표 33인을 대표하여 그가 인사말을 함으로써 독립선언식을 끝내고 만세삼창을 외친 뒤, 출동한 일본 경찰에 의해 체포되었으며, 1920년 경성복심법원에서 소위 보안법과 출판법 위반 혐의로 징역 3년 형을 선고받고 서대문 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에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하였다. 심연수(1918-1945)는 강원도 강릉 출신의 민족시인이다. 부모를 따라 고향을 떠나 연해주로 이주했으나 구소련에 의해 강제로 중국으로 이주하는 등, 정착하지 못하는 삶을 살았다. 어려운 가정 살림에도 불구하고 1941년 일본대학 창작과에 입학하였고, <야업>, <검은 사람>, <과오> 등의 작품을 집필하였다. 1945년 용정으로 귀환하던 중, 일제 앞잡이에 의해 피살되었다. 윤동주(1917-1945)는 함경북도 청진 출신의 저항 시인이다. 어린 시절부터 시를 통한 항일민족정신의 기초를 닦았고, 연희전문학교에 진학한 후 송몽규 등과 함께 민족정신과 조국의 독립에 대하여 토론하였으며 <서시(序詩)>, <별 헤는 밤>, <무서운 시간>, <또 다른 고향> 등 많은 항일민족시를 발표하면서 우리 민족의 항일정신을 고취하였다. 1943년 독립운동 혐의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2년 형을 선고받고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복역하던 중 사망하는데, 그의 사망이 복역 중에 정기적으로 맞은 알 수 없는 주사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이육사는 경상북도 안동 출신의 저항 시인으로, 본명은 이원록이다. 1925년 독립운동단체 의열단에 가입하여 일본과 북경 등지에서 활동하였다. 1926년 잠시 귀국했으나 장진홍의 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사건에 연좌, 3년 형을 받고 투옥되었다. 1935년부터 이육사라는 이름으로 작품을 발표하기 시작하는데, <황혼>, <청포도>, <광야>, <절정> 등의 작품으로 민족의식을 고취시켰다. 1943년 4월에 귀국했다가 6월에 피검되어 북경으로 압송되어 수감 중 북경의 감옥에서 옥사했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김영랑(1902-1950)은 전라남도 강진 출신의 저항 시인으로, 본명은 김윤식이다. 1919년 서울에서 3.1운동이 일어나자 「독립선언서」를 숨겨서 강진으로 내려왔다. 자택에서 김현상 등 동료와 정세를 논의하고 강진에서도 독립 만세운동을 일으킬 것을 계획하였으나, 이들의 준비와 계획이 강진경찰서에 발각되어 체포되었다. 1919년 4월 광주지방법원에서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년을 선고받았으나 공소를 제기한 끝에 무죄를 선고받았다. 1930년대에는 <독(毒)을 차고>, <가야금>, <달마지>, <춘향> 등 다수의 민족적인 시를 발표하여 항일의식을 표출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2018년에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오일도(1901-1946)는 경상북도 영양 출신의 민족시인으로, 본명은 오희병이다. 1922년 일본 도쿄로 건너가 강습소에서 수학한 다음 릿쿄대학 철학부에 입학하여 1929년 졸업하였다. 귀국 후 1년 동안 근화학교에서 무보수 교사로 근무하다 맏형으로부터 사재(私財)를 얻어 1935년 2월 시 전문잡지 『시원(詩苑)』을 창간하였다. 그러나 『시원』은 5호 만에 발행이 중단되었고, 광복 후 상경하여 문학 활동을 재개하면서 『시원』의 복간을 도모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우울한 심정으로 폭음을 계속하다 간경화증으로 사망하였다.
보령항일애국지사 추모비
충청남도 보령에 위치한 보령항일애국지사 추모비이다. 추모비에 항일활동에 목숨을 바친 보령 출신의 애국지사들과 그들의 공로를 기술했다. 개항과 함께 밀려오는 일제침략을 막고자 항일 위정척사의 상소를 올렸다가 사형당한 백낙관과 금갑도(전남진도)에 유배당한 황재현, 국내에서 군자금 모금활동을 벌인 이채우, 정미의병 당시 광복군으로 참여한 성주경, 이종국 등을 나열하면서 그들의 공로를 되새겨주고 있다.
조병철 추모비
조병철(1908-1950)은 충청남도 부여 사람으로, 1931년에 이호철(李戶喆)·노명우(盧命愚)·유기섭(柳基燮)·장창선(張昌善)·오기영(吳麒泳) 등과 함께 고향인 부여군 홍산면(鴻山面)에서 사회주의 사상 보급 및 항일독립운동을 목적으로 농민조합의 조직에 착수하였으나 일경의 취체가 심하여 중단하였다. 이들은 이후 전영철(田泳哲)·강도형(姜道馨) 등의 동지를 규합하여 마정리, 금송리 등의 각 부락에 야학을 개설하고 농민의 자제들에게 한글·산술 등의 초등교육을 실시하는 한편 토론회를 개최하여 사회주의 사상과 항일독립의식을 고취하는 데 힘을 쏟았다. 또한 동년 7월 부락 청년들을 규합하여 부여 농민조합연합회의 지부로서 대야구락부를 위장 조직하고 항일농민운동에 힘쓰던 중 일경에 피체되었다. 그는 피체된 지 3년 만인 1936년 6월 예심에 회부되어 집행유예 5년 형을 언도받고 공주형무소에서 출옥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2년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다.
애국지사마을 표지석(규암면 외리)
이문용(1891-1962)은 충청남도 부여 사람으로, 이민식, 장응규 등이 1920년 6월 상해 임시정부의 군자금 조달을 목적으로 조직한 주비단에 참가하여 항일 독립운동을 폈다. 이문용은 당시 3백여 석의 소작료를 거두어들이던 부형과 본인과 처 소유의 토지 외에 35간 창고와 8간의 정미소를 매각하여 막대한 대금을 독립운동 자금으로 헌납하였다. 또한 동지 김진억과 함께 부안군 선은리에 거주하는 부호 김승호로부터 천원을 모금하는 등 군자금 모집에 앞장섰다. 그러나 그는 이 일로 인하여 일경에 붙잡혀 경성지방병원에서 징역 5년 형을 언도받아 옥고를 치르고 1924년 6월 15일 만기 출옥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68년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다.
이순용, 이문용 집
이순용(1886-1960)은 1919년 4월 충청남도 홍성군에서 독립 만세운동에 참여하다 체포되어 태 60도를 받았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2022년에 대통령 표창이 추서되었다. 이문용(1891-1962)은 상해 임시정부의 지원을 목적으로 조직된 주비단(籌備團)에 참가하여 항일독립운동을 폈다. 이문용은 당시 3백여 석의 소작료를 거두어들이던 부형과 본인과 처 소유의 토지 외에 35간의 창고와 8간의 정미소를 매각하여 막대한 대금을 독립운동 자금으로 헌납하였다. 또한 동지 김진억(金鎭億)과 함께 부여군 선은리에 거주하는 부호 김승호(金承鎬)로부터 천원을 모금하는 등 군자금 모집에 앞장섰다. 그는 이 일로 인하여 일경에 붙잡혀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5년 형을 선고받아 옥고를 치르고 1924년 6월 15일 만기 출옥하였다.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68년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다.
애국지사마을 표지석(규암면 합송리)
애국지사마을 표지석 (규암면 합송리)은 충남 부여에 위치하였으며, 2021년 11월에 애국지사 이창호와 김형제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이창호(1883-1927)는 1919년 3.1만세운동에 참가했고, 1920년 북로군정서 김좌진의 무장항일투쟁에 협력하여 윤상기, 이치국, 백남식, 윤태병, 김영진, 조병채, 노재철 등과 함께 충남 및 전북 일대에서 군자금을 조달하고 격문을 배포하는 등의 항일 활동을 하다가 일경에 붙잡혔다.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 (1977년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다.김형제(1888-1945)는 북로군정서 김좌진이 충남지방에 파견한 김영진이 동지를 모을 때, 노재철, 김백순 등과 함께 가담하였고, 충남 지방의 부호들에게서 군자금을 모집하다가 1920년 일경에 붙잡혔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 (1983년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다.
애국지사마을 표지석 (규암면 합송리)
노재철(1889-1961)은 1920년 북로군정서 김좌진에 협력하여 김영진과 충남 및 전북의 부호들에게서 군자금을 조달하고 격문을 배포하는 등의 독립운동을 하다가 일경에 붙잡혔다.출옥 후에는 청장년의 정신계몽운동에 주력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노명우(盧明愚, 1897-1936)는 영명학교 재학중 3.1독립운동이 일어나자 유준석과 함께 공주시장에서 전단을 살포하며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하였다. 이로 인해 일경에 붙잡혀 징역 6월, 집행유예 2년 형을 선고받았다. 1930년 금강문인회를 조직하였으며, 1933년에는 부여농민조합연합회의 지부로서 대야구락부를 조직하고 확대하려했으나 일경에 붙잡혔다.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노명우(盧命愚, 1915-1972)는 1930년 금강문인회를 조직하였고, 장하리, 중정리 등 각 부락에 야학을 개설하여 농민층 청소년들에게 교육하고 토론회를 개최하여 사회주의 사상과 항일독립의식을 고취하였다. 1931년 이호철·유기섭·오기영 등은 사회주의 실천방법의 연구단체로서 비밀결사 공산주의연구협의회를 조직하였으며, 뒤이어 홍산노동조합, 부여농민구락부연합회를 조직하였다. 부여농민조합연합회의 지부로서 대야구락부를 위장 조직하여 항일 농민운동에 힘쓰던 중 일경에 붙잡혔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2년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다.
독립운동애국지사 추모비
독립운동애국지사 추모비는 의병, 독립군, 3.1만세운동으로 독립에 대한 의지를 보여주며 항일투쟁을 전개했던 부여의 선열들을 기리기 위해 1983년 11월 세워진 비이다. 해당 사적은 2022년 11월에 새로 지어진 남령공원 내 충의사에 위치한다. 부여군지회에서는 순국선열과 애국지사의 영령을 위로하기 위해 독립운동애국지사 추모비를 세워 지금까지 추모제를 지내왔다고 한다.
충의사
2022년 11월 남령근린공원에 건립된 충의사는 순국선열과 애국지사의 국가에 대한 충성과 굳은 절개와 의리·지조를 상징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1983년 11월 부여군지회에서는 독립운동애국지사 추모비를 세워 지금까지 매년 추모제를 지내왔다고 한다. 이 사실을 알게 된 광복회 부여서천연합회지는 부여군지회의 뜻과 정신을 이어받아 2019년 추모각 건립 추진위원회를 구성했고 충의사 준공에 이르게 됐다. 충의사는 총 124분의 위패를 모셨고, 매년 합동 추모제를 지낼 예정이라고 한다.
유기섭 기적비
유기섭(1905-1936)은 조선일부 부여지국 기자와 부여청년회 문예부장을 지냈으며, 대왕의숙을 개설하여 아동에게 한글을 교육하는 등 항일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힘썼다. 강성구(姜星求) 등의 동지와 함께 1931년 사회주의 사상 비밀결사 화성당(火星黨)을 조직하여 활동하던 중 일경에 붙잡혔고 징역 1년형을 선고받았다. 1931년 봄 이호철·장창선(張昌善)·오기영(吳麒泳) 등과 함께 사회주의 사상을 보급하고 항일독립운동을 펼 것을 목적으로 농민조합의 조직에 착수하였으나 일경의 취체가 심하여 중단하였다. 이들은 이후 전영철(田泳哲)·강도형(姜道馨) 등의 동지를 규합하여 야학을 개설하고 초등교육을 실시하며, 토론회를 개최하여 사회주의 사상과 항일독립의식을 고취하였다. 1933년 부여농민조합연합회(扶餘農民組合聯合會)의 지부로서 대야구락부(大也俱樂部)를 위장·조직하다가 일경에 붙잡혔다. 이후 징역 3년 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르다가 순국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1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63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