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항일운동
사건설명
국내항일운동
사건설명
TOTAL. 729 건
강창보 묘
강창보(1902 - 1945)는 제주도 사람이다. 1920년대 초 서울에서 청년학관을 다닐 무렵 사회과학을 연구하고, 1924년 고향 제주로 내려가 사상단체인 신인회(新人會)를 조직하였다. 동회의 교육부 간사로 활동하면서 제주지역 청년들을 대상으로 신사상을 전파하는데 앞장섰다. 1925년 4월 전국적 사회주의단체인 조선사회운동자동맹(朝鮮社會運動者同盟)에 참가하여 일제 식민통치로 인한 민족 모순, 계급모순 해결을 위한 사회주의운동에 전념하였다. 1926년에는 신인회를 발전적으로 해소하여 청년동맹을 결성하는데 주역으로 활약하였다. 1927년 신간회(新幹會) 제주지회 조직에 힘썼으며, 동년 8월 조선공산당(朝鮮共産黨)에 가입하여 제주도 야체이카 조직을 주도하였다. 그러던 중 1928년 8월 '제4차 조선공산당사건'으로 체포되어 경기도 검찰부에 넘겨져 2년여 동안 구금되어 고초를 치르다가 1930년 12월 22일 징역 2년 집행유예 5년을 선고받았다. 1931년 1월초 제주도로 돌아 온 그는 제주읍(濟州邑, 현재 제주시) 부태환(夫泰煥)의 집에서 제주지역 주요 사회주의자들과 '제주도사회주의운동자간담회'를 갖으며, 조직원을 확보하고 사회주의운동에 다시 뛰어들었다. 그리고 동년 5월에는 청년동맹(靑年同盟) 출신 신재홍(申才弘)·이익우(李益雨) 등과 함께 조선공산당 제주야체이카를 결성하고 그 책임자가 되었다. 제주야체이카는 사회 각 부면의 청년·여성·노동자그룹 등 제운동단체를 지도하는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며, 이들에게 항일의식을 고취시켰다. 제주야체이카는 1931년 9월 세금불납운동, 강제묘목배포 반대투쟁 등을 지도했으며, 일제강점기 어업 노동자의 투쟁 가운데 가장 조직적이고 대규모인 1932년 1월 해녀투쟁에서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이해 3월 일경에 체포된 그는 유치소에서 탈출한 후, 일본 오사카[大阪]로 피신하였다. 이후 도쿄[東京]를 중심으로 노동운동을 전개한 그는 1939년 조선문제시국연구회(朝鮮問題時局硏究會)를 조직하고,『朝鮮新聞』의 발간을 지도하는 등 항일운동을 펼치다가 1943년 4월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징역 7년을 선고받고 대전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르던 중, 1945년 1월 7일 옥사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05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강관순 집
강관순(1909 - 1942)은 제주 사람이다. 1926년 제주공립농업학교를 졸업한 뒤 영명학교 교사로서 야학을 통한 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또한 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하면서 강철이라는 필명으로 항일의식을 고취하는 글들을 기고하기도 하였다. 1930년 3월 제주도 구좌면(현재 제주시 구좌읍) 세화리에서 신재홍. 오문규 등과 함께 비밀결사 혁우동맹을 조직하고 항일운동을 전개했다. 혁우동맹은 제주청년동맹과 그 산하지부들이 일제의 탄압으로 활동이 어렵게 되자, 비밀결사 형태로 새롭게 조직된 사회주의 단체였다. 혁우동맹은 주로 청년을 대상으로 사회주의 사상의 고취 및 대중 계몽을 활동의 주요 방침으로 정하고 있었다. 이때 그는 청년부 책임을 맡아 청년단원 포섭에 힘을 쏟았다. 혁우동맹은 1931년 6월 상순 조선공산당 제주도야체이카로 새롭게 조직을 정비해 갔는데, 그는 당외기관 책임자로 선임되었다. 제주도야체이카는 구좌면 등지의 해녀들을 대상으로 항일의식을 고취시키는 등 사회 각 방면의 운동단체를 지도하는 주도적 역할을 수행했다. 1932년부터 구좌면을 중심으로 일어난 제주 해녀의 항일시위운동에는 제주도야체이카의 역할이 크게 작용하였다. 당시 제주 해녀들은 해녀어업조합의 어용화와 해산물 매수가격을 둘러싼 부정에 항의하여 시위운동을 전개하였다. 일제는 1,000여 명의 해녀들이 세화주재소까지 몰려와 시위를 벌이는 등 그 여파가 거세지자, 해녀 및 청년운동가들을 대대적으로 검속하였다. 해녀대표 3인을 구속하고, 해녀시위의 배후조직으로 강창보를 비롯한 100여 명의 사회주의 운동가를 체포하였다. 강관순은 이때 일경에 체포되어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2년 6월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출옥 후 일가를 데리고 함경도 청진으로 이사했으나, 옥중에서 받은 고문의 후유증으로 투병생활을 계속하다가 1943년 숨을 거두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05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우도해녀항일운동기념비
우도해녀항일운동기념비 牛島海女抗日運動記念碑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의 수탈에 대항해서 제주 해녀 수천명이 비창을 들고 일어서서 싸운 적이 있다. 1932년의 투쟁으로 약 3개월에 걸쳐 연인원 17,000여명이 궐기한, 어민 항쟁으로는 전국 최대 규모였다고 할 수 있다. 우도해녀항쟁기념비에는 1932년 해녀항일운동으로 잡혀간 우도의 선구자인 강관순이 작곡한 해녀가가 실려 있다. 우도출신 강관순은 감옥에서 해녀들에게 힘과 용기를 주기 위해 해녀가를 지어 면회 온 지인에게 몰래 전해주었다. 우도에서는 1931년 1월 강기평(康基平), 강순인(姜順仁), 강창순(康昌順) 등이 대표로 세화장터의 항쟁에 참가했다. 우도 포구에 있는 우도해녀항일운동기념비 牛島海女抗日運動記念碑에는 당시 우도 해녀들이 불렀던 강관순(康寬順)이 지은 海女의 노래가 새겨져 있다. 이 노래는 일제 때 지어진 것으로 창가라고 지칭되는 곡 형태를 지니고 있다. 당시에는 해녀들뿐만 아니라 누구든지 이 노래를 부를 줄 알았다고 하며 지금도 노인들은 이 노래를 부를 줄 안다.
김순탁 묘
김순탁(1895-1938)은 1919년 3월 제주 조천(朝川) 3·1운동에 참가하였으며, 1928년에는 제주청년동맹지부(濟州靑年同盟支部) 신좌소비조합(新左消費組合) 간부로 활동하며 야학(夜學)을 통해 민족교육을 실시하였다. 도내의 유지인 김시우는 김장환과 함께 여러 동지들을 규합해 나가며, 미모치(味毛峙:일명 미밑 동산, 혹은 만세동산이라 일컫음) 동산에서 3월 21일 만세운동을 벌일 것을 계획하고, 인근 부락과 서당 학생들에게도 동참할 것을 권유하였다. 거사일인 3월 21일 오후 3시경, 김순탁을 비롯한 600여 명의 시위군중이 미모치에 모였다. 김시우가 큰 태극기를 미모치에 세우고 목메인 음성으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니 모든 사람들이 감격하였다. 선언이 끝나고 김장환이 나와 대한독립만세를 외치자 일제히 대한독립만세를 고창하였다. 그리고 각기 태극기를 들고 만세를 연창하며 큰 길로 시위행진을 하였다. 그런데 이때 긴급 출동한 수 십명의 일본 무장병에 의해 저지당하였다. 그는 이 일로 붙잡혀, 1919년 4월 26일 광주지방법원 제주지청에서 소위 보안법으로 징역 6월, 집행유예 3년을 받았다. 출옥 후 그는 1928년 제주청년동맹지부 신좌소비조합 간부로 활동하며 야학을 통해 민족교육을 실시하다가 체포되어 4개월 여의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7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김재동 추모비
김재동(1910-1932)은 1931년 1월 15일 도쿄에서 함덕리 출신의 항일운동가 한영섭(韓永燮)이 사망하여 1월 19일에 시신이 고향에 도착하자 동지장(同志葬)으로 할 것을 결의하였다. 1월 22일 한영섭의 할아버지 한정권(韓程權)의 집에서 대흘리 장지까지 운구하면서 동지들과 적기가(赤旗歌)를 합창하고 ‘한영섭 만세’를 삼창하였다. 1931년 5월 6일 조천읍 경찰관 주재소 순사 2명이 한영섭의 아버지 한문옥(韓文玉)에게 본서의 명령이니 아들의 관(棺) 속을 조사하겠다고 하였다. 장지로 가서 흙을 파고 관 안을 수색하였으나 불온 문건은 나타나지 않았다. 김재동은 동지들과 함께 한영섭의 추모비를 세웠는데, 일본 경찰이 비석의 문구가 불온하여 안녕 질서를 방해한다는 이유로 비석을 뽑아내어 압류하고 김재동을 체포하였다. 1931년 8월 5일에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청에서 보안법 위반으로 징역 1년형을 선고받고 대구형무소에서 복역 중 고문 후유증으로 옥사하였다. 1993년 4월 13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74주년 기념일에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김순탁 구 묘
김순탁(1895-1938)은 1919년 3월 제주 조천(朝川) 3·1운동에 참가하였으며, 1928년에는 제주청년동맹지부(濟州靑年同盟支部) 신좌소비조합(新左消費組合) 간부로 활동하며 야학(夜學)을 통해 민족교육을 실시하였다. 도내의 유지인 김시우는 김장환과 함께 여러 동지들을 규합해 나가며, 미모치(味毛峙:일명 미밑 동산, 혹은 만세동산이라 일컫음) 동산에서 3월 21일 만세운동을 벌일 것을 계획하고, 인근 부락과 서당 학생들에게도 동참할 것을 권유하였다. 거사일인 3월 21일 오후 3시경, 김순탁을 비롯한 600여 명의 시위군중이 미모치에 모였다. 김시우가 큰 태극기를 미모치에 세우고 목메인 음성으로 독립선언서를 낭독하니 모든 사람들이 감격하였다. 선언이 끝나고 김장환이 나와 대한독립만세를 외치자 일제히 대한독립만세를 고창하였다. 그리고 각기 태극기를 들고 만세를 연창하며 큰 길로 시위행진을 하였다. 그런데 이때 긴급 출동한 수 십명의 일본 무장병에 의해 저지당하였다. 그는 이 일로 붙잡혀, 1919년 4월 26일 광주지방법원 제주지청에서 소위 보안법으로 징역 6월, 집행유예 3년을 받았다. 출옥 후 그는 1928년 제주청년동맹지부 신좌소비조합 간부로 활동하며 야학을 통해 민족교육을 실시하다가 체포되어 4개월 여의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7년에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애국선열 추모탑, 창열사
애국선열 추모탑은 순국선열 및 애국지사를 추모하는 탑으로서 고유한 제주의 정주문(정남)은 이 지역만의 수 천년동안 내려오는 세계적인 독특한 문이며, 모든 문화가 교류하는 우리 제주의 문으로 상징한다. 높다란 양 기둥은 음양조화를 이룬 정주탑으로 천,지,인과 우리 고장의 삼무, 삼청의 뜻을 표현하였고 평화를 염원하는 탑으로도 상징한다. 좌우 양쪽 부조에는 선열들의 구국운동의 발자취를 한눈에 볼 수 있게 조각한 것이 특징이다.
김운배 묘
김운배(1899 - 1934)는 제주(濟州) 사람이다. 1919년 3월 서울에서의 3·1독립만세시위운동이 호응하여 제주도 신좌면(新左面) 조천리(朝天里)에서도 3월 21일부터 24일까지 연 나흘간 주민 수백 명이 참가한 만세시위가 벌어졌는데, 이 시위는 그가 김시범(金時範) 등 16명과 함께 사전에 계획하여 주도한 것이었다. 그 후 일경이 시위 주동자 검거에 나서 동지들이 붙잡히기 시작하자 제주도를 탈출하여 부산을 거쳐 1920년 2월경 중국 상해(上海)로 망명할 수밖에 없었다. 상해에서 김창숙(金昌淑)과 손영직(孫永稷)을 만나 독립운동에 이바지할 길을 찾던 그는 두 사람으로부터 국내로 들어가 군자금 모금에 대한 협조 요청 편지를 경남 밀양군(密陽郡) 밀양면의 손종현(孫宗鉉) 외 13명에게 전달하고 군자금을 조달하라는 지시를 받고서 1920년 12월 상순 부산으로 입국하여 임무 수행에 착수하려던 중 일경에 붙잡혔다. 그 후 1921년 6월 25일 부산지방법원에서 소위 제령(制令) 제7호 위반으로 징역 4년을 받고, 동년 8월 9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역시 징역 4년으로 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3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함덕출신 애국선열기념비
1919년(기미년) 2월 21일 조천에서 일어선 독립만세운동에 한철영은 면민의 선봉에서 대한독립만세를 부르며 시위를 하다 일경에 피체되어 옥고를 치렀다. 이에 정부는 그 공훈을 기리어 1993년 3월 1일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1931년 1월 5일 본 함덕 출신 한영섭 동지가 서거한 그 시신이 정든 고향에 돌아오니 고종건, 김일준, 김재동, 김진희, 부생종과 함덕 청년 동맹회원들이 장례 행렬에 수십장의 만사(輓詞)를 들고 동지들과 제휴하여 독립혁명가를 부르며 운구하여 장례를 지냈고 동년 3월 17일 동지들은 본리 동쪽 고두물 앞거리에 적광 한영섭 기념비를 세웠고, 이 사건을 주동한 인물들은 연행되어 옥고를 치렀으며 김재동은 1932년 3월 14일 대구형무소에서 옥사하였다. 이에 정부는 그 공훈을 기리어 1993년 8월 15일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고 고종건, 김진희에 1993년 4월 13일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애국동지들은 1932년 3월부터 일본 제국주의에 항거하기 위하여 비밀결사대인 제주농민조합을 결성하고 세부활동으로 향동회 민풍진흥회를 조직하여 애국동지들을 포섭하고 독서회를 조직하여 야학을 통하여 부녀자들에게 민족의 역사와 언문(한글)을 가르치며 민족사상을 고취하여 일제 침략주의 정책에 항거하다 일경에 적발되어 1934년 8월에 김일준, 부생종은 일경에 피체되어 옥고를 치렀으며, 부생종은 혹독한 고문으로 목포형무소에서 1936년 6월 28일에 28세 젊은나이로 옥사하였다. 이에 정부에서는 그 공훈을 기리어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고 김일준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현사선은 1940년 3월 조천소비조합의 항일운동활동이 시발로 일제를 비방하는 내선 일체론의 허구성을 비판하며 함덕 청년동맹회에 가입 청.부녀자에게 민족사상을 가르치며 반일 운동을 하다 1941년 9월 일경에 피체되어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그 공훈을 기리어 1993년 8월 15일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동지애도비
동지애도비는 일본에서 공산주의 활동을 하던 한영섭이 사망하자 ‘동지적광한영섭기념비(同志赤光韓永燮記念碑)’라 적힌 비를 건립한 것에서 시작한다. 그 이면에는 '차디찬 흰 빛 밑에 늘니인(눌린) 무리들아 고함쳐 싸우라고 피 흘린(피 뿌린) 동지였다.'는 항일의식과 계급의식이 들어간 비문을 새겨넣었다. 동료는 한영섭의 장례식에서 장례식 때 깃발을 들고 혁명가를 부르는 등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그러나 경찰은 비를 압수한 뒤 비를 세운 김일준, 부생종, 김재동, 양공근, 김두성, 고종건 등을 보안법 위반으로 검거하여 재판에 회부하였다. 이 일로 각각 1년에서 1년 6개월의 형고를 겪었다. 한영섭의 묘비는 조천주재소에 압류되었다. 해방 후에 독립운동을 하다 순국한 네 명의 인물들에게 한영섭의 묘비문을 새겨넣으면서 본 비가 다시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추자도어민 대일항일기념비
추자도어민 대일항일기념비는 추자도의 어민들이 일제의 횡포와 수탈에 강력하게 저항한 2차례의 사건을 기념하는 사적이다. 제1차 어민항쟁은 1926년 5월 14일 해조류(천조) 공동판매를 강요하는 어민조합에 항거하여 예초리 어민 700여 명이 집단으로 항쟁한 일이다. 그 결과 21명이 검거되어 김종만은 징역 1년, 김학연, 김후배는 징역 8개월, 황명채 외 3명은 집행유예 2년의 형을 받았다. 제2차 어민항쟁은 1932년 5월 추자도에 거주하던 일본인 어민 사와다(澤田)가 삼치 유자망으로 추자도 어민 내수면 어장터를 침범하여 추자도어민들이 총궐기하였던 사건으로 그 결과 박천석, 원성채, 김봉수, 박병석 4명이 징역 3개월의 형을 받았다. 삶의 터전을 지키기 위한 일제강점기 추자도 어민의 숭고한 뜻을 기념비에 기록하여 후세에 남기고자 2018년 9월 추자면주민참여예산위원회가 본 비를 건립하였다.
이창휘 집
이창휘는 변호사로서 독립운동 관련의 수많은 '사건'에 자진 변호를 맡거나 무료 변호를 통하여 애국적 의지를 드높이는 한편 조선농민사(朝鮮農民社)의 중앙이사(中央理事)로서 농촌계몽운동에도 힘을 쏟았다. 1925년 10월 29일 천도교의 농민조직이었던 조선농민사의 창립총회에서 중앙이사로 선출된 그는 조선농민사 주최 농촌문제강연회의 주요 연사로 활약하면서 주로 농민들에게 필요한 법률상식 등을 강연하는 등 농민 계몽에 앞장 섰다. 한편 1926년 6·10 만세운동이 일어나 주동 학생들이 일제 법정에 서게 되자, 그는 이인(李仁) 등과 함께 학생들의 애국적 행동을 변론함으로써 민족 변호사의 행동을 보여 주었다. 그리고 1927년 11월 일본 삼릉회사(三菱會社)가 수력전기회사를 설립하기 위해 일경을 앞세워 한국인의 토지를 강제 매수하려 하자, 허헌(許憲)과 함께 법률투쟁을 전개하여 토지침탈을 저지시키는 쾌거를 올렸다. 또한 1928년 경남 도청년연맹(道靑年聯盟)의 항일투쟁이 발각되어 관련자들이 법정에 서게 되었을 때 자진하여 변호를 섰으며, 1929년 4월 공명단(共鳴團)의 단원들이 군자금 모집을 위해 망우리에서 일제의 우편물 수송차를 습격하다가 붙잡힌 '공명단 의거'의 공판에서도 이인·허헌과 함께 민족적 입장에서 변호하였다. 그는 '조선공산당 사건'과 광주학생운동, '간도공산당 사건'등 사회주의 계열 운동의 변호를 많이 맡아 사상변호사로도 이름을 날렸다. 그러던 중 과로로 인하여 병을 얻어 1934년 9월 9일에 서거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5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