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항일운동
사건설명
국내항일운동
사건설명
TOTAL. 729 건
김동진 묘
김동진(1867 - 1952)은 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이다. 1912년 임병찬 등이 조직한 비밀결사 대한독립의군부가 독립군자금의 모집과 국내외 연락 활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연루·체포되어 20여 일 동안 구류 상태에서 취조를 받았다. 1919년 3월 곽종석(郭鍾錫)[1846~1919]·장석영(張錫英)[1851~1929]·김창숙 등이 추진한 유림단의 독립청원운동인 파리장서운동에 참여하여 독립청원서, 일명 파리장서에 서명하였다. 1919년 4월 이후 독립청원운동이 일본 경찰에 발각되어 서명자들이 체포될 때 서명 사실이 드러났다. 이 사건에 연루되어 40여 일간 투옥된 상태에서 가혹한 고문을 받기도 했다. 1925년 김창숙이 내몽고 지역에 독립군기지를 건설하기로 계획하고 자금 20만 원을 모집하기 위해 비밀리에 입국하였다. 이에 김동진은 아들을 군자금 모집에 참여시키는 등 적극적으로 협조하였다. 1926년 4월 2일 김화식(金華植)[1902~1950] 등이 체포되면서 관련자에 대한 대대적인 검거가 시작되었다. 이른바 ‘제2차 유림단의거’였다. 제2차 유림단의거로 1926년 5월 중순까지 관련자 600여 명이 체포되어 40~50명이 기소될 때 함께 체포되었다. 1927년 1월 21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소위 「대정8년 제령 제7호 위반 및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기소되어 대구감옥에 구금되었다가 약 1개월 만에 출옥하였다. 1952년 12월 22일 지금의 영주시 부석면 상석리 자택에서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김동진의 문집으로 12권 7책의 『정산집(貞山集)』이 전한다. 김동진은 1993년 건국훈장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김동진 강학당(도강서당)
도강서당(道岡書堂)은 구한말 독립운동가이며, 이 지역의 대표적인 유학자인 김동진이 후진 양성을 위해 1900년경에 건립한 사당이다. 김동진(1867 - 1952)은 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이다. 1912년 임병찬 등이 조직한 비밀결사 대한독립의군부가 독립군자금의 모집과 국내외 연락 활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연루·체포되어 20여 일 동안 구류 상태에서 취조를 받았다. 1919년 3월 곽종석(郭鍾錫)[1846~1919]·장석영(張錫英)[1851~1929]·김창숙 등이 추진한 유림단의 독립청원운동인 파리장서운동에 참여하여 독립청원서, 일명 파리장서에 서명하였다. 1919년 4월 이후 독립청원운동이 일본 경찰에 발각되어 서명자들이 체포될 때 서명 사실이 드러났다. 이 사건에 연루되어 40여 일간 투옥된 상태에서 가혹한 고문을 받기도 했다. 1925년 김창숙이 내몽고 지역에 독립군기지를 건설하기로 계획하고 자금 20만 원을 모집하기 위해 비밀리에 입국하였다. 이에 김동진은 아들을 군자금 모집에 참여시키는 등 적극적으로 협조하였다. 1926년 4월 2일 김화식(金華植)[1902~1950] 등이 체포되면서 관련자에 대한 대대적인 검거가 시작되었다. 이른바 ‘제2차 유림단의거’였다. 제2차 유림단의거로 1926년 5월 중순까지 관련자 600여 명이 체포되어 40~50명이 기소될 때 함께 체포되었다. 1927년 1월 21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소위 「대정8년 제령 제7호 위반 및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기소되어 대구감옥에 구금되었다가 약 1개월 만에 출옥하였다. 1952년 12월 22일 지금의 영주시 부석면 상석리 자택에서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김동진의 문집으로 12권 7책의 『정산집(貞山集)』이 전한다. 김동진은 1993년 건국훈장 애국장에 추서되었다.
순국위령비
순국위령비는 영주시 영주2동 438에 위치한 구성공원에 위치하고 있다. 구성공원 내에는 순국위령비 외에도 문화재 자료 제334호로 지정된 반구정을 비롯하여 가학루, 춘수당도 함께 만나볼 수 있다. 나라의 평화와 자유를 위해 고장을 지키시다가 훌륭한 자취를 남기고 돌아가신 분들을 기리기 위해 순국위령비를 세운 것이다.
김승기 집
김승기(1924 - 2017)은 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이다. 김승기는 대구 대륜중학교 재학 중 교사 이규동(李揆東)과 선배들의 영향으로 항일민족의식을 키웠다. 이에 대륜중학교 4학년 때부터 고향인 영주에서 야학운동을 전개하였다. 졸업 후인 1944년 10월에는 일제가 「국가총동원법」을 구실로 한국의 인적·물적 자원을 강제 동원하고, 또 젊을 청년들을 징병하자, 이를 거부하는 투쟁을 전개하였다. 김승기는 고향 친구 김동태(金東泰)와 함께 징병에 응하지 않기로 맹세하고, 한학자 권상일(權相日)을 비롯한 권춘섭(權春燮)·김혁기(金赫基) 등의 도움을 받아 봉화군 태백산 기슭에 은신처 겸 투쟁 근거지를 마련하였다. 그런 가운데 1944년 10월 20일 자로 일제의 전쟁동원정책에 따라 징병 영장이 발급되자, 동시에 징병 영장을 받은 김두진(金斗鎭)·최갑룡(崔甲龍)·김복경(金福慶)·김혁기 등 청년들과 함께 태백산 거점으로 향했다. 태백산 거점에서 피신해있으면서 동지를 규합하고 자금을 마련하는 데 주력하던 중 1945년 7월 8일 고향으로 잠입했다가 일제 관헌에 의해 검거되었다. 이 사건은 일명 ‘태백산 거점 5인조 사건’이라고도 불렸다. 김승기는 1945년 8월 7일 대구지방법원 안동지청에서 일제 사법 당국에 의해 징역 1년 6개월을 언도받고, 안동형무소와 대구형무소에서 복역하였다. 1945년 8.15 해방과 함께 출옥하였다. 김승기는 1986년 대통령 표창,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에 추서되었다.
송영호, 송재호 집
송영호(1903 - 1968)의 자는 보경, 호는 창주이며, 영주 출신의 독립운동가이다. 1925년 3월(음) 북경(北京)에서 김창숙(金昌淑)·김화식(金華植)·이봉로(李鳳魯) 등이 장기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하기 위하여 내몽고(內蒙古)지방을 개간하여 그 이익금으로 무관 학교를 설립하고자 계획하였다. 또한 독립군은 둔전제(屯田制)로 양성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계획을 실천하기 위한 군자금 마련을 위해 김창숙·김화식 등이 만두 장사로 변장하여 1925년 8월 국내로 들어와, 충청·경상도 지역의 유림과 부호를 대상으로 20만원을 모금하고자 하였다. 1926년 4월에는 상해로 탈출을 기도하였으나 실패하고 경북 영주에 있는 본인 집에서 일경에게 붙잡혔으며, 1927년 3월 대구지방법원에서 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다. 송재호(1906 - 1974)는 1925년 6월 무관학교 설립자금 모집을 위해 북경에서 입국한 제2유림단(儒林團)의 핵심인 형 송영호(宋永祜)와 함께 활동하면서 본인 소유의 논 1,300여 평을 매각한 대금 600원을, 형을 통해 김창숙(金昌淑)에게 군자금으로 송금하였다. 1926년 2월 일경이 형 송영호로 오인하여 붙잡혔으며 심한 고문을 받다가 자살을 기도하였으나 생명은 건졌다. 그후 부인 유임이(柳任伊)도 비명횡사케 되어 더욱 항일의식이 고양되었다. 1927년 9월 영주군의 신간회(新幹會) 영주지회 회원 및 영주청년동맹(榮州靑年同盟) 집행위원으로 항일의 선봉에서 활동하였으며 1930년 3월 7일 일경에 붙잡혔으나 기소유예로 풀려났다. 1931년 국내활동이 불가능해지자 중국 동삼성(東三省)으로 탈출, 독립운동의 방안을 모색하던 중 봉천성(奉天省) 안동(安東)에서 일경에 붙잡혀 2개월의 구류처분을 받은바 있으며 서울 팔판동(八判洞) 등지로 이주하며 항일운동을 계속하였다고 한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독립운동영주기적비
대한광복단기념공원은 대한광복단[풍기광복단]의 정신과 업적을 기리기 위해 건립되었는데, 독립운동영주기적비는 해당 공원 안에 있으며, 1994년 대한광복단 결성을 기념하고자 세운 비이다. 풍기광복단의 참가자의 성향은 강순필이 이강년(李康秊) 의진, 유창순·한훈이 민종식(閔宗植) 의진에서 활동하고, 유장렬이 후기의병기에 전북에서 의병으로 활동했던 점에서 볼 수 있듯이 의병운동 참가자들이 주도한 조직이었다. 학력은 대체로 유학(儒學)을 배웠거나 무학(無學)인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기질적, 학문적 성격은 풍기광복단이 1915년 조선국권회복단(朝鮮國權回復團) 일부 인사와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로 확대 발전할 때 조선국권회복단의 구성원들이 신학(新學)을 학습하고 일정한 경제력을 지녔던 점과 대비가 된다. 한편 풍기광복단이 결성된 이후에는 채기중을 매개로 하여 점차 단원이 보강되었다. 이는 세력 확장에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주요 인물은 양제안(梁濟安) 부자·황상규(黃相奎)·김대지(金大池)·이각(李覺) 등이었다. 양제안 부자는 풍기 및 만주 일대에서 조직을 정비하며 본 단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황상규 등은 청년지식인집단으로 신학(新學)을 이수하였으며 어느 정도 경제력을 갖춘 인물들이었다. 과거 일합사(一合社)라는 비밀결사를 조직한 경험도 있었다. 따라서 이들의 영입으로 인적구성과 활동반경은 한층 확대될 수 있었다. 이후 풍기광복단은 1915년 박상진(朴尙鎭)이 이끄는 조선국권회복단 일부 인사와 영남에서 분산적으로 활동하던 항일세력을 규합하여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로 확대 발전하였다. 풍기광복단의 조직과 활동은 끝까지 비밀이 유지되어 일제강점기 전 기간을 통해 철저히 은폐되었고, 1918년 대한광복회 조직이 발각되었을 때에도 풍기광복단의 결성사실은 노출되지 않았다. 그러다가 해방 후에 생존단원인 한훈(韓焄)에 의해 비로소 그 존재가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광복탑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산법리에 있는 대한광복단(풍기광복단)의 항일독립운동을 기리기 위해 세운 탑으로, 대한광복단은 경술국치 이후 전국 최초로 조직된 무장항일 비밀결사이다. 서기1913년 채기중(蔡基中)선생을 중심으로 의사(義士)들이 모여 이곳 풍기에서 결성한 대한광복단은 국권회복을 피로써 하늘게 맹세한 조직적인 민족항쟁결사(結社)이다. 1915년 대구 박상진(朴尙鎭)의사의 단체(국권회복단)와 통합하였다. 대한광복단은 경상북도 풍기 서부 한림촌의 채기중을 중심(정만교,김병연,양재안,유장열,유창순,한훈, 강병수 등)으로 유림, 의병, 대종교 출신, 애국청년 등 8개 지역 19명이 조직한 무장비밀결사대로서 일제하에서 최초로 결성된 전국규모의 무장 항일 투쟁 조직이다. 1915년 대구의 박상진을 중심으로 한 ‘조선국권회복단’과 통합하여‘대한광복회(총사령관 박상진)’로 개칭하였다. 1916년 노백린, 김좌진 등 애국투사들이 합류하였고 1917년 기호, 호남, 관동, 관서지방의 애국지사들이 모여 거국적인 독립운동단체로 자리 매김하였다. 그들은 주로 대구, 광주, 아산, 인천, 해주, 옹천, 충북 등지에서 주로 군자금 조달과 친일파를 암살하였다. 광복단의 활동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것은 1917년말의 전(前) 경상도관찰사이며 친일부호인 장승원(張承遠)과 1918년 초 충청남도 아산군 도고면장(道高面長)인 친일파 박용하(朴容夏)의 처단사건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직이 드러나지 않았으나 회원인 이종국(李鍾國)이 1918년 1월 천안경찰서에 밀고함으로써 총사령(總司令) 박상진을 비롯한 37명이 체포되었다. 일경의 체포를 피한 한훈 등의 회원은 만주로 가서 독립운동을 계속했다. 3·1운동 뒤에는 김상옥·한훈·김동순(金東淳) 등 20여 명이 암살단을 국조직하여 총독을 암살하려다 거사 직전에 발각되어 힌훈, 김동순 등이 체포되어 수포로 돌아갔다.
채기중 일대기비
채기중 선생 일대기 비석은 대한광복단기념공원에 위치해 있다. 기존에 있던 대한광복단 약사비가 새롭게 바뀌면서, 비밀결사조직인 대한광복단 초대 단장인 채기중 선생의 일대기를 대한광복단 약사비 뒷면에 새긴 것이다. 채기중(1873 - 1921)의 자는 극오, 호는 소몽이며, 영주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이다. 채기중은 1913년 풍기군에서 대한광복단[풍기광복단]이라는 비밀결사 조직 결성을 주도하였다. 대한광복단은 독립군 양성을 위해 국내에서 군자금을 모집하고, 국내외 독립운동 세력 간의 유기적 결합을 추구하였다. 이를 위해 상업망과 명망가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는데, 대동상점(大東商店)이 대표적 사례이다. 대한광복단은 독립운동자금 모집과 만주지방과의 연계를 주요 활동 범위로 하였다. 채기중은 강병수(姜炳洙)와 함께 자금 탈취를 계획하여 강원도 영월에서 일본인이 경영하는 중석광에 광부로 위장 잠입하여 활동하였다. 또한, 지주와 부호를 대상으로 독립운동자금 모집을 추진하였다. 채기중이 이끄는 대한광복단은 1915년 대구의 달성공원에서 박상진(朴尙鎭)[1884~1921] 그룹과 통합해 대한광복회를 조직하였으며, 채기중은 경상도지부장을 맡았다. 대한광복회는 독립을 위해 중국 만주에 군사사관학교를 세우기로 계획했다. 이를 통해 독립군을 양성하고 무력 기반이 마련되면, 일제와 전쟁을 벌여 독립을 쟁취할 계획이었다. 이에 채기중은 전라도 출신 이병호(李秉昊)[1888~1955]와 충청도 예산 출신 김한종(金漢鍾)[1883~1921]을 회원으로 가입시켰다. 그리고 경상북도의 자산가 상황 조사에 착수하였다. 조사에는 자산가의 주소, 이름, 재산액 등을 항목으로 넣었다. 1915년 음력 7월 무렵 자산가 상황 조사를 박상진에게 전달하고, 박상진은 다시 우재룡(禹在龍)[1884~1955]에게 전달하였다. 우재룡은 조사서를 기초로 해서 국내 자산가들에게 포고문을 발송하였다. 채기중은 1917년 8월 자신의 집과 경성부 인사동 어재하(魚在夏)의 집에서 박상진·김한종·장두한·김동호(金東鎬)[1919~1982] 등과 함께 대한광복회 명의의 포고문을 작성하였다. 대한광복회는 군자금 모금에 참여하지 않는 부호들을 친일적 부호로 규정하고, 직접 처단할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때 채기중은 경상북도를 맡았다. 그리고 그 대상으로 칠곡의 대부호 장승원(張承遠)을 처단하기로 하였고, 결국 1917년 음력 9월 28일에 사망하였다. 채기중은 장승원 암살 뒤에도 독립운동자금 모집을 계속해 나갔다. 채기중은 중국 상하이로 망명하기 위해 전남 목포에 숨어들었다가 체포되었다. 1918년 10월 19일 공주지방법원에서 강도살인 제령위반 혐의로 사형이 언도되었다. 1919년 9월 22일 경성복심법원을 거쳐, 1920년 3월 1일 고등법원에서 상고기각 판결을 받았다. 1921년 8월 12일 사형이 집행되어 서대문형무소에서 순국하였다. 채기중은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에 추서되었다.
김기용 추모비
김기용(1883 - 1938)은 경북 영천(永川) 사람이다. 1927년 조선은행 대구지점(朝鮮銀行大邱支店)에 폭탄을 투척한 장진홍(張鎭弘)과 회합하여 1928년 결사대원이 된 후 영천경찰서와 고향의 친일부호인 이인석(李仁錫)의 집에 폭탄을 투척하기로 계획하고 장진홍으로부터 폭탄 2개를 전달받아 폭탄투척을 위한 예행연습을 하며 기회를 노리던 중 일경에 붙잡혔다. 1930년 4월 24일 대구복심법원에서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살인예비죄로 징역 5년형을 선고받아 옥고를 치렀다. 1930년 장진홍이 옥중에서 변사(變死)하자 그 진상을 추궁하기 위하여 형무소장과의 면담을 요청하다가 간수가 폭언을 하자 분개하여 대한독립만세를 부르며 감옥을 파괴하다가 가중형 6월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80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김영길, 이영환 추모비
김영길(1924 - 1962)은 경북 영천(永川) 사람이다. 1942년 박기수(朴基秀) 등 6인과 함께 항일비밀결사를 조직하고 1943년 4월에는 영천신사(永川神社)를 불태우고 대구(大邱)신사에 방화하였으나 실패하였으며, 동년 5월에는 대구 주둔 일본군 80연대 내에 세균을 투입하기도 하였다고 한다. 또 동년 밤중에 대구 시내 관공서에 태극기를 게양하고 시내 곳곳에 일군 패전전황을 알리는 유인물을 살포하여 항일민족의식을 고취하였으며 일본군 24부대 병기고를 폭파하였다고 한다. 1944년에는 군자금 모집 중에 발각되어 징역 4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68년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다.이영환(1924 - 1964)은 경북 영천(永川) 사람이다. 일제가 1937년 중일전쟁과 1941년 태평양전쟁을 도발한 후 식량과 자원을 강제 수탈하는 한편 징용·징병등 각종 명목으로 한국인을 침략전쟁의 일선으로 끌어가자, 그는 독립운동에 헌신할 것을 결심하고 영천신사(永川神社)에 방화(放火)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할 계획을 세우고 이를 준비하던 중 밀고로 말미암아 동년 12월 4일 일경에 붙잡혔다고 한다. 그는 이일로 인하여 1945년 5월 18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징역 5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르던 중 해방을 맞아 출옥하였다.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정원흥 추모비
정원흥(1912 - 1944)은 경상북도 영천(永川) 사람이다. 1932년 11월 일본으로 건너가 4년간 대판(大阪) 기옥현(埼玉縣) 등지에서 고학하면서 항일독립운동을 펴기 위해 동지규합에 노력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1936년 귀국하였다. 1941년 1월 일경의 감시를 피하여 다시 중국으로 건너간 그는 1944년까지 3년간 북경(北京)·천진(天津) 등지에서 동지들과 연계하여 항일독립운동을 폈다고 한다. 1944년 3월 초순 임시정부 계통의 공작원으로부터 임시정부의 밀명을 받고 귀국하여 영천지방의 유지인 정도영(鄭島榮)과 협의, 후방교란과 일제의 무력을 분산시킬 목적으로 대구의 동촌(東村) 비행장을 폭파할 계획을 세웠다고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계획이 노출되어 1944년 3월 27일 일경에 붙잡혔다. 그는 일본 헌병대로 이송되어 8개월에 걸쳐 가혹한 고문을 받았으나 이에 굴하지 않고 자백을 거부하여 동지들의 희생을 막고 결국 일경의 고문으로 빈사상태가 되어 병보석되었으나 출옥한 후 7일만인 1944년 12월 15일 순국하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1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77년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다.
조재만 집
조재만(1906 - 1990)은 경북 영천(永川) 사람으로, 이명은 조충환(曺忠煥) 또는 조용찬(曺瑢燦)이다. 1925년 9월 대구에서 조직된 비밀결사 암살단(暗殺團) 단원으로 활동하였다. 암살단은 1925년 9월 경, 장진홍(張鎭弘)·이원록(李源祿)·이원기(李源祺)·이원유(李源裕) 등에 의해 조직되었으며, 일제의 주요시설 파괴를 목적으로 하였다. 조재만은 암살단에 가입하여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 활동하는 한편, 1927년 10월 경 장진홍과 함께 경북도청(慶北道廳)·경북경찰부(慶北警察部)·조선은행 대구지점(朝鮮銀行大邱支店)·식산은행 대구지점(殖産銀行大邱支店) 등지를 폭파시키고자 계획하였다. 1927년 10월 18일 오전 9시 경, 장진홍은 미리 준비한 폭탄 4개를 목표 지점에 1개씩 배달시켰으며, 이날 오전 11시 50분 경 폭탄이 폭발하여 은행원과 일경 등 5명이 중경상을 입는가 하면 유리창 70여 매가 완전히 부숴졌다. 일경은 이 사건에 대한 신문게재를 금지시키는 한편 비밀리에 조사를 진행시켰는데, 이때 조재만은 폭탄을 투척한 것과 연루되어 붙잡혔다. 그는 이 일로 소위 폭발물 취체규칙 및 치안유지법으로 2년 여의 옥고를 치렀다. 그 후 1931년에는 이원록과 함께 독립운동을 위해 중국 북경(北京)으로 망명할 계획을 세우기도 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7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