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광복군
사건설명
한국 광복군
사건설명
TOTAL. 45 건
이종희 집
이종희(1890 - 1946)는 전북 김제(金堤) 사람이다. 일찍이 만주를 거쳐 광동(廣東)에서 의열단(義烈團)에 가입하여 활동하다가, 중국의 황포군관학교(黃埔軍官學校) 제4기를 졸업하고 상해(上海) 남경(南京)에서 항일활동을 전개하였다. 1932년에는 중국군 부대 상위연장(上尉連長)으로 복무하면서 남경(南京)에서 의열단 간부를 양성하기 위하여 교관을 맡기도 하였다. 1936년 2월에는 민족혁명당(民族革命黨)에 입당하여 군사국 특무부의 책임자로 있으면서 일제요인 암살 등을 지휘하였다. 1938년 10월에는 김약산(金若山)·박효삼(朴孝三)·이익성(李益星)·김세일(金世日) 등과 함께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를 조직하여 조선혁명청년들에게 정확한 전투적 정치 노선을 제시하였다. 1942년 4월 조선의용대가 광복군에 편입됨에 따라 광복군 제1지대의 소교(少校)로 임명되어 총무조장으로 복무하였다. 광복군 제1지대 본부는 중경(重慶)에 있었으며, 주로 대원들의 군량 수급 사무, 신입 대원에 대한 교육훈련과 연합군측에서 필요로 하는 인원을 요청할 경우의 인원 파견, 그리고 교육훈련이 끝난 대원들을 지대장 특명으로 수시 적 점령지구로 파견하여 초모 선전, 정보 수집 및 연합군과의 합작공작 등 임무를 수행하게 하면서, 각 구대의 공작활동을 지휘 감독하였다. 그는 초대 지대장인 김약산(金若山)의 뒤를 이어 제2대 제1지대장을 역임하였다. 한편 1942년 10월에는 중경(重慶)에 있는 임시정부의 의정원 전라도 의원선거회장으로 임명되었으며, 임시의정원의 의원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그는 광복 시까지 임시정부 의정원 의원과 광복군 고급참모로서 항일투쟁을 계속하였으며, 귀국 도중 선중(船中)에서 별세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77년에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서정천 사적비
서정천(1917 - 1966)은 전북 김제(金堤) 사람이다. 중국 하남성(河南省) 개봉(開封)에서 광복군 제1지대 제1구대에 입대하여 전방에서 광복군 공작활동을 전개하였다. 1944년 8월 제 5전구 소속 전시간부훈련단(戰時幹部訓練團)에 특설한 정공간부훈련반(政工幹部訓練班) 제 2기생으로 입교하여 3개월 간의 정훈교육을 받았다. 1945년 3월 호북성(湖北省) 담현(潭縣)에서 초모공작 및 적 정보 수집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가 광복을 맞이하였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2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오성행 묘
오성행(1921 - 2000) 선생은 평남 평양(平壤) 사람이다. 1939년 산서성(山西省) 심현(心縣)에서 중국군 군사위원회 제18집단 군사령부에 소속되어 항일전에 참전하기도 하였으며, 1940년에는 한국청년전지공작대(韓國靑年戰地工作隊)에 입대하였다가 광복군이 창설되자 제5지대에 배속되었으며, 중국 중앙전시간부훈련 제4단 특과총대학원대 한청반(中央戰時幹部訓練 第四團 特科總大學員隊韓靑班)에서 군사훈련을 받았다.1942년 4월에는 광복군 제2지대 제1구대 제3분대장이 되어 초모 공작활동과 적 정보수집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같은 해 9월부터는 광복군 제2지대 본부 부관으로 배속되어 복무하였으며, 1944년에는 중국군관학교 외국어과 교관으로 임명되어 후배를 양성하던 중 광복을 맞이하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수여하였다.
문덕홍 묘
문덕홍(1902 -1949)은 제주도 한림(翰林) 사람이다. 일본 배의 선원으로 근무하다가 상해에서 탈출하여 1941년 초에 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하였으며, 1942년 10월에는 임시정부 경비대원(警備隊員)에 임명되어 1945년 1월까지 활동하였다. 1943년 10월 2일에는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 전라도 대표 의원으로 피선되었으며, 한국독립당에 입당한 뒤 1944년에는 임시정부 재무부 총무과원으로 근무하다가 동년 6월 서무국원을 겸직하였다. 1945년 봄에 국내비밀공작원으로 국내에 특파되어 활동하던 중, 체포되었다가 조국 광복으로 석방되었다고 한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문덕홍 집
문덕홍(1902 -1949)은 제주도 한림(翰林) 사람이다. 일본 배의 선원으로 근무하다가 상해에서 탈출하여 1941년 초에 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하였으며, 1942년 10월에는 임시정부 경비대원(警備隊員)에 임명되어 1945년 1월까지 활동하였다. 1943년 10월 2일에는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 전라도 대표 의원으로 피선되었으며, 한국독립당에 입당한 뒤 1944년에는 임시정부 재무부 총무과원으로 근무하다가 동년 6월 서무국원을 겸직하였다. 1945년 봄에 국내비밀공작원으로 국내에 특파되어 활동하던 중, 체포되었다가 조국 광복으로 석방되었다고 한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77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다.
황갑수 공적비
황갑수(1921 - 2009)는 옛 충청남도 연기군 전동면 출신으로 광복군 분대장을 맡아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45년 2월에 광복군 제 1지대에 입대하여 중국의 후난성에서 활발히 활동하면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중국군의 일화를 알게 된 이병곤(李炳坤)은 설악 사령장관에게 애국 청년들을 후방 지역에 집결시켜 교육을 실시하게 할 것과 제 9전구를 단위로 한 광복군 편성에 협조하여 줄 것을 요청하였다. 이병곤의 요구를 설악 사령장관은 받아들였다. 1944년 각 전선에는 100여 명의 애국 청년들이 일본군에서 탈출하여 합류하였다. 청년들은 광복군으로 편성될 때까지 비호대(飛虎隊)라는 부대명으로 대장 이봉훈과 부대장 진병길을 주축(主軸)으로 하여 동지 결속 및 우군에 대한 작전 지원 활동을 계속하였다. 그리고 각종 지침에 따라 1945년 교육 훈련 도중에 각 전선으로부터 광복군 공작 요원을 파견하여 달라는 요청이 쇄도하여 부득이하게 일면 교육 일면 공작으로의 방침으로 변경하지 않을 수 없었다. 따라서 구대장 이병곤은 전재덕(全在德)·강익진(康翊鎭)·황갑수를 각각 조장(組長)으로 한 3개 공작조를 편성하는 것으로 조직을 개편하여 공작에 임하게 하였다. 황갑수가 속하여 있던 광복군의 활동은 우군의 제일선 싸움터에서 170여 명의 대원이 집결하여 전방 또는 후방 공작에 참여함으로써 우군 작전에 많은 공헌을 세웠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2년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백문기 공훈비
백문기 선생은 경북 예천(醴泉) 사람이다. 일본군 제8637부대에서 동료 3명과 함께 탈출하여 중국군 제4군단 제45사단에 편입하여 항일활동을 전개하였다. 그후 광복군 제1지대 제3구대에 편입되어 단기교육을 수료한 후 공작반에 배속되어 항일운동을 전개하던 중 광복을 맞이하였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2년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이범석 집, 유허지비
이범석은 1900년 10월 20일 서울에서 태어났지만 한동안 목천읍 서리 뒷산 밑의 증조부 집에서 자랐다. 이범석(1900 - 1972)의 호는 철기(鐵驥, 哲琦), 자는 인남(麟男), 이명은 이국근(李國根), 윤형권(尹衡權), 김광두(金光斗), 왕운산(王雲山), 왕모백(王慕白)이다. 이범석은 중국 지역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20년에 김좌진 장군과 함께 청산리 대첩에 참가하여 큰 공을 세웠으며, 1941년 임시 정부가 한국광복군을 창설하자 참모장으로 참가하였다. 광복 후에는 조선 민족 청년단(朝鮮民族靑年團)을 창설하여 청년 교육에도 힘썼다. 1948년에 대한민국 초대 국무총리 및 국방 장관 등을 역임했다.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63년에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윤병한 공적비
윤병한(1873-1932)은 충청북도 진천 사람으로, 대한제국의 육군참위로서 일제의 강압에 의해 군대가 강제해산을 당하자 의병에 참여하여 일제에 항쟁하였다. 경술국치를 당하여 국권이 침탈되자 고향인 농민계몽에 힘 쓰던 중, 전국적으로 3·1독립만세 운동이 일어나자, 광혜원(廣惠院)의 정관옥(鄭寬玉), 오은영(吳殷泳)과 의논하여 자신이 경영해 오던 회죽리 일대의 면유림(面有林)에 나무를 심는 날을 이용하여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기로 결의하였다. 거사일인 4월 2일 식목 작업 중에 독립만세를 부르자고 제의하고, 거사일에 제일 먼저 앞장서서 태극기를 흔들며 독립만세를 외치자, 정운화(鄭雲和), 남계홍(南啓弘), 백선옥(白先玉), 이영호(李榮鎬) 등 200여 명이 독립만세를 따라서 외쳤다. 시위군중의 선두에 서서 마을 안을 행진하다가, 만승면(萬升面) 사무소에 이르러 면서기에게 같은 조선 사람으로서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할 것을 요구하면서 면사무소에 투석하고 곡괭이 등으로 파괴하는 동시에 인근에 새로이 건설 중이던 헌병주재소로 달려가 공사 현장의 건축자재 등을 폐기시키고 벽을 곡괭이로 헐어버리는 등 격렬하게 독립만세시위를 벌였다.이튿날 광혜원 장날을 이용하여 계속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할 것을 꾀하여, 4월 2일 저녁에 광신사(廣信社)에서 만든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라는 경고문 등을 면사무소 소사인 박수문(朴壽文)에게 20여 매를 인쇄하게 하였고, 이를 장터 곳곳에 붙여놓게 하였다. 4월 3일 장터에 모인 2천여 명의 군중의 선두에 서서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위를 하던 중, 진천에서 온 10여 명의 일본 헌병이 무차별 발포함으로써 유치선(柳致先)과 그의 어머니가 적탄에 맞아 현장에서 희생된 것을 비롯하여 10여 명이 순국하고 많은 부상자를 낸 채 시위군중이 해산하였다. 4월 4일에 진천에서 일본 헌병 20명을 파견하여 광혜원 독립만세시위 주동자의 검거를 시작하였다. 결국 윤병한도 동지들과 함께 체포되었으며, 그해 9월 18일 고등법원에서 징역 3년 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렀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0년 대통령 표창)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