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계몽운동
사건설명
이와 같은 애국계몽단체의 활동으로는 <제국신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등 신문과 <대한자강회월보>, <대한협회회보> 등 기관지 또는 학회지 발간을 통한 민중계몽운동이 있다. 또한 보광학교, 한남학교 등 학교 설립과 <보통교과동국역사>, <동국사략>, <대동역사략> 등 교과서 편찬을 통한 교육계몽운동, 그리고 국채보상운동 등의 경제구국운동 등을 펼치며 국력을 키우고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애국계몽운동
사건설명
TOTAL. 315 건
이만도 묘
이만도(1842 - 1910)의 자는 관필, 호는 향산이며, 조선 후기 사간원정언, 교리, 중학교수 등을 역임한 학자이자 독립운동가이다. 1866년(고종 3) 정시에 장원급제하여 성균관전적에 임명되었다가 병조좌랑에 제수되었다. 이어 사간원정언에 임명되고, 홍문관부수찬으로서 남학교수(南學敎授)를 겸하였다. 또한 대신(문신)으로서 선전관을 겸하기도 하였다. 이 후 부교리·장령·지평·우통례(右通禮)·병조정랑·충청장시도사(忠淸掌試都事)·교리·응교·사간·집의·중학교수(中學敎授) 등을 역임하였는데, 가는 곳마다 명성이 높았다. 또한 시강(侍講) 및 빈대(賓對) 때에 이만도가 상주하는 말을 고종이 모두 기꺼이 받아들였다고 한다. 1876년 일본대사 구로다[黑田淸隆]가 와서 강화도조약을 체결할 때 최익현(崔益鉉)이 반대 상소를 올리자,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한목소리로 공격을 하였다. 그 때 집의로서 탄핵문의 문구가 사리에 맞지 않다고 없앴다가 대사헌의 미움을 받아 집의직을 삭탈당하였다. 그 뒤 다시 복직되고, 사성·응교·장악정(掌樂正) 등을 역임하였다. 그 해 가을 양산군수에 제수되어 굶주리는 백성을 보살피고 탐관오리를 소탕하는 데 공을 세웠다. 1878년 다시 집의에 임명되어 홍문관·사헌부·사간원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1882년 통정대부에 올라 곧 공조참의에 임명되었으나 사임하였다. 세상이 어수선해지자 벼슬길을 단념, 동부승지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그 뒤 백동(柏洞)에 작은 서재를 지어 놓고 경서를 연구하며 날을 보내다가,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나고 단발령이 내려지자 예안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하였다. 1905년 강제로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을사오적의 매국죄를 통렬하게 공박하는 소를 올렸다. 1907년 순종이 즉위한 뒤 가선대부에, 1910년 자헌대부에 승자되었다. 그 해 8월 일제에 의해 한국이 병탄되자 유서를 지어 남긴 뒤 단식 24일 만에 순국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상주시 국채보상운동기념비
국채보상운동은 1907년 1월 대구에서 김광제, 서상돈 등에 의하여 일제가 조선의 경제를 침탈하기 위하여 벌인 1,300만원의 국채를 갚기 위한 국권수호운동으로 국채를 국민들의 모금으로 갚기 위하여 발의된 국권회복운동으로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상주지역의 국채보상운동은 상주시 외서면 이천리에서 시작되었으며 이해 3월 3일 김재익, 박정분을 발기인으로 국채보상상주의무소취지서를 발표하였다. 함창지역의 취지서는 황성신문 3월 24일자에 의하면 채규일, 김규환, 정동락, 박주환 등이 발기인이고 회장은 신관희, 부회장은 권용학, 총무는 김면수이며, 상주지역이 일찍 국채보상운동에 참여 하게 된 것은 지역출신인 강신규가 대동광문회 국채보상운동의 발기인으로 참여 하였기 때문이다. 상주지역에서는 다양한 계층에서 의연금 모금에 참여하였다. 사대부들은 향교를 통하여 200원을 출연하였고, 문중의 경우는 외서면 오씨문중, 최씨문중, 이씨문중이 참여를 하였었다. 개인으로는 장교익, 김문화는 각 40원을, 채규일 30원, 강석희, 강신규부자, 박정분, 서상요, 손국인, 김성득, 이장금 등이 20원, 김규환, 김도식, 강윤희 등이 10원을 의연하자 모금운동은 전지역으로 확산되었고, 특히 1원의 기부 참여자가 많았다. 국채보상운동은 국가가 위기에 처하였을 때 전개한 세계사에서 유래를 찾을 수 없는 국권수호 운동이었고 발전한 대한민국의 원동력이었다. 이러한 선조들의 훌륭한 정신을 오늘날 나눔과 책임의 시대정신과도 연결된다. 그리하여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애국심을 고향하고자 이 비를 세웠다.
상주 국채보상운동 발상기념비
상주시 외서면 이천리는 상주의 국채보상운동 발상지이다. 국채보상운동은 1907년 1월 29일 대구에서 서상돈, 김광제와 상주 출신 강신규 선생 등 16명의 애국지사들이 발의하여 같은 해 2월 21일 대구의 북후정에서 대구군민대회를 시작으로 전국에 확산된 국권회복운동이다. 이 운동은 일제가 조선의 경제권을 침탈하기 위하여 의도적으로 준 나라 빚 1,300만원을 2천만 동포가 3개월간 담배를 끊고 저축한 돈으로 경제적 주권을 회복하자는 애국운동으로서, 고종황제로부터 서민제중과 해외동포에 이르기까지 의연금 모금의 물결이 온 나라에 넘쳤다. 상주의 국채보상운동은 대구군민대회 직후 '외서면 유천동 국채보상 성명 성책"이 착성되여 이 마을 주민 41명과 이호서당이 16원 44전의 의연금을 출연한데 이어, 3월 3일에는 대구의 국채보상금 수급소로부터 상주 외서 이하리(오늘의 이천리) 국채보상소로 공한이 내려졌으니 이 마을이 상주 국채보상운동의 중심이었음을 말해준다.
최규동 집
최규동(1882 - 1953)은 해방 이후 서울시교육회장, 서울대학교 이사장, 서울대학교 총장 등을 역임한 교육자이다. 경상북도 성주 출신. 사숙(私塾)에서 한학을 공부하고 광신상업학교(廣信商業學校)를 거쳐 정리사(精理舍)의 수학연구과를 졸업하였다. 평양의 기명학교(箕明學校)·대성학교(大成學校) 등에서 수학교사로 재직하였다. 그 뒤 서울의 휘문의숙(徽文義塾)에 교사로 있다가 1918년 중동학교(中東學校)를 인수하여 교장에 취임하였다. 일제강점기 초반 학생들에게 민족정신과 구국애족정신을 고취하기 위하여 1주일에 50여 시간을 가르치는 등 정성을 기울였다. 그러나 일제시대 기록물에서 조선 신궁(神宮: 神社)의 중일전쟁 기원제 발기인 및 임전보국단(臨戰報國團) 평의원을 지낸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1942년 6월 일제 관변지 『문교의 조선』에「죽음으로써 군은(君恩: 일본 천황의 은혜)에 보답하다」라는 글이 게재되는 등 일제에 협력하기도 하였다. 이글에 대해 2015년 서울교대 안천 명예교수가 "백농 선생 모르게 서무실 직원이 써서 주었다"고 진술하였다. 광복과 더불어 같은 해 9월 한국교육위원회가 조직되었을 때 7명의 위원 중 한 사람으로 일반교육의 책임자가 되었다. 이어 교육심의회가 조직되었을 때 제3분과 위원회에서 교육행정분야를 담당하였으며, 1947년 조선전기공업중학교를 인수하여 중동중학교와 함께 교장직을 겸임하였다. 그 뒤 서울시교육회장·서울대학교 이사장·조선교육연합회 회장 등을 지냈으며, 1949년 제3대 서울대학교 총장이 되었다. 1950년 6·25전쟁 때 납북, 평양에서 작고하였다.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최규동 묘
이경환 사적비, 의열각
이경환(1902 - 1929)은 경상북도 성주(星州) 사람이다. 1928년 11월 25일 일본천황이 경도(京都)에 갔을 때 일제의 한국병탄의 부당성과 총독부 철폐를 요구하는 직소장(直訴狀)을 제출하려고 하다가 경도의 동본원사(東本願寺) 앞에서 일제 경찰에 붙잡혀 9개월간 옥고를 치르고 귀국하였다. 1929년 11월 25일 빼앗긴 나라에서 더 이상 살 수 없다고 하여 목을 매어 자결하였으며, 부인도 뒤따라 자결하였다고 한다.정부에서는 그의 충절을 기리어 1991년에 건국훈장 애국장(1968년 대통령표창)을 추서하였다.
청천서당 성명학교
청천서당은 동강 김우옹 선생을 제사지내던 집으로 조선 영조 5년(1729)년에 지어졌다. 처음에는 청천서원이라는 이름으로 회연서원과 함께 성주지역의 중심서원이었으나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철거 되었다. 그 후 동강의 12대 후손인 김호림에 의해 청천서당으로 이름을 바꾸어 다시 지었다. 1910년에는 심산 김창숙 선생이 청천서당을 성명학교라고 하고 애국계몽운동을 위한 학교로 활용되기도 하였고, 김창숙 선생이 한때 머물던 장소이기도 하다.
장기석 충의기적비
장기석(1860 - 1911)은 일제강점기 일본경찰을 구타하여 옥중에서 순절한 독립운동가이다. 본관은 옥산(玉山). 자는 진여(震汝). 경상북도 성주 출신. 일찍 부모를 여의고 몹시 가난하여 38세까지 공부를 하지 못하였다. 부인 박씨와 함께 열심히 살아 재산을 모은 뒤, 공부를 못하였음을 부끄럽게 여겨 3년간 두문불출하고 밤낮없이 학업에 전념하였다. 일제강점기 때 성주군수와 경찰서장으로부터 메이지[明治]의 천장절(天長節) 경축식에 참석할 것을 강요받자, 이를 단호히 거절하고 일본경찰을 목침으로 때려 중상을 입힌 뒤 대구형무소에 수감되었다. 그곳에서 바로 단식을 시작하여 10여일 만에 의식을 잃었다. 일본경찰들이 강제로 음식을 먹이려 하자 그릇으로 서장을 때리며 먹기를 거부, 옥중에서 순절하였다. 1963년 대통령 표창, 1977년에 건국포장, 1990년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장기석 해동청풍비, 박씨부인 기열비
해동청풍비(海東淸風碑) 이 비는 1936년 애국지사 자하 장기석선생의 충절을 추모하는 뜻있는 선비들이 정성을 모아 건립한 것인데, 얼마후 일본관헌에 의해 네조각으로 파손되어 천변에 깊이 묻혀 있던 것을 광복 후에 다시 발굴해서 원형대로 복원해 놓은것이다. 선생은 한일합방의 부당함을 단신으로 규탄하다가 왜경에 끌려가서 갖은 협박과 유혹에도 굴하지 않고 끝까지 싸우다가 옥중에서 단식 27일만에 순절하였다. 한편 선생의 부인 함양박씨는 일본정부가 이 비를 철거한다는 소식을 듣자 철거 전날밤에 소복을 한 채, 이제 나의 넋이 이 유지를 지키리라고 유언하고, 비 뒤에 있는 고목에 목을 걸어 자진하였다. 후일 이를 기려 부인의 기열비를 이 비 곁에 세웠다. 이 비를 해동청풍이라 이름한 것은 옛날 은나라 충신 백이숙재의 고사를 선생의 충절에 비유한 것이다.
이중언 집
이중언(1850 - 1910)의 자는 동관, 호는 동은, 아명은 문석이며, 개항기 상의원직장, 성균관전적, 사간원정언 등을 역임한 의병장이다. 1879년(고종 16) 문과에 급제한 뒤 상의원직장(尙衣院直長)·성균관전적·사간원정언을 역임하고, 1880년 사헌부지평 등을 지냈다. 1882년 정국이 혼란하자 봉화의 임당산(林塘山)에 들어가 농사를 지었다. 1895년 8월 일제에 의하여 명성황후시해가 자행되고 단발령이 내려지자, 김도현(金道鉉)이 안동·영양 등지를 중심으로 창의하자 이에 가담하여 전방장으로 활약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체결되자 을사오적의 목을 베어야 한다고 상소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1910년 강제병합 소식을 듣고 통분하여 집 밖에 좁다란 방 한칸을 마련하고 외부와 접촉을 끊고 때때로 을사조약 체결 때 상소하였던 글을 읽으면서 눈물을 흘렸고, 선조의 사당과 묘를 참배한 뒤 수십 일 식음을 전폐하였다. 이 무렵 일본경찰 몇 명이 와서 음식을 먹도록 권하라고 식구들을 협박하자, 때마침 베개를 의지하고 졸고 있다가 벌떡 일어나 벼락같은 호령을 하고 나서 머리를 빗고 의관을 정제하고 똑바로 앉아서 순국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이중언 순국지
이중언(1850 - 1910)의 자는 동관, 호는 동은, 아명은 문석이며, 개항기 상의원직장, 성균관전적, 사간원정언 등을 역임한 의병장이다. 1879년(고종 16) 문과에 급제한 뒤 상의원직장(尙衣院直長)·성균관전적·사간원정언을 역임하고, 1880년 사헌부지평 등을 지냈다. 1882년 정국이 혼란하자 봉화의 임당산(林塘山)에 들어가 농사를 지었다. 1895년 8월 일제에 의하여 명성황후시해가 자행되고 단발령이 내려지자, 김도현(金道鉉)이 안동·영양 등지를 중심으로 창의하자 이에 가담하여 전방장으로 활약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체결되자 을사오적의 목을 베어야 한다고 상소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1910년 강제병합 소식을 듣고 통분하여 집 밖에 좁다란 방 한칸을 마련하고 외부와 접촉을 끊고 때때로 을사조약 체결 때 상소하였던 글을 읽으면서 눈물을 흘렸고, 선조의 사당과 묘를 참배한 뒤 수십 일 식음을 전폐하였다. 이 무렵 일본경찰 몇 명이 와서 음식을 먹도록 권하라고 식구들을 협박하자, 때마침 베개를 의지하고 졸고 있다가 벌떡 일어나 벼락같은 호령을 하고 나서 머리를 빗고 의관을 정제하고 똑바로 앉아서 순국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향산고택
향산고택은 향산 이만도 등 3대에 걸쳐 독립운동가를 배출하여 ‘삼대독립운동가문’으로 지정된 고택으로, 독립운동사의 지역적 상징성과 역사성을 간직하고 있으며, 2014년 국가민속문화재로 지정되었다. 집의 형태는 정면 5칸, 측면 1칸 규모의 一자형 사랑채와, 정면 5칸 측면 3칸 반 규모의 ㄷ자형의 안채가 튼 口자형을 이루고 있다. 안동시 도산면 토계리에 있었으나 안동댐 수몰로 인하여 1976년 현 위치로 옮겨졌다. 집안 내력과 독립운동에 관한 3,000여점 이상의 전적류 및 유품 등의 유물도 잘 보전되고 있다.이만도(1842 - 1910)의 자는 관필, 호는 향산이며, 조선 후기 사간원정언, 교리, 중학교수 등을 역임한 학자이자 독립운동가이다. 1866년(고종 3) 정시에 장원급제하여 성균관전적에 임명되었다가 병조좌랑에 제수되었다. 이어 사간원정언에 임명되고, 홍문관부수찬으로서 남학교수(南學敎授)를 겸하였다. 또한 대신(문신)으로서 선전관을 겸하기도 하였다. 이 후 부교리·장령·지평·우통례(右通禮)·병조정랑·충청장시도사(忠淸掌試都事)·교리·응교·사간·집의·중학교수(中學敎授) 등을 역임하였는데, 가는 곳마다 명성이 높았다. 또한 시강(侍講) 및 빈대(賓對) 때에 이만도가 상주하는 말을 고종이 모두 기꺼이 받아들였다고 한다. 1876년 일본대사 구로다[黑田淸隆]가 와서 강화도조약을 체결할 때 최익현(崔益鉉)이 반대 상소를 올리자,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한목소리로 공격을 하였다. 그 때 집의로서 탄핵문의 문구가 사리에 맞지 않다고 없앴다가 대사헌의 미움을 받아 집의직을 삭탈당하였다. 그 뒤 다시 복직되고, 사성·응교·장악정(掌樂正) 등을 역임하였다. 그 해 가을 양산군수에 제수되어 굶주리는 백성을 보살피고 탐관오리를 소탕하는 데 공을 세웠다. 1878년 다시 집의에 임명되어 홍문관·사헌부·사간원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1882년 통정대부에 올라 곧 공조참의에 임명되었으나 사임하였다. 세상이 어수선해지자 벼슬길을 단념, 동부승지에 제수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그 뒤 백동(柏洞)에 작은 서재를 지어 놓고 경서를 연구하며 날을 보내다가,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나고 단발령이 내려지자 예안에서 의병장으로 활약하였다. 1905년 강제로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을사오적의 매국죄를 통렬하게 공박하는 소를 올렸다. 1907년 순종이 즉위한 뒤 가선대부에, 1910년 자헌대부에 승자되었다. 그 해 8월 일제에 의해 한국이 병탄되자 유서를 지어 남긴 뒤 단식 24일 만에 순국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