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응록
한자명
金應錄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7 ~ 미상
본적
평안남도 강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3일 평안남도(平安南道) 강서군(江西郡) 읍내에서 다수의 군중과 독립만세 시위를 전개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응룡
한자명
金應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2 ~ 1919
본적
경상남도 울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 4. 4. 경남 울산군 하상면(下廂面) 병영리(兵營里)의 독립 만세 거사(獨立萬歲擧事)를 위하여 태극기(太極旗)를 500여매(餘枚)를 만들고「대한독립 만세(大韓獨立萬歲)」라고 쓴 큰 기를 만들어 시위 군중(示威群衆)이 대한독립 만세(大韓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는 가운데 일군(日軍)에게 덤벼들어 총기(銃器)와 대도(帶刀) 등을 탈취(奪取)하려다가 일군(日軍) 수비대(守備隊)의 무차별(無差別) 발포(發砲)로 사살(射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응만
한자명
金應萬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901 ~ 미상
본적
평안도 미상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42년 12월 중국 중경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생계부(生計部) 부원, 1943년 3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생계부 생계과 과장 등으로 활동함. 1943년 3월 한국독립당 제5구 비서, 같은 해 6월 동당 대표로 제3차 전당대회에 참석하였으며, 1944년 조선민족혁명자통일동맹원으로 활동함.

인물정보

성명
김응문
한자명
金應文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12
본적
강원도 영월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9년

공적개요

1910년 김상태 의진(金尙台義陣)에 소속되어 음(陰) 4월 경북(慶北) 순흥군(順興郡)(현 영주시) 단산면(丹山面)에서 일본인의 밀정을 처단하고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 체포되어 사형(死刑)을 받고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응백
한자명
金應伯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0 ~ 1911
본적
전라남도 광양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08년 황영문 의진(黃永文義陣)에 참여하여 동년(同年) 8월 5일 의병(義兵) 150여 명과 함께 전남(全南) 광양군(光陽郡) 진하면(津下面) 망덕리(望德里)에 거주하는 일인 석전경작(石田耕作)과 각야인평(角野仁平) 집에 들어가 각야인평(角野仁平)의 식구 4인을 처단하고 보관된 무기를 빼앗은 다음 두 채의 집을 소각시켰으며, 1908년에서 1910. 1월까지 강치선(姜致善)·고운서(高云西)·송용문(宋龍文) 등과 더불어 군내(郡內)의 부호가들에게 군자금을 거두는 등 항일(抗日) 활동(活動)을 하다가 피체(被逮)되어 교형(絞刑)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응봉
한자명
金應鳳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8 ~ 1910
본적
강원도 평강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07.11월 왕회종 의진(王會鍾義陣)에 가담하여 황해(黃海) 신계(新溪), 토산(兎山), 경기(京畿) 장단(長湍), 연천(漣川), 삭녕(朔寧), 강원(江原) 이천(移川), 안협군(安峽郡) 등지에서 활동하였으며 1910년 연기(延起)(기(基))우(羽) 의병진(義兵陣)에 소속되어 군자금을 모금하는 등 활동하던 중 일본수비대의 기습을 받고 항전 끝에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김응봉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응삼
한자명
金應三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10 ~ 1942
본적
평안북도 선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35. 2월 중국(中國) 남경성(南京城) 동관두(東關頭)에서 혁명 공작(革命工作)을 수행(遂行)하는데 필요(必要)한 군사 교육(軍事敎育)을 중국 중앙군관학교(中國中央軍官學校)에서 교육 훈련(敎育訓練)을 받고 1941. 3. 1. 광복군 제(光復軍 第)6지대 징모분처(支隊徵募分處)(후(後)에 징모처(徵募處) 제3분처(分處))위원훈련조장(委員訓練組長)이 되어 상요(上饒)등지에서 활동(活動)하다가 1942. 6월 중국 괴뢰군(中國傀儡軍)인 화평군(和平軍)의 반정 공작(反正工作)을 전개(展開)할 때 부상(負傷)을 당(當)하여 피체(被逮)되어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응삼
한자명
金應三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6 ~ 1909
본적
전라남도 구례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07. 12. 11. 고광순(高光洵)이 전남(全南) 저산(猪山) 제각(祭閣)에서 의기(義旗)를 들자 입진(入陣)하여 활동(活動)하다가 구례군(求禮郡) 연곡사(燕谷寺)에서 광주수비대(光州守備隊)의 내습(來襲)을 받고 교전(交戰)하다가 전사 순국(戰死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응선
한자명
金應善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0 ~ 미상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6년

공적개요

1910년 12월경 경기도(京畿道) 포천(抱川)․가평(加平)․영평군(永平郡) 등지에서 강기동 의진(姜基東義陣)에 참여하여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응선
한자명
金應善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1 ~ 1944
본적
충청북도 옥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08년 경남(慶南) 함양(咸陽)에서 문태수(文泰洙)가 기의(起義)하자 의병(義兵)으로 입진(入陣)하여 활동(活動)하였으며 이후 만주(滿洲) 집안현(輯安縣)에서 정의단(正義團)에 가입(加入)하여 활동(活動)하고 1925년 입국(入國)하여 창의단원(倡義團員)들과 함께 폭탄(爆彈) 6개(個)를 제조(製造)하고 조선총독부 경성부청(朝鮮總督府京城府廳) 조선신궁(朝鮮神宮) 조선은행(朝鮮銀行) 종로경찰서(鐘路警察署) 등 일 관공서(日官公署)를 폭파(爆破)할 계획(計劃)을 추진(推進)하던 중 피체(被逮)되어 징역 4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응선
한자명
金應先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4 ~ 1949
본적
전라북도 순창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음(陰)) 3.2일 김선여 의병진(金先汝義兵陣)에 입진(入陣)하여 의병활동(義兵活動)을 하였으며 동년(同年)3월20일 동료(同僚) 12명(名)과 총기(銃器) 5정(挺)을 휴대(携帶)하고 전북(全北) 순창군(淳昌郡) 복흥면(福興面)을 중심(中心)으로 활동(活動)하다 일경(日警)에게 피체(被逮)되어 징역2년6월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응섭
한자명
金應涉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8 ~ 1921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8년

공적개요

1919. 3. 1 이래로 독립단(獨立團)에 가입(加入)하여 각 방면으로 광복사업에 힘쓰고 특히 우리 군대에 관한 교섭을 많이 하는 등 외교사무에 진력하다가 1921년 석두하자 사변시(石頭河子事變時)에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응록

한자명

金應錄

생몰년도

1877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남도 강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룡

한자명

金應龍

생몰년도

1902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울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만

한자명

金應萬

생몰년도

1901 ~ 미상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훈격

2020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도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문

한자명

金應文

생몰년도

미상 ~ 1912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9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영월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백

한자명

金應伯

생몰년도

1870 ~ 1911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광양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봉

한자명

金應鳳

생몰년도

1878 ~ 1910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6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평강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삼

한자명

金應三

생몰년도

1910 ~ 1942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선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삼

한자명

金應三

생몰년도

1886 ~ 1909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구례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선

한자명

金應善

생몰년도

1880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6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선

한자명

金應善

생몰년도

1881 ~ 1944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옥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선

한자명

金應先

생몰년도

1874 ~ 1949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순창

자세히 보기

성명

김응섭

한자명

金應涉

생몰년도

1898 ~ 1921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8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