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연천 항일독립운동 기념탑

유형
기념탑·기념공원·기념관
주소
경기도 연천군 백학면 두일리 372-1

사적지 지도 안내

길찾기   |   로드뷰

사적지 개요

연천 항일운동 기념탑은 일제 강점기에 나라를 구하기 위하여 백학면 두일리 장터에서 자발적으로 만세운동을 일으킨 선열들을 기리고 관내 학생들에게 역사의식 고취 및 산 교육장으로 활용하고자 연천군 백학면 두일리평화관광교육관 부지 내에 2008년 8월에 건립하였다.

인물정보

성명
강기동
한자명
姜基東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4 ~ 1911
본적
경기도 장단
포상훈격
대통령장
포상년도
1962

공적개요

1. 장단(長湍) 고랑포(高浪浦) 헌병보조원으로 옥문을 열어 다수의 의병을 구출하였음 2. 1908년 의병장 이은찬(李殷贊)이 잡혔다는 말을 듣고 오수영(吳壽泳), 강원호(姜元浩) 등과 왜병을 토벌할 것을 죽엄으로 맹서하고 여러 방면으로 격전하다가 원산에서 체포되어 총살

인물정보

성명
강명선
한자명
姜明善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0 ~ 1944
본적
경기도 연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08.2월 의병장 박종환(朴宗煥) 휘하(麾下)에서 동지(同志) 10여명(餘名)과 같이 총기(銃器)를 휴대(携帶)하고 장단군(長湍郡) 및 마전군(麻田郡)을 중심(中心)으로 군자금(軍資金)을 모집(募集)하며 활동(活動)하다 1908.11.10. 대심원(大審院)에서 징역 15년형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강종근
한자명
姜琮根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1 ~ 1942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3

공적개요

1919년 철령의 이동교회(裡洞敎會)의 목사 최학기(崔學基)로부터 감화받아 민족의식을 형성한 후 목회활동을 해오던 중 1937년부터 1940년까지 강원도 김화(金化)의 창도교회(昌道敎會)에서 목사로서 활동하며 조선의 독립과 한민족의 실력양성 등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설교를 하였다가 1941년 일경(日警)에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고 옥고를 치르다 사망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고문성
한자명
高文成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9 ~ 미상
본적
경기도 기타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07년 박종한 의진(朴宗漢義陣)에 가입하여 경기(京畿) 장단(長湍)에서 8월 26일(음) 부터 9월 30일까지 의병군수금 모금활동을 한 후 피체(被逮)되어 징역 3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구금룡
한자명
具今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미상
본적
경기도 연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9. 3. 21 서울 및 전국 각지의 만세시위 운동에 호응하여 경기도(京畿道) 연천군(漣川郡) 백학면(百鶴面) 두일리(斗日里) 장날을 이용 군중을 규합하여 독립만세를 고창하였으며,면사무소와 헌병주재소 등에서 격렬한 시위를 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권득수
한자명
權得洙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3 ~ 1907
본적
경기도 연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07.9월 의병(義兵) 200여명(餘名)을 규합(糾合)하여 의병장(義兵將)이 되어 양근(楊根), 지평(砥平), 이천(利川), 양주(楊州)등지에서 활동(活動)하고 휘하(麾下)60여 의병(餘義兵)을 직접(直接) 인솔(引率)하여 양주군(楊州郡)에서 5만량(萬兩)의 군자금(軍資金)과 총(銃) 13정(挺)을 모집(募集)하는 등 상당(相當)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권승묵
한자명
權承默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1 ~ 미상
본적
경기도 양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09년 12월 강기동 의진(姜基東義陣)에 들어가 강원호(姜元鎬) 외 1명과 함께 경기(京畿) 적성(積城)에서 의병군수금품을 수합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3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계식
한자명
金界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3 ~ 1943
본적
함경남도 북청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9

공적개요

1919년 4월 함남(咸南) 북청(北靑)에서 천도교(天道敎)가 주도한 한인관리(韓人官吏) 포섭자금 모금활동을 하다가 피체(被逮)되어 5개월여의 옥고(獄苦)를 치른 끝에 면소(免訴) 방면(放免)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시묵
한자명
金時黙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8 ~ 미상
본적
강원도 평강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0

공적개요

1937년 11월 강원도 춘천에서 춘천공립농업학교생 이준환(李俊桓) 등이 조직한 독립운동 비밀결사 독서회에 가입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 집행유예 4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응봉
한자명
金應鳳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8 ~ 1910
본적
강원도 평강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6

공적개요

1907.11월 왕회종 의진(王會鍾義陣)에 가담하여 황해(黃海) 신계(新溪), 토산(兎山), 경기(京畿) 장단(長湍), 연천(漣川), 삭녕(朔寧), 강원(江原) 이천(移川), 안협군(安峽郡) 등지에서 활동하였으며 1910년 연기(延起)(기(基))우(羽) 의병진(義兵陣)에 소속되어 군자금을 모금하는 등 활동하던 중 일본수비대의 기습을 받고 항전 끝에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종근
한자명
金鍾根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1 ~ 1917
본적
강원도 원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4-1915년 동료들을 규합하여 의병장(義兵將)으로 활동했던 김종철(金鍾鐵)을 대장(大將)에 추대한 후 강원(江原) 홍천(洪川)·강릉(江陵)·인제(麟蹄)·삼척(三陟) 등지에서 금품을 모집하고 밀고자(密告者)를 처단하는 등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교형 순국(絞刑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나용기
한자명
羅龍基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58 ~ 1920
본적
경기도 연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3.1운동에 참여하여 동지들과 독립만세운동을 주도하여 2년형을 복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맹선섭
한자명
孟宣燮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6 ~ 1923
본적
충청북도 보은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4. 8월 (음력) 충북(忠北) 보은(報恩)에서 김운노 의병장(金雲老義兵將)이 재거의(再擧義)를 계획할때 정운기(鄭雲淇)등과 함께 참여하여 동지를 규합하는 등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3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목자상
한자명
睦子商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0 ~ 1910
본적
경기도 양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06년 을사조약(乙巳條約)을 반대(反對)하여 황재호(黃在浩) 의병장(義兵將) 휘하(麾下)에 입진(入陣)하여 활동(活動)하였으며, 연천(漣川), 포천(抱川), 양주군(楊州郡) 영근면(嶺斤面) 및 이담면(伊淡面)에서 8,400량(兩)의 군자금(軍資金)을 모집(募集)하며 활동(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3년형(年刑)을 받고, 복역(服役) 중(中) 옥사(獄死)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백천기
한자명
白天基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0 ~ 1951
본적
경기도 연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

공적개요

1919. 3. 21 밤 경기도(京畿道) 연천군(連川郡) 백학면(白鶴面) 통구리(通口里)에서 주민(住民) 60여명을 규합, 독립만세를 부르고 이어서 시위군중을 이끌고 마전리(麻田里)로 가 두일리(斗日里) 시위군중과 합세하여 독립만세를 부르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엄해윤
한자명
嚴海潤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3 ~ 1909
본적
강원도 영월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96

공적개요

1906년 충북(忠北) 황간(黃澗)에서 노응규(盧應奎) 의병대장이 재(再) 거의(擧義)할 때 선봉장(先鋒將)으로 활동하다 피체(被逮)되어 유형(流刑) 7년을 받았으며, 1908년 11월경부터 이은찬(李殷贊)의 참모(參謀)로 경기 포천, 양주 등지에서 활동하고 동년(同年) 12월에는 이종협(李鍾協)의 참모(參謀)로 황해(黃海) 금천(金泉) 토산(兎山)등지에서 계속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옥고(獄苦)를 치르던 중 1909년 4월 13일 내란죄(內亂罪)로 경성감옥(京城監獄)에 같이 입감(入監)된 유문재(柳文在)와 탈옥(脫獄)을 협의한 후 일인(日人) 감시간수를 습격, 총검(銃劍)을 탈취하여 탈출(脫出)하다 피체(被逮)되어 교형(絞刑)을 받고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연기우
한자명
延基羽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5 ~ 1910
본적
경기도 삭녕
포상훈격
대통령장
포상년도
1962

공적개요

강화진위대(江華鎭衛隊) 부교(副校)로 덕물포(德物浦)에서 거의하여 동료 지홍윤(池弘允)과 함께 항전하다가 패한 후 부하 60명을 거느리고 적성(積城), 삭녕(朔寧) 등지로 전전 출몰하면서 교전하여 필승하였다 1910년 피검(被檢)되어 피살당하다

인물정보

성명
왕회종
한자명
王會鍾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9 ~ 1925
본적
경기도 연천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2

공적개요

1. 1907. 8. 11 조인환, 권준, 김진묵과 같이 약 천여명(約千餘名)의 의병을 이끌고 양주(楊洲), 파주(坡州), 적성(積城)등지를 점령하였음. 2. 계속 활동하다가 왜적의 대거침공으로 패진(敗陣)하였음.

인물정보

성명
우윤구
한자명
禹潤九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2 ~ 1910
본적
경기도 기타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09년 7월 - 11월 경기(京畿) 연천군(漣川郡)과 마전군(麻田郡) 일대에서 홍원유(洪元裕) 의병진(義兵陣)의 일원(一員)으로 군자금(軍資金) 모금(募金)에 불응하며 일본군 수비대에 밀고한 윤중구(尹重求)를 처단(處斷)하였고, 김세경(金世卿) 의병진의 일원(一員)으로 군자금(軍資金)을 모금(募金)하는 등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교형 순국(絞刑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재만
한자명
柳在萬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2 ~ 1964
본적
경기도 양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07.10월 김연성 의진(金演性義陣)에 참가(參加)하여 양주(楊州) 연천(漣川) 등지(地)에서 총검(銃劍)으로 무장(武裝)한 40여명(餘名)의 의병(義兵)들과 활동(活動)하다가 일 헌병(日憲兵)에 체포되어 유형(流刑) 3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윤수정
한자명
尹壽丁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9 ~ 미상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대한제국(大韓帝國) 시위대(侍衛隊) 병사(兵士)로서 1907년 음력(陰曆) 8월 중 김학주(金學珠)와 함께 강원도(水原道) 철원(鐵原) 보가산(寶袈山)의 김규식 의진(金奎植義陣)에 가담하여 강원도(水原道) 철원(鐵原), 경기도(京畿道) 적성(積城), 마전(麻田), 삭녕(朔寧), 연천(漣川), 양주(楊州) 등의 지방에서 수차례 일본병과 교전하다 피체(被逮)되어 유형(流刑) 10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윤인순
한자명
尹仁淳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0 ~ 1909
본적
경기도 양주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82

공적개요

1907. 1월 경기(京畿) 양주(楊州) 진동창의부(鎭東倡義府) 우군장(右軍將)으로 양주(楊州), 파주(坡州), 적성(積城)등지에서 교전(交戰)하고 그후 의병장이 되어 정용대(鄭用大), 이은찬(李殷贊)과 연합전선을 형성하고 일군(日軍)과 교전하다 1909. 3. 17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윤희섭
한자명
尹喜燮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1 ~ 미상
본적
경기도 양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08년 1월 - 1910년 6월 경기(京畿) 장단군(長湍郡), 영평군(永平郡), 포천군(抱川郡) 및 강원(江原) 평강군(平康郡), 철원군(鐵原郡) 일대에서 연기우 의병진(延基羽義兵陣)에 가담하여 군자금(軍資金)과 군수품(軍需品)을 모금(募金), 조달(調達)하고 친일(親日) 밀정(密偵)들을 처단(處斷)하는 등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낙주
한자명
李洛周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1923
본적
경기도 연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 3. 21 연천군(漣川郡) 백학면(百鶴面) 두일리(斗日里) 장터에서 다수 군중(多數群衆)과 같이 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를 주동(主動)하여 백학면사무소(百鶴面事務所)로 몰려가서 면장(面長)과 직원(職員)들의 합세(合勢)를 강요(强要)하며 시설물(施設物)을 파괴(破壞)하고 동일(同日)밤까지 계속하여 마전리(麻田里)에서 만세 시위 활동 중(萬歲示威活動中) 피체(被逮)되어 징역1년6월형(月刑)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석구
한자명
李錫九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10
본적
강원도 회양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09. 8월경(月頃) 의병(義兵)으로서 강원도(水原道) 회양군(淮陽郡) 등지에서 활동하다가 1910. 1. 15 일경(日警)에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은찬
한자명
李殷瓚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8 ~ 1909
본적
강원도 원주
포상훈격
대통령장
포상년도
1962

공적개요

1905년 개동(開東)에서 거의(擧義)하여 10,000명(名) 가까운 의병(義兵)을 지휘(指揮)하다가 이인영(李麟榮)을 총대장(總隊長)으로 추대(推戴)하고 각지(各地)의 의병(義兵)을 양주(楊州)에 집합(集合)시켜 24진(陣)을 배열(配列)하여 경성(京城)을 진공(進攻)하려던 획책(劃策)이 모두 그의 지략(智略)이었으며 각 군(各軍) 장령(將領)의 적재(適材)의 책임(責任)도 그의 지략(智略)에서 나왔다 동대문(東大門)밖에서 패(敗)한 후(後) 단독(單獨)으로 재거(再擧)키로 결정(決定)하고 수인(數人)의 부하(部下)와 경성(京城)에 잠입(潛入)하였다가 체포(逮捕)되었는데 재판정(裁判廷)에서 말하기를 「내가 대소(大小) 40여전(余戰)에 원수(怨讐) 470여인(余人)을 죽였으니 속(速)히 나를 죽여라 나의 의거(義擧)는 홀로 한국(韓國)만을 위(爲)한 것이 아니요 동양평화(東洋平和)를 위(爲)함이니 금일(今日)에 와서 어찌 자신(自身)의 영욕(榮辱)에 언급하랴」하였다. 1909년 6월 16일에 순사(殉死)하다.(향년33세)

인물정보

성명
이홍식
한자명
李弘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1963
본적
경상남도 하동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4

공적개요

1919. 3월 경남(慶南) 하동군(河東郡) 진교면(辰橋面)에서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계획하고 준비를 갖춘 후 3월 29일 진교리(辰橋里) 장터에서 1천여 명의 군중에게 태극기를 배부하고 독립만세를 선창(先唱)하며 시위를 주도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았으며 1933. 8월 조선공산주의자통일동맹(朝鮮共産主義者統一同盟)을 조직하였다는 혐의로 체포되어 1934. 4월 불기소(不起訴) 석방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전복규
한자명
全福奎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7 ~ 미상
본적
경기도 연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07년 음력(陰曆) 7월부터 1908년 음력(陰曆) 9월까지 김수민 의진(金秀敏義陣)의 좌익장(左翼將)이 되어 100여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경기도(京畿道) 마전헌병분견소(麻田憲兵分遣所)와 장단군(長湍郡) 구화장헌병분견소(九化場憲兵分遣所)를 습격하고 연천(漣川), 마전군(麻田郡)에서일 헌병대(日憲兵隊)와 수차례 교전하였으며 각지에서 군자금을 모집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유형(流刑) 1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정현수
한자명
鄭鉉壽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9 ~ 1952
본적
전라북도 남원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30. 1월 경(頃) 전북(全北) 남원군(南原郡) 운봉면(雲峰面)에서 정운태(鄭云台), 정운종(鄭雲宗)과 함께 야학회를 개설하여 청소년들에게 항일의식을 고취시켰으며 단발계를 조직한 후 지주에 대한 소작료감액, 불경작동맹, 노동임금 인상 등의 활동(活動)으로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 집행유예(執行猶豫) 3년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조순옥
한자명
趙順玉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23 ~ 1973
본적
경기도 연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40.9.17~1945.8.15까지 중경(重慶), 서안(西安) 등지에서 광복군(光復軍) 총사령부(總司令部)에 입대 이래 총무처(總務處) 서안(西安) 판사처(辦事處)에서 복무하다가 광복군(光復軍) 제2지대에 편입되어 제1구대원(區隊員)으로서 복무한 바 있으며 여성신분으로 독립운동에 활동함.

인물정보

성명
조시제
한자명
趙時濟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913 ~ 1947
본적
경기도 연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32년 상해(上海) 한인청년당(韓人靑年黨)을 조직(組織)하고 서무부장(庶務部長)을 위시(爲始)하여 중경(重慶) 임시정부(臨時政府)의 군사특파단원(軍事特派團員)의 1인(人)으로서 항일전(抗日戰)을 수행(遂行)하였으며 임정 외교부원(臨政外交部員)을 역임(歷任)하고 아울러 한국독립당원(韓國獨立黨員)으로서 조국 광복(祖國光復)에 헌신(獻身)하는등 상당(相當)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조용제
한자명
趙鏞濟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898 ~ 1948
본적
경기도 양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29년 중국(中國) 상해(上海)로 오빠 조소앙(趙素昻) 조시원(趙時元)을 따라 망명(亡命)하여 항일독립운동(抗日獨立運動)에 참가(參加)하였으며 1940.6월 한국혁명여성동맹(韓國革命女性同盟)을 조직(組織)하여 한국 여성(韓國女性)의 민족 혁명 정신(民族革命精神)을 고취(鼓吹)하였고 1940년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옹호 정당(擁護政黨)인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의 창당 요원(創黨要員)으로 1945.8월 광복시(光復時)까지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조용주
한자명
趙鏞周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1 ~ 1937
본적
경기도 연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

공적개요

1913년 중국(中國) 상해(上海)에서 친형 조소앙(趙素昻) 및 중국인 구국단장(救國團長)이며 구국일보(救國日報)사장인 황각(黃覺) 등과 아세아민족반일대동맹(亞細亞民族反日大同盟)을 조직하였으며 1919.4월에는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한 뒤 귀국하여 청년외교단(靑年外交團)을 조직 활동하다가 피체되어 징역3년을 받았으며 1926년 6.10만세운동으로 다시 징역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조용한
한자명
趙鏞漢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4 ~ 1935
본적
경기도 양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20(음(陰)).12.20 서울에서 김홍제(金鴻濟)와 함께 진위(振威)(지금의 평택(平澤))의 오인영(吳麟泳)을 만나 독립군자금(獨立軍資金)을 모집(募集)하여 중국(中國) 상해(上海)로 가서 대한민국임시정부원(大韓民國臨時政府員)이 되어 독립운동(獨立運動)에 헌신(獻身)할 것을 협의(協議)하고 서로사령총부(西路司令總部)의 인장(印章)을 조각(彫刻)하고 군자금 영수증(軍資金領收證)을 작성(作成)하여 수원(水原) 안성(安城) 진위(振威)등지(地)에서 독립운동 군자금(獨立運動軍資金)을 모집(募集)하려고 하던중 피체(被逮)되어 징역3년을 받았으며 1928. 5월 상해(上海)로 가서 임시정부(臨時政府)에서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조인식
한자명
趙璘植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912 ~ 1985
본적
경기도 연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 1937. 일본 관동군(日本關東軍) 밀산헌병분대(密山憲兵分隊)에 재직시 밀산현이인반주둔(密山縣二人班駐屯) 국경감시대장인 만군대위(滿軍大尉) 강경무(姜經武)와 접선하여 중국국민당(中國國民黨) 동중특파(東中特派)지하공작대원으로 가담하였음 2. 1939. 공작책(工作責) 강경무의 지령으로 항일구국군총사령(抗日救國軍總司令) 조상지(趙尙志) 휘하(麾下)의 각 유격대(各遊擊隊)의 보급지원 및 일군(日軍) 동향을 제보하였음 3. 1943. 상기의 사건이 발각되자 일군을 탈출하여 중국국민당 직계 비밀결사 안청방(安淸幇) (남의사(藍衣社))에 가맹하여 산서성(山西省) 일대에서 항일전에 참전 (청방(淸幇)가입증서 사본) 4. 1944. 한국광복군사령부의 특명으로 산서성(山西省) 하동도(河東道) 일대에서 지하공작 활동 (임정특파원증(臨政特派員證) 사본) 5. 1944. 12. 5 관동군 헌병대에 체포되어 미결 수감중 8.15를 맞아 석방 6. 1946. 광복군 간부단의 일원으로 귀국

인물정보

성명
주영수
한자명
朱永秀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5 ~ 미상
본적
경상북도 기타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09. 1월(음력(陰曆)) -1910. 4월 강기동 의진(姜基東義陣)에 참여하여 총기를 휴대하고 경기도(京畿道) 양주(楊州)와 포천(抱川) 일대(一帶)에서 군자금을 모집하는 활동(活動)을 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2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진성교
한자명
秦成敎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5 ~ 미상
본적
경기도 연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07년 음력(陰曆) 8월에 경기도(京畿道) 연천(漣川)에서 박석구(朴錫九)의 권유로 박기복 의진(朴基福義陣)에 가담하여 일본병과 교전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유형(流刑) 10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채덕만
한자명
蔡德萬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9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5

공적개요

1909년 8월 5일 연기우 의진(延起羽義陣)의 중대장(中隊長)으로서 경기(京畿) 연천군(漣川郡) 서면(西面) 안월리(安月里)에서 일 헌병(日憲兵)과 교전 끝에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허위
한자명
許蔿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54 ~ 1908
본적
경상북도 선산
포상훈격
대한민국장
포상년도
1962

공적개요

1. 1896년 3월 금산의진(金山義陣)에 참여하여 같은 해 4월 참모장(參謀長)에 임명되어 활동하였다. 2. 1905년 일제의 침략상을 비판하는 격문을 배포했다가 같은 해 3월 체포되어 4개월간 일본군사령부에 구속되었다. 3. 1907년 일제에 의해 대한제국(大韓帝國) 군대가 해산되자 같은 해 9월 경기 연천, 적성, 강원 철원 등지에서 의진(義陣)을 구성하여 일본군과 전투하고 부일(附日)인사들을 처단하였다. 11월 이인영(李麟榮) 등 전국 각지 의병장들과 함께 13도 연합의병부대(일명 십삼도창의대진소(十三道倡義大陣所))를 구성하고 군사장(軍事將)에 임명되어 1908년 1월말 동대문 밖 30리 지점까지 진격하였다. 총대장 이인영(李麟榮)이 부친상으로 대장직을 사퇴한 뒤에는 실질적으로 13도 연합의병부대를 이끌며 일본군과 격렬한 전투를 벌였다. 4. 1908년 6월 영평에서 체포되어 같은 해 10월 21일(음력 9월 27일) 서대문형무소에서 사형 순국했다.

인물정보

성명
현학용
한자명
玄學用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0 ~ 미상
본적
경기도 장단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08년 음력(陰曆) 12월 경기(京畿) 개성(開城) 헌병 보조원 최영복(崔永福)에게서 양총 탄환 98발을 매입하여 연기우 의진(延起雨[基羽]義陣)에 제공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일경에 피체(被逮)되어 징역 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홍광표
한자명
洪光表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0 ~ 1929
본적
경기도 연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09년 5월 김세경(金世卿) 의병(義兵)과 함께 군자금(軍資金)을 마련키 위하여 경기도(京畿道) 연천군(漣川郡) 하북면(下北面) 상수리(上水里)에 호소문(呼訴文)을 배포(配布)하고 군자금(軍資金) 250량(兩)을 갹출(醵出)하였으나 이 사실(事實)이 알려져서 일경(日警)에게 피체(被逮)되어 징역2년6월을 받고 옥고(獄苦)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홍순겸
한자명
洪淳謙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2 ~ 1953
본적
경기도 연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3.31 연천군(漣川郡) 백학면(百鶴面) 독립만세’(獨立萬歲) 시위운동시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1919.9.18 고등법원에서 징역 1년 6월형을 확정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홍천희
한자명
洪千喜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2 ~ 1950
본적
경기도 연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09년 의병(義兵)에 가담(加擔)하여 김시경(金時卿) 등과 함께 조직적(組織的)인 독립운동(獨立運動)을 전개(展開)해야한다고 판단하고 연천군(漣川郡) 계명리(鷄明里) 군영리(軍永里) 영정리(永貞里) 등에서 군자금 모집 활동(軍資金募集活動)을 하였으며 동년(同年)(음(陰)) 6월에는 연기우(延起羽) 홍원유(洪元有) 등과 군자금 모집(軍資金募集)을 계속(繼續)하다가 체포되었으나 탈옥(脫獄)하여 1년여간(年餘間) 은신(隱身)하였다 다시 체포되어 징역 10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황인수
한자명
黃麟秀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6 ~ 1945
본적
경기도 파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20년 9월 이후 경기도(京畿道) 연천일대(連川一帶)에서 4차에 걸쳐 군자금모집을 위하여 폭탄물을 소지하고 활동하다 경성복심법원(京城覆審法院)에서 7년 징역형을 언도받은 사실이 확인됨.

3.1운동

사건설명

3.1운동은 우리 민족이 일제의 식민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기미년) 3월 1일 전후로 일으킨 거족적인 독립 만세운동이다.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일본 도쿄의 2.8 독립선언, 고종의 인산일 등을 계기로 계획되어, 마침내 3월 1일 서울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33인에 의한 독립선언서 낭독과 더불어 탑골공원에서 학생들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만세 시위행진을 벌이며 거행되었다. 이날의 거사는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만주, 북미 등 해외 등지에서도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이를 계기로 세계에 우리 민족의 실상을 알림과 동시에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자주 독립사상 고취 등의 의의를 거두었으나, 동시에 일제가 민족 분열을 위해 무단통치 방법을 문화통치로 바꾸는 원인이 되었다.

애국계몽운동

사건설명

애국계몽운동은 교육과 산업, 언론 진흥을 통해 민족의 실력을 키워 국권을 수호하려는 운동으로, 지식인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였다. 대표적인 단체로는 대한자강회, 대한협회, 신민회가 있다.
이와 같은 애국계몽단체의 활동으로는 <제국신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등 신문과 <대한자강회월보>, <대한협회회보> 등 기관지 또는 학회지 발간을 통한 민중계몽운동이 있다. 또한 보광학교, 한남학교 등 학교 설립과 <보통교과동국역사>, <동국사략>, <대동역사략> 등 교과서 편찬을 통한 교육계몽운동, 그리고 국채보상운동 등의 경제구국운동 등을 펼치며 국력을 키우고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한국 광복군

사건설명

한국광복군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규 군대로, 1919년부터 군사조직법 제정을 통해 임시정부의 군대를 창설하려는 노력이 존재했으나 마침내 임시정부가 중국 충칭에 정착하면서 김구 등의 주도하에 1940년 창설되었다. 총사령에 지대형, 참모장에 이범석, 총무처장에 최용덕 등이 임명되었다. 창설 당시 병력은 30여 명에 불과했으나 병력 모집에 몰두하고 1942년 조선의용대의 편입을 거쳐 1945년 4월경에는 564명으로 확대되었다. 1945년, 임시정부의 주석이던 김구는 미국전략사무국 책임자와 공동작전을 협의하여 한국광복군을 국내에 침투시키는 국내진공작전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실행에 옮기기 전, 일본이 항복을 선언하며 한국광복군의 진공작전은 무산되었고, 1946년 해체되었다.

한말 의병운동

사건설명

항일의병운동에는 을미의병, 을사의병, 정미의병이 있다.
1895~1896년의 을미의병은 조선 말기 최초의 대규모 항일의병으로, 을미사변 후 왕후폐위조칙 발표, 단발령 시행을 계기로 일어났다.
전국 각지에서 봉기하여 대개 그 지방의 유명한 유생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대표적으로 유인석, 이필희, 서상렬을 비롯하여 춘천의 이소응, 이천과 여수의 박준영과 김하락, 강릉 여주의 민용호 등이 활약하였다.
1905~1906년의 을사의병은 러일전쟁 발발, 한일의정서 체결 등으로 고조된 항일의식이 1905년 을사늑약 강제 체결을 계기로 폭발한 구국항일의병이다.
대표적으로 최익현 의병진, 신돌석 의병진과 더불어 민종식과 안병찬 등이 주축이 된 홍주의병, 그리고 정환직, 정용기 부자의 산남의진 등이 있다.
1907~1910년의 정미의병은 고종의 강제 퇴위, 정미7조약 체결, 대한제국군대 강제해산 등을 계기로 발생하였다. 특히 1907년 8월 강제로 해산된 군인들의 대일항전에서 비롯되었고, 1906년 후반으로 접어들며 기세가 누그러졌던 을사의병이 이를 계기로 하여 거국적으로 확대 및 발전하였다. 원주진위대 해산군인 민긍호와 박준성, 경상북도의 이강년과 신돌석, 경기도의 허위와 연기우, 장성의 기삼연, 함평의 김태원과 심남일, 무주의 문태수, 임실의 이석용 등이 활약하였다.

의열단/의열투쟁

사건설명

의열투쟁이란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일제를 상대로 벌인 무력 투쟁을 일컫는다. 192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이어졌고, 한국 독립운동사의 매우 중요한 항일 투쟁 방식 중 하나이다.
의열단은 의열투쟁을 전개한 대표적인 단체이다. 1919년 만주에서 조직된 항일 무력독립운동 단체로, 김원봉, 윤세주, 황상규 등이 활동하였다. 1919년의 거족적인 3.1운동을 겪은 뒤, 해외로 독립운동기지를 옮긴 애국지사들은 강력한 일제의 무력에 대항해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서는 보다 조직적이고 강력한 독립운동단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계기로 1919년 11월 의열단이 조직되어 1920년대에 활발히 활동하였으며, 조국 독립을 위해 과격한 적극 투쟁과 희생정신을 강조하였다.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조선총독부 투탄의거, 종로경찰서 폭탄누척의거 등이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사건설명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19년부터 1945년까지 민주공화제의 독립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주권 자치를 실현하였던 임시정부이다.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되기 전부터 임시정부 수립에 대한 요구가 존재했으나, 3.1운동과 동시에 임시정부 수립 운동이 일어나면서 마침내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 수립되었다. 각료에는 임시의정원 의장 이동녕, 국무총리 이승만, 내무총장 안창호, 외무총장 김규식, 법무총장 이시영, 재무총장 최재형, 군무총장 이동휘, 교통총장 문창범 등이 임명되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파견하는 등 외교활동과 더불어 이봉창과 윤봉길의 의거와 같은 의열투쟁, 육군무관학교 및 비행사양성소 설립, 한국광복군 창설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학생독립운동

사건설명

우리 민족이 1945년 독립을 이루기까지 학생들은 조국 독립을 위해 여러 투쟁을 계속하였다.
구한말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여 학생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국권 수호를 위한 투쟁의 선봉에 섰으며, 농촌계몽 및 야학 등의 활동으로 국민의 자주 의식을 고취했다. 1919년 2월 8일에는 일본 도쿄에서 유학생들이 모여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고, 그 영향을 받은 3.1운동 또한 유관순, 어윤희 등 학생들을 주체 세력으로 전개되었다. 1926년에는 학생 중심의 6.10만세운동이 전개되었는데, 전문학교 학생 이병립, 이병호, 이천진, 박두종 등과 중앙고보와 중동학교 학생 박용규, 곽대형, 김재문 등의 학생들이 주도하여 전개되었다. 1929년 10월에는 나주역에서 일본인 학생들이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학생 박기옥, 이금자, 이광춘 등을 희롱하는 사건을 계기로 광주학생항일운동이 일어났고, 이것이 확산되어 대구, 부산 등 주변 지역에서도 학생항일운동이 전개되었다. 그 밖에도 부산의 노다이사건, 대구사범학교 왜관사건 등 학생들이 주도하여 일어난 여러 항일운동으로 하여금 학생들의 조선독립정신은 지속되어 왔다.

동학농민혁명

사건설명

동학농민혁명은 최제우가 창시한 동학에 기초를 둔 반봉건, 반외세적 성격의 농민민중항쟁이다. 1894년에 전라도 고부의 동학 접주 전봉준을 지도자로 동학교도와 농민들이 합세하여 일으켰다. 총 2차에 걸쳐 전개되었는데, 1차 봉기는 전라도 고부 지방의 관리 조병갑의 횡포와 동학교도 탄압에 대항하여 발생하였고, 이후 동학군의 해산에도 불구하고 일제가 내정간섭, 청일전쟁, 갑오개혁 등을 강행하자 반외세를 외치며 2차로 봉기하였다. 그러나 결국 우금치전투에서 관군과 일본군에 패하고 1895년 1월 전봉준에 이어 손화중 등 동학농민 지도부 대부분이 체포되고 교수형에 처해지면서 동학농민혁명은 실패로 막을 내리게 되었다. 그러나 동학농민군은 후에 일어난 항일의병항쟁의 중심 세력이 되었다.

국내 항일 운동

사건설명

조선 땅에 잔혹한 일제의 지배가 드리워진 암울한 시기에도 우리 민족은 독립을 목적으로 주력하기를 그치지 않았다. 독립지사들은 국내 독립운동을 위한 여러 단체를 조직하였는데, 기독교 등 종교와 결합하거나 농민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는 등 성격이 다양했다. 그들은 친일부호를 처단하고 독립군을 양성함과 동시에 3.1운동의 계획을 세우거나 군자금을 모집하여 국내 독립운동단체의 존속을 지원하였다. 더불어 선전물을 배포하고 야학을 설치하여 식민지 수탈의 실상과 독립 달성을 역설하며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해외 항일 운동

사건설명

독립운동을 위한 열망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들끓었다. 우리 민족은 구주(유럽), 노령(러시아의 시베리아 일대), 만주, 미주,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등에서 활동하며, 위치한 곳과 상관없이 오직 조국 독립의 목적을 위해 몸과 마음을 바쳐 독립운동에 매진하였다.
독립지사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항일의식교육을 펼치고 독립군 양성을 도모하였다. 또한 프랑스의 파리강화회의에 독립청원서를 보내고 유럽 등지에 우리 민족의 참혹한 실상을 알리는 등, 여러 방면에서 조국의 독립을 호소하였다.

기타

사건설명

1894년 동학농민운동을 시작으로 1945년 광복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은 오직 정의롭고 자주적인 국가를 위해 힘써왔다. 우리는 그 과정에서 목숨을 바쳐 투쟁하고 희생된 애국지사들의 넋을 기리고 그 흔적을 기억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