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고성 3.1독립만세운동 기념탑(횃불을 들다)

유형
기념탑·기념공원·기념관 | 비석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간성읍 신안리 136

사적지 지도 안내

길찾기   |   로드뷰

사적지 개요

동해안 최초 3·1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한 발원지로서 고성군 애국지사(85명)의 숭고한 애국정신을 되새기고 역사적 가치를 재조명하기 위해, 고성군에서 3·1독립만세운동 기념공원 조성과 기념탑 「횃불을 들다」를 2020년 4월 3일 건립했다. 3·1운동을 의미하는 3개 주탑의 유려한 곡선으로 그날의 횃불을 표현하였고, 기념탑 중심은 독립운동이 이루어진 장소를 의미하며, 바닥은 무궁화 패턴을 적용하였고, 주탑 양옆으로는 동상을 세워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독립운동의 현장감을 느낄 수 있도록 상징화하였다.

탐방로그

고성군 간성읍 신안리 165-2 달홀공원(옛 신안근린공원) 내에 위치 고성 독립만세운동 기념탑을 찾아왔다.

인물정보

성명
권기수
한자명
權夔洙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896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896년 충북(忠北) 제천(堤川)에서 유인석(柳麟錫) 등과 함께 기의(起義)하여 중군장(中軍將)으로 활동하다가 평북(平北) 강계(江界)에서 이범직(李範稷), 이병선(李秉善)과 함께 적군(敵軍)에 피체(被逮)되어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권석근
한자명
權錫根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5 ~ 1907
본적
강원도 고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07. 11월 강원도(江原道) 고성군(高城郡)에서 의병(義兵) 소모장(召募將) 김옥배(金玉培)의 지휘를 받고 일군(日軍)의 동정을 정탐하는 등 활동(活動)하다가 피체(被逮)되어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권원호
한자명
權元浩
운동계열
문화운동
생몰년도
1904 ~ 1944
본적
강원도 고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41. 10. 회양감리교회 주일학교 예배시간(淮陽監理敎會主日學校禮拜時間)에 일경(日警)의 동방요배(東方遙拜)와 신사참배 강요(神社參拜强要)를 거절(拒絶)하다가 징역 2년형(年刑)을 받았고 출옥(出獄) 직전(直前)에 불경죄(不敬罪)가 추가(追加)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권형원
한자명
權亨源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55 ~ 1907
본적
강원도 고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895. 2월경 민용호(閔龍鎬)의 관동구군(關東九郡) 도창의소 진영(都倡義所陣營)에 참가하여 고성(高城) 원산(元山) 통천(通川) 안변(安邊)등지에 진출하였을때 고성 유수장(高城留守將)이 되어 활동하였으며 1907. 9. 17 고성남강전투(高城南江戰鬪)에서 병력과 군비의 열세로 대패하고 피체되었으나 일군(日軍)에게 총살을 당하여 순국하였을뿐 아니라 단두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두만
한자명
金斗萬
운동계열
일본방면
생몰년도
1920 ~ 1984
본적
경상남도 의령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3

공적개요

1940년 일본(日本) 경도(京都)에서 철공소에 근무 중 유귀복(柳貴福) 등과 서서(誓書), 불변서(不變書) 등을 작성하여 독립운동에 헌신할 결의를 다진 후 백두산(白頭山)을 근거지로 독립운동을 전개하기 위해 귀국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다시 일본으로 도항(渡航)하여 활동하다가 1941년 체포되어 징역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상정
한자명
金商玎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75 ~ 1954
본적
충청남도 서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 3월 일경(日警)의 회유책(懷柔策)으로 개최(開催)된 면민대회(面民大會)에서 민비 살해(閔妃殺害)의 참변(慘變)을 면민(面民)에게 환기(喚起)시키고 왜왕(倭王)의 명령(命令)은 맹서(盟誓)코 복종(服從)할 수 없다하고 좌수지(左手指)를 잘라 혈서(血書)를 작성하여 총독(總督)에게 발송하였으며 그 후 납세(納稅) 및 삭발령(削髮令)을 반대하여 3회에 걸쳐 혈서(血書)를 쓰고 항일 정신(抗日精神)을 발휘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연수
한자명
金延洙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4 ~ 1928
본적
강원도 양양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년 철원애국단원(鐵原愛國團員)으로 활약타가 피검(被檢), 경성지방법원(京城地方法院) 재판(裁判)회부. 조선병합십년사(朝鮮倂合十年史) p.479~492 항일순국의열사전(抗日殉國義烈士傳) p.67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166

인물정보

성명
김운봉
한자명
金雲峯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2

공적개요

1920년 10월 흔춘현(琿春縣) 사도구(四道溝)에서 독립운동을 후원하다가 일본군에게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事實)이 확인(確認)됨.

인물정보

성명
김응섭
한자명
金應涉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8 ~ 1921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8

공적개요

1919. 3. 1 이래로 독립단(獨立團)에 가입(加入)하여 각 방면으로 광복사업에 힘쓰고 특히 우리 군대에 관한 교섭을 많이 하는 등 외교사무에 진력하다가 1921년 석두하자 사변시(石頭河子事變時)에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종화
한자명
金鍾和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8 ~ 미상
본적
강원도 고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3

공적개요

1920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강국모(姜國模) 등과 함께 혈성단(血誠團)을 조직하여 군자금을 모집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조달하였고, 1920년 음력(陰曆) 3월경(月頃) 러시아 연해주 추풍(秋風)에서 동단(同團) 부단장(副團長) 및 총무(總務)로 1백여정의 군총(軍銃), 탄환을 수집하고, 동년(同年) 음력(陰曆) 9월경(月頃) 의군단(義軍團)과 연락하여 일본 군대를 공격할 계획을 세우고 1921년 5월경(月頃) 노령 연해주에서 조선독립단(朝鮮獨立團) 노농군회와 병합하여 한인사회당을 조직할 때 부회장으로 선출되어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10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형석
한자명
金炯錫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09 ~ 1983
본적
전라남도 여수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1

공적개요

1929. 12. 7. 서울 중동학교(中東學校)에 재학 중 광주에서 전개된 광주학생운동에 고무되어 동교(同校) 교실내에 ‘제국주의 교육 철폐’ 등의 격문(檄文)을 발견하자 교단(敎壇)에 올라가 ‘제국주의적 교육을 배척하자. 언론 집회 결사의 자유를 획득하려는 것은 싸울 가치가 있는 싸움이다’ 라는 내용의 격문을 낭독하고 광주학생운동에 호응하여 동맹 휴교(同盟休校)에 나설 것을 촉구하는 등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1년여의 옥고를 치른 끝에 징역 8월 집행유예(執行猶豫) 4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문명섭
한자명
文命燮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강원도 양양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년 철원애국단원(鐵原愛國團員)으로 활약타가 피검 경성지방법원(京城地方法院) 재판 회부(裁判回附) (조선병합십년사(朝鮮倂合十年史) p. 479~492)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 166) (항일순국의열사전(抗日殉國義烈士傳) p. 67)

인물정보

성명
박대일
한자명
朴大日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8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5

공적개요

1908년 의병(義兵)으로서 50여명의 군사들과 함께 전남(全南) 광주(光州) 등지에서 활동하던 중 동년(同年) 10월 3일 일본 헌병(日本憲兵)에게 체포되어 도주를 기도하다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박성준
한자명
朴成俊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0 ~ 1975
본적
강원도 통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 3. 31 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에 사용할 태극기(太極旗)를 동지(同志)들과 같이 만들고, 1919. 4. 2 예수교도(敎徒) 및 주민(住民)과 함께 태극기를 휘날리며 독립만세를 연창(連唱)하는 시위행진을 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형을 언도된 사시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박용덕
한자명
朴龍德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3 ~ 2011
본적
강원도 고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38. 3월 강원도(江原道) 고성(高城)에서 조선의 독립을 쟁취하기 위하여 민중을 계몽코져 민족문학잡지사(民族文學雜誌社)를 설립키 위한 준비활동을 하다 피체되어 1940년 징역 1년, 4년간 집행유예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박태선
한자명
朴泰善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7 ~ 1927
본적
충청남도 청양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6

공적개요

1919년 4월 5일 충남(忠南) 청양군(靑陽郡) 화성면(化城面) 산정리(山亭里)에서 약 30명의 주민과 함께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가 체포(逮捕)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신형균
한자명
申亨均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0 ~ 1984
본적
충청북도 진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3

공적개요

1937년 말경부터 서울 양정중학 재학 중 민족적 성격이 농후한 소설을 읽고 이듬해 2월 하순 경성(京城) 통의정(通義町) 자택에서 서주원(徐周元) 등과 함께 조선독립의 실행에 관하여 협의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2년(미결구류(未決拘留) 250일 통산(通算))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흥식
한자명
安興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9 ~ 1974
본적
강원도 통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 4. 2 ~ 3에 걸쳐 임남면 장전리에 집합한 군중의 선두에 서서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위를 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3월형을 언도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근옥
한자명
李根玉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4 ~ 1959
본적
강원도 양양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

공적개요

1919년 5월 강원도 철원(鐵原) 일대를 중심으로 조직된 철원애국단(鐵原愛國團)에 가입하여 중국(中國) 상해(上海)에 있는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의 군자금을 조달하려고 활동하다 피체되어 징역 4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내구
한자명
李內逑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7
본적
전라북도 전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4

공적개요

1907년 12월 전북(全北) 정읍군(井邑郡) 고부면(古阜面)에서 의병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피살(被殺), 순국(殉國)함.

인물정보

성명
이덕근
한자명
李德根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4 ~ 1907
본적
강원도 고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07. 11월 강원도(水原道) 고성군(高城郡)에서 의병(義兵) 소모장(召募將) 김옥배(金玉培)의 지휘를 받고 일군(日軍)의 동정을 정탐하는 등 활동(活動)하다가 피체(被逮)되어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동진
한자명
李東振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2 ~ 1973
본적
강원도 고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3

공적개요

1919. 3. 17 강원도(水原道) 저성군(杵城郡) 저성읍(杵城邑)에서 함기석(咸基錫)과 함께 조선독립을 목적으로 저성보통학교(杵城普通學校) 학생들을 선동, 다수(多數)와 함께 조선독립만세를 부르기로 계획하고 "지금 전국 각지에서 독립운동을 일으키니 문명교육을 받은 생도(生徒) 등은 누구라도 독립을 위하여 만세를 부르자"는 취지의선전물(宣傳物)을 작성하여 동일(同日) 저성보통학교(杵城普通學校) 4학년 교실 입구의 벽에 붙여 동교(同校) 학생 150여명이 1919. 3. 17 저성읍(杵城邑) 장날에 만세시위를 전개하게 하는 등 주동자로 활동(活動)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석규
한자명
李錫奎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비공개 ~ 생존
본적
비공개 비공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0

공적개요

1943년 3월 광주사범학교(光州師範學校)에 재학 중 학우들과 함께 무등독서회(無等讀書會)를 조직하고 독서모임을 통해 민족의식을 함양하고 연합군의 상륙에 맞추어 일제히 봉기할 것을 계획하고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정남용
한자명
鄭南用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6 ~ 1921
본적
강원도 고성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3

공적개요

전협(全協) 대동단(大同團)사건 (대동단원) 자금제공자 1920년 11월 의친왕(義親王)을 안동현(安東縣)으로 안내하였다가 발각 경지법(京地法)에서 5년 선고를 받고 복역 중 1921년 4.18 병사(病死) 항일순국의열사전(抗日殉國義烈士傳) p.63~64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229 동국혈사 권2(東國血史卷二) p.93 동아일보(東亞日報) 1920. 6. 29

인물정보

성명
정의경
한자명
鄭義京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22 ~ 미상
본적
강원도 고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63

공적개요

1. 1941년 5월 서안(西安)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5지대(五支隊) 입대(入隊) 2. 1942년 4월 서안(西安)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2지대(二支隊) 편입(編入) 3. 1942년 8월 서안(西安) 중국군사위원회(中國軍事委員會) 조사통계국(調査統計局) 서북통신사(西北通信社) 파견(派遣)근무 4. 1943년 6월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특별반(特別班) 수료(修了) 5. 1946년 6월 귀국(歸國) 후(後) 병사(病死)

인물정보

성명
천성환
한자명
千成煥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7 ~ 1954
본적
강원도 고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38.6~1939.4월까지 강원도(水原道) 고성군(高城郡) 고성읍(高城邑)에 있는 고성남공립소학교(高城南公立小學校) 훈도(訓導)로 재직중(在職中) 독서회(讀書會)를 조직(組織)하여 민족정신(民族精神) 함양(涵養)에 힘쓰고 「조선어(朝鮮語)는 조선인(朝鮮人)의 생명(生命)이다」라고 강조(强調)하면서 조선어 교육(朝鮮語敎育) 시간(時間)을 1주(週)에 1시간(時間)으로 제한(制限)되어 있는 것을 4~5시간(時間)으로 임의(任意) 배정(配定)하고 소위(所謂) 일인화 교육(日人化敎育)을 저지(沮止)하려고 활동(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2년을 받아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최상린
한자명
崔祥麟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75
본적
경기도 개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년3월31일 통천군(通川郡) 임남면(臨南面)에서 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를 주동(主動)하다 체포(逮捕)되어 동년(同年) 7월2일 경성복심법원(京城覆審法院)에서 징역 1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최용구
한자명
崔容九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3 ~ 1907
본적
강원도 간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1

공적개요

1907년 12월 6일 의병(義兵)에 가담하여 활동하다가 동년 12월 20일 강원(江原) 고성(高城)에서 일본(日本) 수비대(守備隊)에게 체포되어 총살(銃殺)당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최용규
한자명
崔溶奎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1 ~ 미상
본적
평안북도 강계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3

공적개요

1935년 조선혁명군(朝鮮革命軍)에 가입하여 중국(中國) 길림성(吉林省) 관전현(寬甸縣)에서 일본 밀정을 처단하였고 1936년 6월 평북(平北) 초산군(楚山郡)에서 군자금 모집 할동을 하였으며, 제1사령 최종륜(崔宗崙)의 지도하에 집안현(輯安縣) 대양차경찰분소(大陽岔警察分所)를 습격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최창규
한자명
崔昌奎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5 ~ 1966
본적
전라남도 완도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3

공적개요

1923년 9월 전남 완도군 청산면 모도리 대모도(大茅島) 서부락(西部落)에서 동부락에 거주(居住)하는 천병섭(千柄燮), 정두실(鄭斗實), 서재만(徐在萬), 장석칠(張石七) 등 청년 14명과 함께 동부락소재의 개량서당(改良書堂)을 후원할 목적으로 배달청년회(倍達靑年會)를 조직(1925년 4월 모도청년회로 개칭), 그 회의 회계부(會計部) 위원(委員)으로 활동하면서 1924년 12월에는 동지들과 함께 조선(朝鮮)의 2천만 민중(民衆)을 위해 조선독립만세(朝鮮獨立萬歲)를 삼창(三唱)하자는 천병섭(千柄燮)의 건의에 따라 만세(萬歲)를 삼창(三唱)하고 1925년 1월에는 민족운동(民族運動)을 실현하기 위해 일본인(日本人)과 친일인(親日人)에게 절대 동정하지 말며 교섭(交涉)을 단절할 것을 회원들과 결의하고 동년 4월에는 일본인을 살육(殺戮)하여 대한국(大韓國)을 위해 활동(活動)할 것을 결의하며 활동하다 피체되어 징역 6월을 받았으나 2년 9월간(月間)의 활동(活動)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하명식
한자명
河命植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5 ~ 미상
본적
강원도 고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2

공적개요

1933년 12월 경성 중앙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동교 동맹휴학 사건으로 퇴학 처분을 받음. 1936년 9월 강원도 고성군에서 김종희 등과 함께 비밀결사 고성 프로문예연구회를 조직하여 소설 창작 및 정치 비판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홍태식
한자명
洪台植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0 ~ 미상
본적
충청북도 괴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

공적개요

1919년 3월 19일 충북 괴산군에서 청주공립농업학교 재학 중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가 불기소 처분을 받음. 1925년 5월 중국에서 고려공산청년회 비서부 선전책임, 1928년 2월 조선공산당 하얼빈 및 장춘구 책임, 같은 해 5월 청년총동맹 집행원, 1932년 중국공산당 북만위원회(北滿委員會) 황산저자지부(黃山咀子支部) 조사부 책임으로 활동 중 체포되었다가 기소유예 처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황동연
한자명
黃東淵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9 ~ 미상
본적
강원도 고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2

공적개요

1937년 9월 강원도 고성군에서 김종희(金宗熙)의 권유로 고성민족문학연구회에 가입하고 조선어 연구, 정치 비판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음.

3.1운동

사건설명

3.1운동은 우리 민족이 일제의 식민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기미년) 3월 1일 전후로 일으킨 거족적인 독립 만세운동이다.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일본 도쿄의 2.8 독립선언, 고종의 인산일 등을 계기로 계획되어, 마침내 3월 1일 서울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33인에 의한 독립선언서 낭독과 더불어 탑골공원에서 학생들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만세 시위행진을 벌이며 거행되었다. 이날의 거사는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만주, 북미 등 해외 등지에서도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이를 계기로 세계에 우리 민족의 실상을 알림과 동시에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자주 독립사상 고취 등의 의의를 거두었으나, 동시에 일제가 민족 분열을 위해 무단통치 방법을 문화통치로 바꾸는 원인이 되었다.

애국계몽운동

사건설명

애국계몽운동은 교육과 산업, 언론 진흥을 통해 민족의 실력을 키워 국권을 수호하려는 운동으로, 지식인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였다. 대표적인 단체로는 대한자강회, 대한협회, 신민회가 있다.
이와 같은 애국계몽단체의 활동으로는 <제국신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등 신문과 <대한자강회월보>, <대한협회회보> 등 기관지 또는 학회지 발간을 통한 민중계몽운동이 있다. 또한 보광학교, 한남학교 등 학교 설립과 <보통교과동국역사>, <동국사략>, <대동역사략> 등 교과서 편찬을 통한 교육계몽운동, 그리고 국채보상운동 등의 경제구국운동 등을 펼치며 국력을 키우고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한국 광복군

사건설명

한국광복군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규 군대로, 1919년부터 군사조직법 제정을 통해 임시정부의 군대를 창설하려는 노력이 존재했으나 마침내 임시정부가 중국 충칭에 정착하면서 김구 등의 주도하에 1940년 창설되었다. 총사령에 지대형, 참모장에 이범석, 총무처장에 최용덕 등이 임명되었다. 창설 당시 병력은 30여 명에 불과했으나 병력 모집에 몰두하고 1942년 조선의용대의 편입을 거쳐 1945년 4월경에는 564명으로 확대되었다. 1945년, 임시정부의 주석이던 김구는 미국전략사무국 책임자와 공동작전을 협의하여 한국광복군을 국내에 침투시키는 국내진공작전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실행에 옮기기 전, 일본이 항복을 선언하며 한국광복군의 진공작전은 무산되었고, 1946년 해체되었다.

한말 의병운동

사건설명

항일의병운동에는 을미의병, 을사의병, 정미의병이 있다.
1895~1896년의 을미의병은 조선 말기 최초의 대규모 항일의병으로, 을미사변 후 왕후폐위조칙 발표, 단발령 시행을 계기로 일어났다.
전국 각지에서 봉기하여 대개 그 지방의 유명한 유생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대표적으로 유인석, 이필희, 서상렬을 비롯하여 춘천의 이소응, 이천과 여수의 박준영과 김하락, 강릉 여주의 민용호 등이 활약하였다.
1905~1906년의 을사의병은 러일전쟁 발발, 한일의정서 체결 등으로 고조된 항일의식이 1905년 을사늑약 강제 체결을 계기로 폭발한 구국항일의병이다.
대표적으로 최익현 의병진, 신돌석 의병진과 더불어 민종식과 안병찬 등이 주축이 된 홍주의병, 그리고 정환직, 정용기 부자의 산남의진 등이 있다.
1907~1910년의 정미의병은 고종의 강제 퇴위, 정미7조약 체결, 대한제국군대 강제해산 등을 계기로 발생하였다. 특히 1907년 8월 강제로 해산된 군인들의 대일항전에서 비롯되었고, 1906년 후반으로 접어들며 기세가 누그러졌던 을사의병이 이를 계기로 하여 거국적으로 확대 및 발전하였다. 원주진위대 해산군인 민긍호와 박준성, 경상북도의 이강년과 신돌석, 경기도의 허위와 연기우, 장성의 기삼연, 함평의 김태원과 심남일, 무주의 문태수, 임실의 이석용 등이 활약하였다.

의열단/의열투쟁

사건설명

의열투쟁이란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일제를 상대로 벌인 무력 투쟁을 일컫는다. 192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이어졌고, 한국 독립운동사의 매우 중요한 항일 투쟁 방식 중 하나이다.
의열단은 의열투쟁을 전개한 대표적인 단체이다. 1919년 만주에서 조직된 항일 무력독립운동 단체로, 김원봉, 윤세주, 황상규 등이 활동하였다. 1919년의 거족적인 3.1운동을 겪은 뒤, 해외로 독립운동기지를 옮긴 애국지사들은 강력한 일제의 무력에 대항해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서는 보다 조직적이고 강력한 독립운동단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계기로 1919년 11월 의열단이 조직되어 1920년대에 활발히 활동하였으며, 조국 독립을 위해 과격한 적극 투쟁과 희생정신을 강조하였다.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조선총독부 투탄의거, 종로경찰서 폭탄누척의거 등이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사건설명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19년부터 1945년까지 민주공화제의 독립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주권 자치를 실현하였던 임시정부이다.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되기 전부터 임시정부 수립에 대한 요구가 존재했으나, 3.1운동과 동시에 임시정부 수립 운동이 일어나면서 마침내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 수립되었다. 각료에는 임시의정원 의장 이동녕, 국무총리 이승만, 내무총장 안창호, 외무총장 김규식, 법무총장 이시영, 재무총장 최재형, 군무총장 이동휘, 교통총장 문창범 등이 임명되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파견하는 등 외교활동과 더불어 이봉창과 윤봉길의 의거와 같은 의열투쟁, 육군무관학교 및 비행사양성소 설립, 한국광복군 창설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학생독립운동

사건설명

우리 민족이 1945년 독립을 이루기까지 학생들은 조국 독립을 위해 여러 투쟁을 계속하였다.
구한말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여 학생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국권 수호를 위한 투쟁의 선봉에 섰으며, 농촌계몽 및 야학 등의 활동으로 국민의 자주 의식을 고취했다. 1919년 2월 8일에는 일본 도쿄에서 유학생들이 모여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고, 그 영향을 받은 3.1운동 또한 유관순, 어윤희 등 학생들을 주체 세력으로 전개되었다. 1926년에는 학생 중심의 6.10만세운동이 전개되었는데, 전문학교 학생 이병립, 이병호, 이천진, 박두종 등과 중앙고보와 중동학교 학생 박용규, 곽대형, 김재문 등의 학생들이 주도하여 전개되었다. 1929년 10월에는 나주역에서 일본인 학생들이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학생 박기옥, 이금자, 이광춘 등을 희롱하는 사건을 계기로 광주학생항일운동이 일어났고, 이것이 확산되어 대구, 부산 등 주변 지역에서도 학생항일운동이 전개되었다. 그 밖에도 부산의 노다이사건, 대구사범학교 왜관사건 등 학생들이 주도하여 일어난 여러 항일운동으로 하여금 학생들의 조선독립정신은 지속되어 왔다.

동학농민혁명

사건설명

동학농민혁명은 최제우가 창시한 동학에 기초를 둔 반봉건, 반외세적 성격의 농민민중항쟁이다. 1894년에 전라도 고부의 동학 접주 전봉준을 지도자로 동학교도와 농민들이 합세하여 일으켰다. 총 2차에 걸쳐 전개되었는데, 1차 봉기는 전라도 고부 지방의 관리 조병갑의 횡포와 동학교도 탄압에 대항하여 발생하였고, 이후 동학군의 해산에도 불구하고 일제가 내정간섭, 청일전쟁, 갑오개혁 등을 강행하자 반외세를 외치며 2차로 봉기하였다. 그러나 결국 우금치전투에서 관군과 일본군에 패하고 1895년 1월 전봉준에 이어 손화중 등 동학농민 지도부 대부분이 체포되고 교수형에 처해지면서 동학농민혁명은 실패로 막을 내리게 되었다. 그러나 동학농민군은 후에 일어난 항일의병항쟁의 중심 세력이 되었다.

국내 항일 운동

사건설명

조선 땅에 잔혹한 일제의 지배가 드리워진 암울한 시기에도 우리 민족은 독립을 목적으로 주력하기를 그치지 않았다. 독립지사들은 국내 독립운동을 위한 여러 단체를 조직하였는데, 기독교 등 종교와 결합하거나 농민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는 등 성격이 다양했다. 그들은 친일부호를 처단하고 독립군을 양성함과 동시에 3.1운동의 계획을 세우거나 군자금을 모집하여 국내 독립운동단체의 존속을 지원하였다. 더불어 선전물을 배포하고 야학을 설치하여 식민지 수탈의 실상과 독립 달성을 역설하며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해외 항일 운동

사건설명

독립운동을 위한 열망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들끓었다. 우리 민족은 구주(유럽), 노령(러시아의 시베리아 일대), 만주, 미주,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등에서 활동하며, 위치한 곳과 상관없이 오직 조국 독립의 목적을 위해 몸과 마음을 바쳐 독립운동에 매진하였다.
독립지사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항일의식교육을 펼치고 독립군 양성을 도모하였다. 또한 프랑스의 파리강화회의에 독립청원서를 보내고 유럽 등지에 우리 민족의 참혹한 실상을 알리는 등, 여러 방면에서 조국의 독립을 호소하였다.

기타

사건설명

1894년 동학농민운동을 시작으로 1945년 광복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은 오직 정의롭고 자주적인 국가를 위해 힘써왔다. 우리는 그 과정에서 목숨을 바쳐 투쟁하고 희생된 애국지사들의 넋을 기리고 그 흔적을 기억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