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성삼
한자명
金成三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9 ~ 1908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06년 강원도(江原道) 삼척(三陟) 이천(伊川) 및 경북(慶北) 울진(蔚珍) 등지(等地)에서 광산노동자들로 수백명의 의병진을 조직하여 관동 소모장(關東召募將)으로 활약하였고 1908년 12월 8일 일경(日警)과의 교전(交戰) 중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김성삼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성삼
한자명
金聖三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4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04.9.21 경의철도(京義鐵道) 부설(敷設) 작업(作業)을 지연(遲延)시키려고 활동(活動)하다가 일군(日軍)에게 피체(被逮)되어 서울 공덕리(孔德里)에서 총살(銃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성서
한자명
金聖西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52 ~ 미상
본적
강원도 횡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2년

공적개요

1919. 4. 1. 오후 5시경 강원도(江原道) 횡성군(橫城郡) 횡성(橫城) 읍내 시장에서 정해경(鄭海璟) 등과 함께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주도하여 다수의 군중들을 선도하여 이들과 더불어 독립만세를 외치는 등 시위를 벌이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은 사실(事實)이 확인(確認)됨.

인물정보

성명
김성수
한자명
金成洙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1 ~ 1965
본적
제주도 기타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18년 10월 6, 7일 제주 법정사 신도로 김연일(金蓮日) 등과 함께 서귀포 경찰관주재소를 습격해 방화․파괴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성수
한자명
金成守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68
본적
전라북도 김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1일 전라북도(全羅北道) 김제군(金堤郡) 수류면(水流面) 원평리(院坪里) 시장에서 조선독립만세를 외치며 만세시위를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성수
한자명
金成守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65
본적
경상북도 의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0년

공적개요

1919. 3. 13 경북(慶北) 의성군(義城郡) 비안면(比安面) 서부동(西部洞) 시장에서 임재호(林在虎) 등이 주도한 독립만세 시위운동에 참여하여 한국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성수
한자명
金晟洙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9 ~ 1954
본적
전라남도 강진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3, 24일 전남 강진군 강진면에서 김윤식(金允植) 등의 독립만세운동 계획에 호응하여 자금을 지원하고, 동지 규합 및 태극기 제작의 임무를 맡아 활동을 하던 중 체포되어 무죄를 받음.

김성수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성수
한자명
金成洙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평안북도 미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 1920년 8월 광복군(光復軍) 신의주선천특파결사대(新義州宣川特派決死隊)의 선천경찰서폭파사건(宣川警察署爆破事件)에 관련(關聯)되어 1921년 4월 12일 평양복심법원(平壤覆審法院)에서 징역형 3년 언도(言渡)되다.(본항(本項)은 본회기수(本會記搜), 동아일보(東亞日報) 1921. 4. 14에도 기재(記載))

인물정보

성명
김성수
한자명
金聖壽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900 ~ 1969
본적
경상남도 밀양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77년

공적개요

1919년 중국망명 후 의열단(義烈團) 및 남화한인청년연맹(南華韓人靑年聯盟) 등 혁명단체원(革命團体員)으로 주화일본공사 등 거물급 일제 요인 폭살계획에 관련된 외에 치열한 독립운동을 전개하여 1938년 18년형을 받어 복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성숙
한자명
金成淑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6 ~ 1979
본적
제주도 기타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경성고등보통학교 4학년 재학 중 독립만세 시위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면소(免訴)처분을 받았으며 1926년 7월 도일(渡日) 유학 중 협동조합운동의 발기인으로 참여한 이후 중앙집행위원장(中央執行委員長)등을 역임하였고 신간회 선전부원으로 활동하였으며 1930년 1월 학생만세사건으로 체포되었다가 석방된 후 다시 1931년 7월에 만보산 격문사건으로 체포되었다가 48일만에 석방된 사실이 확인됨.

김성숙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성숙
한자명
金成淑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0 ~ 1927
본적
경상남도 함안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 19 함안군(咸安郡) 함안읍(咸安邑) 독립만세시위운동에 가담하여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행진하다 구금자 석방을 위하여 경찰관 주재소, 함안(咸安)군청, 우편소 등 건물을 파괴하며 시위를 전개하다 일경에게 피체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성숙
한자명
金星淑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898 ~ 1969
본적
평안북도 철산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82년

공적개요

1919년 3.1운동을 주동하다가 징역 8월형을 받은 후 1923 중국으로 망명하여 의열단(義烈團) 선전부장, 조선민족연맹(朝鮮民族聯盟) 선전부장, 임정(臨政) 국무위원 등을 역임한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성삼

한자명

金成三

생몰년도

1869 ~ 1908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삼

한자명

金聖三

생몰년도

미상 ~ 1904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서

한자명

金聖西

생몰년도

1852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2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강원도 횡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수

한자명

金成洙

생몰년도

1901 ~ 1965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5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제주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수

한자명

金成守

생몰년도

1890 ~ 1968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김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수

한자명

金成守

생몰년도

1890 ~ 196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의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수

한자명

金晟洙

생몰년도

1899 ~ 195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강진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수

한자명

金成洙

생몰년도

미상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수

한자명

金聖壽

생몰년도

1900 ~ 1969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훈격

1977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밀양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숙

한자명

金成淑

생몰년도

1896 ~ 1979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5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제주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숙

한자명

金成淑

생몰년도

1870 ~ 192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함안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숙

한자명

金星淑

생몰년도

1898 ~ 1969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훈격

1982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철산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