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세종탑
사적지 개요
1914년 1월 강진읍 남성리 207번지(현, 강남교회)에 세웠던 것을 1964년 현재의 선전을 건축할 때 종탑도 함께 옮겨와 지금까지 보존하고 있다. 제1차 만세운동은 3월 23일이었으나 밀고로 발각되어 김안식, 김영수, 김윤식, 김현상, 김위균, 김성수, 양경천, 양병우, 김만철, 김영호, 김학수, 김계명 등이 구속되어 뜻을 이루지 못하였고, 2차는 4월 4일 강진 장날을 거사일로 정하고 강진의 기독교인과 천도교인들이 주동하여 태극기와 독립선언서를 제작하였는데 이를 강진읍교회 최복삼좌와 박영옥 등이 전달받았다. 만세운동 당일, 강진읍교회 타종 소리를 시점으로 기독교인, 천도교인, 농민, 상인, 학생 등 4천명이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는 함성은 하늘은 진동하고 우드봉을 뒤흔드는 성공적인 독립만세운동이었으며, 이기성, 김현본, 황호경, 오승남, 김후식, 김춘석, 오응추, 김제문, 김성수, 박영옥, 강주형, 박일춘, 이은표, 최덕주, 김두현, 차성모, 김재민, 차명진, 전봉진, 김은식, 강주영 등이 구속되고 최복삼 조사는 구타와 고문으로 사망하였다.
강진읍 교회는 매년 4.4 독립만세운동 재현행사 때마다 정오가 되면 33번을 타종하여 구국지사들을 투모하고 후손들에게 나라 사랑의 가르침을 일깨워 오고 있다.
인물정보
- 성명
- 강주형
- 한자명
- 姜宙馨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87 ~ 1976
- 본적
- 전라남도 강진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1992
공적개요
강주형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김계명
- 한자명
- 金鷄鳴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902 ~ 미상
- 본적
- 전라남도 강진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2020
공적개요
김계명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김두현
- 한자명
- 金斗鉉
- 운동계열
- 국내항일
- 생몰년도
- 1894 ~ 미상
- 본적
- 경상남도 하동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2018
공적개요
김두현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김만철
- 한자명
- 金萬哲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901 ~ 1948
- 본적
- 전라남도 강진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2020
공적개요
김만철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김성수
- 한자명
- 金成洙
- 운동계열
- 국내항일
- 생몰년도
- 1901 ~ 1965
- 본적
- 제주도 기타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2005
공적개요
김성수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김성수
- 한자명
- 金成洙
- 운동계열
- 국내항일
- 생몰년도
- 1901 ~ 1965
- 본적
- 제주도 기타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2005
공적개요
김성수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김영수
- 한자명
- 金榮守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81 ~ 미상
- 본적
- 미상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2013
공적개요
김영수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김영호
- 한자명
- 金英鎬
- 운동계열
- 만주방면
- 생몰년도
- 1907 ~ 1931
- 본적
- 함경북도 명천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2011
공적개요
김영호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김윤식
- 한자명
- 金允植
- 운동계열
- 국내항일
- 생몰년도
- 1902 ~ 1950
- 본적
- 전라남도 강진
- 포상훈격
- 건국포장
- 포상년도
- 2018
공적개요
김윤식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김재민
- 한자명
- 金在珉
- 운동계열
- 의병
- 생몰년도
- 1886 ~ 1910
- 본적
- 전라남도 광주
- 포상훈격
- 애국장
- 포상년도
- 1991
공적개요
김재민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김제문
- 한자명
- 金齊文
- 운동계열
- 노령방면
- 생몰년도
- 1896 ~ 1923
- 본적
- 평안북도 선천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2002
공적개요
김제문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김춘석
- 한자명
- 金春錫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902 ~ 미상
- 본적
- 전라남도 강진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2022
공적개요
김춘석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김학수
- 한자명
- 金學秀
- 운동계열
- 의병
- 생몰년도
- 미상 ~ 1909
- 본적
- 미상
- 포상훈격
- 애국장
- 포상년도
- 2003
공적개요
김학수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김현봉
- 한자명
- 金玄鳳
- 운동계열
- 의병
- 생몰년도
- 1882 ~ 1909
- 본적
- 미상
- 포상훈격
- 애국장
- 포상년도
- 2003
공적개요
김현봉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김후식
- 한자명
- 金厚植
- 운동계열
- 국내항일
- 생몰년도
- 1907 ~ 1961
- 본적
- 경상북도 안동
- 포상훈격
- 건국포장
- 포상년도
- 2000
공적개요
김후식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박영옥
- 한자명
- 朴英玉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8 ~ 미상
- 본적
- 전라남도 강진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2020
공적개요
박영옥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박영옥
- 한자명
- 朴英玉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8 ~ 미상
- 본적
- 전라남도 강진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2020
공적개요
박영옥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박일춘
- 한자명
- 朴一春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902 ~ 미상
- 본적
- 전라남도 강진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2021
공적개요
박일춘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오승남
- 한자명
- 吳承南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9 ~ 1982
- 본적
- 전라남도 강진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1990
공적개요
오승남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오응추
- 한자명
- 吳應秋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8 ~ 1969
- 본적
- 전라남도 강진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1992
공적개요
오응추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이기성
- 한자명
- 李基性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4 ~ 1944
- 본적
- 전라남도 강진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1990
공적개요
이기성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이은표
- 한자명
- 李殷杓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8 ~ 1987
- 본적
- 전라남도 강진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2020
공적개요
이은표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최덕주
- 한자명
- 崔德柱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86 ~ 1967
- 본적
- 전라남도 강진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2016
공적개요
최덕주의 발자취
3.1운동
사건설명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일본 도쿄의 2.8 독립선언, 고종의 인산일 등을 계기로 계획되어, 마침내 3월 1일 서울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33인에 의한 독립선언서 낭독과 더불어 탑골공원에서 학생들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만세 시위행진을 벌이며 거행되었다. 이날의 거사는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만주, 북미 등 해외 등지에서도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이를 계기로 세계에 우리 민족의 실상을 알림과 동시에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자주 독립사상 고취 등의 의의를 거두었으나, 동시에 일제가 민족 분열을 위해 무단통치 방법을 문화통치로 바꾸는 원인이 되었다.
애국계몽운동
사건설명
이와 같은 애국계몽단체의 활동으로는 <제국신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등 신문과 <대한자강회월보>, <대한협회회보> 등 기관지 또는 학회지 발간을 통한 민중계몽운동이 있다. 또한 보광학교, 한남학교 등 학교 설립과 <보통교과동국역사>, <동국사략>, <대동역사략> 등 교과서 편찬을 통한 교육계몽운동, 그리고 국채보상운동 등의 경제구국운동 등을 펼치며 국력을 키우고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한국 광복군
사건설명
한말 의병운동
사건설명
1895~1896년의 을미의병은 조선 말기 최초의 대규모 항일의병으로, 을미사변 후 왕후폐위조칙 발표, 단발령 시행을 계기로 일어났다.
전국 각지에서 봉기하여 대개 그 지방의 유명한 유생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대표적으로 유인석, 이필희, 서상렬을 비롯하여 춘천의 이소응, 이천과 여수의 박준영과 김하락, 강릉 여주의 민용호 등이 활약하였다.
1905~1906년의 을사의병은 러일전쟁 발발, 한일의정서 체결 등으로 고조된 항일의식이 1905년 을사늑약 강제 체결을 계기로 폭발한 구국항일의병이다.
대표적으로 최익현 의병진, 신돌석 의병진과 더불어 민종식과 안병찬 등이 주축이 된 홍주의병, 그리고 정환직, 정용기 부자의 산남의진 등이 있다.
1907~1910년의 정미의병은 고종의 강제 퇴위, 정미7조약 체결, 대한제국군대 강제해산 등을 계기로 발생하였다. 특히 1907년 8월 강제로 해산된 군인들의 대일항전에서 비롯되었고, 1906년 후반으로 접어들며 기세가 누그러졌던 을사의병이 이를 계기로 하여 거국적으로 확대 및 발전하였다. 원주진위대 해산군인 민긍호와 박준성, 경상북도의 이강년과 신돌석, 경기도의 허위와 연기우, 장성의 기삼연, 함평의 김태원과 심남일, 무주의 문태수, 임실의 이석용 등이 활약하였다.
의열단/의열투쟁
사건설명
의열단은 의열투쟁을 전개한 대표적인 단체이다. 1919년 만주에서 조직된 항일 무력독립운동 단체로, 김원봉, 윤세주, 황상규 등이 활동하였다. 1919년의 거족적인 3.1운동을 겪은 뒤, 해외로 독립운동기지를 옮긴 애국지사들은 강력한 일제의 무력에 대항해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서는 보다 조직적이고 강력한 독립운동단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계기로 1919년 11월 의열단이 조직되어 1920년대에 활발히 활동하였으며, 조국 독립을 위해 과격한 적극 투쟁과 희생정신을 강조하였다.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조선총독부 투탄의거, 종로경찰서 폭탄누척의거 등이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사건설명
학생독립운동
사건설명
구한말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여 학생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국권 수호를 위한 투쟁의 선봉에 섰으며, 농촌계몽 및 야학 등의 활동으로 국민의 자주 의식을 고취했다. 1919년 2월 8일에는 일본 도쿄에서 유학생들이 모여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고, 그 영향을 받은 3.1운동 또한 유관순, 어윤희 등 학생들을 주체 세력으로 전개되었다. 1926년에는 학생 중심의 6.10만세운동이 전개되었는데, 전문학교 학생 이병립, 이병호, 이천진, 박두종 등과 중앙고보와 중동학교 학생 박용규, 곽대형, 김재문 등의 학생들이 주도하여 전개되었다. 1929년 10월에는 나주역에서 일본인 학생들이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학생 박기옥, 이금자, 이광춘 등을 희롱하는 사건을 계기로 광주학생항일운동이 일어났고, 이것이 확산되어 대구, 부산 등 주변 지역에서도 학생항일운동이 전개되었다. 그 밖에도 부산의 노다이사건, 대구사범학교 왜관사건 등 학생들이 주도하여 일어난 여러 항일운동으로 하여금 학생들의 조선독립정신은 지속되어 왔다.
동학농민혁명
사건설명
국내 항일 운동
사건설명
해외 항일 운동
사건설명
독립지사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항일의식교육을 펼치고 독립군 양성을 도모하였다. 또한 프랑스의 파리강화회의에 독립청원서를 보내고 유럽 등지에 우리 민족의 참혹한 실상을 알리는 등, 여러 방면에서 조국의 독립을 호소하였다.
기타
사건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