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무오 법정사 항일운동 발상지탑

유형
기념탑·기념공원·기념관 | 안내판·표지석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도순동 산1

사적지 지도 안내

길찾기   |   로드뷰

사적지 개요

무오 법정사 항일운동 발상지는 1918년 10월 제주도에서 국권회복을 부르짖으며 대규모 무장항일투쟁을 전개했던 항일운동의 근거지였던 법정사가 있던 곳이다. 법정사는 1909년 관음사를 창건한 안봉려관(安逢廬觀)과 김석윤(金錫允)이 한라산 남쪽을 대표할 사찰의 필요성을 느끼고 관음사 다음으로 일으켜 세운 사찰로서, 1911년 9월 좌면 도순리 산 1번지에 창건되었다. 이 법정사에 1914년 경북지역에서 김인수·정구용과 함께 항일운동의 이력을 갖고 있던 김연일이 주지로 부임하면서 제주 출신 승려 강창규·방동화 등과 함께 이곳을 대대적인 항일운동의 근거지로 만들었다. 법정사는 1918년 9월경 곤봉, 화승총, 깃발 등을 준비한 뒤 거사를 지휘할 조직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1918년 10월 5일과 6일, 법정사 정기 예불일에 모인 사람들과 7일 새벽, 출정식을 갖고 도순리로 향하였다. 선봉대가 각 마을에서 참여자를 모집하였고 영남리·서호리·강정리·호근리를 순회하며 전선과 전주를 절단하였으며, 하원리에 이르러서는 일본인에게 위해를 가하였다. 중문리에 이르렀을 때 인근 마을에서 700여명이 동조하여 참여하였다. 주민과 합세하여 힘을 얻은 이들은 중문리경찰관주재소의 기구와 문서 등을 불태웠으며 일제에 구금되어 있었던 농민 10여명을 석방한 뒤 주재소 건물을 불태웠다. 그러나 항쟁은 총으로 무장한 서귀포경찰관주재소 기마순사대의 저지로 제주 전역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실패하고 말았다. 당시 일제에 피체되어 검거된 인원은 60여명이었으며, 재판에 회부되어 실형을 받은 대상자는 30여명이었다.

탐방로그

1918년 법정사 항일운동 발생지였던 법정사 터와 발상지탑을 찾기 위해 제주 서귀포시 도순동에 왔다. 당시 법정사는 일본 순사들에 의해 불태워져 멸실되었고 현재는 기단석, 돌담 등이 남아있다. 현재는 건물이 남지 않은 발상지 터를 지나 의열사 쪽으로 올라가다 보면 무오법정사항일운동발상지탑을 발견할 수 있다.

인물정보

성명
강두옥
한자명
康斗玉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57 ~ 미상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

공적개요

1918년 10월 전남 제주도 좌면에서 법정사 항일운동에 참여해 활동하다 벌금 30원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강민수
한자명
姜閔洙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경상북도 영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3

공적개요

1918년 10월 5일 제주도(濟州道) 좌면(左面) 법정사(法井寺)에서 승려 김연일(金蓮日) 등의 주도하에 각 면․ 이장에게 일본인 관리․상인을 축출하라는 격문을 배포하며 주재소를 습격하고 일본인을 공격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강봉환
한자명
姜鳳喚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3 ~ 1908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5

공적개요

1908년 황해도(黃海道) 장연(長淵) 등지(等地)에서 의병으로 활동하다 동년 6월 4일 장연군(長淵郡) 목감면(牧甘面)에서 체포되어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강수오
한자명
姜壽五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미상 ~ 1918
본적
제주도 기타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6

공적개요

1918.10.5 제주(濟州) 남제주(南濟州)에서 법정사(法井寺) 주지(住持) 김연일(金連日)과 강창규(姜昌奎), 방동화(房東華) 스님 등이 주도한 무력항쟁에 참여하여 활동하다가 피체되어 재판대기 중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강순봉
한자명
姜舜奉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4 ~ 미상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

공적개요

1918년 10월경 전남 제주도 좌면 하원리에서 김연일(金蓮日) 등과 함께 법정사(法井寺) 항일운동에 참여해 활동하다 체포되어 벌금 30원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강영준
한자명
姜永俊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5 ~ 1985
본적
전라북도 정읍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7

공적개요

1943년 11월 서울에서 전북(全北) 임실군(任實郡)에 사는 장인에게 벼 강제공출에 대한 불만 등 시국에 관한 의견을 담은 서신을 보냈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강창규
한자명
姜昌奎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72 ~ 1963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5

공적개요

1918년 10월 제주도(濟州島) 도순리(道順里) 법정사(法井寺)에서 불교도(佛敎徒) 및 농민들과 함께 일본인 관리(日本人官吏) 축출(逐出)과 독립(獨立)을 위해 무장봉기(武裝蜂起)하여 전주(電柱)를 절단하고 서귀포(西歸浦) 중문리(中文里)의 주재소(駐在所)를 습격하여 불태우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가 1919년 2월 궐석재판에서 징역 8년을 받았고 1922년 12월 체포되어 1923년 1월 징역 8년의 형이 확정되어 옥고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강춘근
한자명
姜春根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1 ~ 1919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6

공적개요

1918.10.5 제주(濟州) 남제주(南濟州)에서 법정사(法井寺) 주지(住持) 김연일(金連日)과 강창규(姜昌奎), 방동화(房東華) 스님 등이 주도한 무력항쟁에 참여하여 활동하다가 피체되어 재판대기 중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강태하
한자명
姜泰河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4 ~ 1953
본적
충청남도 공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9. 3. 14 오후 4시경 충남(忠南) 공주군(公州郡) 신상면(新上面)에서 황병주(黃秉周)가 장날을 이용하여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주도하자 이에 가담하여 500여명의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는 등 활동을 전개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고용석
한자명
高用錫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66 ~ 1928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8. 10. 5 제주도(濟州島) 남제주(南濟州)의 법정사(法井寺)에서 김연일(金連日), 강창규(姜昌奎), 방동화(房東華) 스님 등이 주도한 항일 무력시위에 참가하여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3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기수
한자명
金基洙
운동계열
계몽운동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평안남도 순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09년 조직된 대동청년당원(大東靑年黨員)으로 활약 (항일순국의열사전(抗日殉國義烈士傳) P 71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 91)

인물정보

성명
김두삼
한자명
金斗三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3 ~ 1919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8. 10. 5 제주도(濟州島) 남제주(南濟州)의 법정사(法井寺)에서 김연일(金連日), 강창규(姜昌奎), 방동화(房東華) 스님 등이 주도한 항일 무력시위에 참가하여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르던 중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명돈
한자명
金明敦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78 ~ 1956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8. 10. 5 제주도(濟州島) 남제주(南濟州)의 법정사(法井寺)에서 김연일(金連日), 강창규(姜昌奎), 방동화(房東華) 스님 등과 주도한 항일 무력시위에 참가하여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무석
한자명
金武錫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7 ~ 1960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8. 10. 5 제주도(濟州島) 남제주(南濟州)의 법정사(法井寺)에서 김연일(金連日), 강창규(姜昌奎), 방동화(房東華) 스님 등과 주도한 항일 무력시위에 참가하여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병일
한자명
金炳鎰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912 ~ 1935
본적
평안북도 미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7

공적개요

1931년 조선혁명군(朝鮮革命軍)에 입대하였고 1933년에는 조선의열단(朝鮮義烈團)에 가입하여 1934년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朝鮮革命軍事政治幹部學校) 제2기를 수료한 후 민족혁명당(民族革命黨) 통신특파원(通信特派員)으로 활동하다가 병사(病死)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봉화
한자명
金奉和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2 ~ 1919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8. 10. 5 제주(濟州) 남제주(南濟州)에서 법정사(法井寺) 주지(住持) 김연일(金連日)과 강창규(姜昌奎), 방동화(房東華) 스님 등이 주도한 무력항쟁에 참여하여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2년을 받고 옥고를 치르던 중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삼만
한자명
金三萬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64 ~ 미상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4

공적개요

1918년 9월 전남(全南) 제주(濟州) 법정사(法井寺) 승려(僧侶) 김연일(金蓮日)이 이끄는 무력시위에 후군대장(後軍大將)으로 참여하여, 동년(同年) 10월 강창규(姜昌奎) 등과 함께 일본인 관리 축출과 주재소를 습격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4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상언
한자명
金商彦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73 ~ 1965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8. 10. 5 제주도(濟州島) 남제주(南濟州)의 법정사(法井寺)에서 김연일(金連日), 강창규(姜昌奎), 방동화(房東華) 스님 등과 항일 무력시위를 주도하며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성수
한자명
金成洙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1 ~ 1965
본적
제주도 기타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5

공적개요

1918년 10월 6, 7일 제주 법정사 신도로 김연일(金蓮日) 등과 함께 서귀포 경찰관주재소를 습격해 방화․파괴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연일
한자명
金連日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71 ~ 1940
본적
경상북도 영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3

공적개요

1918. 9. 19 제주(濟州) 좌면(左面) 소재 법정사(法井寺) 승려(僧侶)로 있으면서 신도(信徒) 30여명에게 「제주도(濟州島) 거주 일본인 관리를 죽이고 일본 상인(日本商人)을 섬 밖으로 몰아내자」는 내용의 연설로 반일 독립 사상(反日獨立思想)을 고취하였으며 동년 10월 5∼6일 신도(信徒) 30여명을 규합하여 대오(隊伍)를 편성하고 리민(里民) 400여명과 함께 각면(各面)의 이장(里長)에게 격문을 배포하고 전선(電線)을 절단한 후 주재소(駐在所)를 습격, 파괴하며, 일인(日人)들을 포박 구타(捕縛毆打)하는 등 2일간에 걸쳐 격렬한 항쟁을 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용충
한자명
金用忠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0 ~ 미상
본적
경상북도 영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1

공적개요

1918년 10월 전남 제주도 좌면 하원리에서 김연일(金蓮日) 등과 함께 법정사(法井寺) 항일운동에 참여해 활동하다 1919년 2월 궐석재판으로 징역 1년 6월을 받고, 1923년 2월 13일 체포되어 4월 10일 징역 1년 6월로 재판 확정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윤석
한자명
金允碩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3 ~ 미상
본적
평안북도 위원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3

공적개요

1923년 중국(中國) 요녕성(遼寧省)에서 통의부(統義府)에 가입하여, 1924년 4월 동 부원(同府員)으로서 선언서 및 경고문을 발표하였고, 동부(同府) 행정위원(行政委員) 역임하였으며, 1924년 5월 평북(平北) 위원군(渭原郡) 밀산면(密山面)에서 참의부원(參議府員)들에게 군복 하복을 전달하였고, 1925년 9월말 중국(中國) 봉천성(奉天省) 집안현(輯安縣)에서 참의부(參議府) 소대장(小隊長), 1926년 동부(同府) 중앙의회(中央議會) 상의회원(常議會員)을 역임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인송
한자명
金仁松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6 ~ 1920
본적
평안북도 벽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8

공적개요

1920년 중국(中國) 봉천성(奉天省) 관전현(寬甸縣) 부대원아(不大遠兒)에서 암살대(暗殺隊) 연락원(連絡員)으로 활동하다가 동년(同年) 11월 24일 일군(日軍)에 피체(被逮)되어 11월 26일 호자구(蒿子溝)에서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인수
한자명
金仁守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1 ~ 미상
본적
경상북도 김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8

공적개요

1919년 3월 24일부터 경북(慶北) 김천군(金泉郡) 김천면(金泉面)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독립만세를 외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인호
한자명
金仁鎬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0 ~ 미상
본적
평안남도 중화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2

공적개요

1919년 3월 3일 평남(平南) 중화군(中和郡) 상원면(祥原面)에서 대한독립 만세(大韓獨立萬歲)를 외치며 시위를 벌이다가 체포되어 징역 3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창호
한자명
金昌鎬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3 ~ 미상
본적
전라북도 임실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0

공적개요

1932년 2월 전북 전주에서 3‧1투쟁준비회에 참석하였다가 체포되어 기소유예 되었으며, 동년 12월 전북혁명전위동맹(全北革命前衛同盟)에서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 집행유예 3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항률
한자명
金恒律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0 ~ 1924
본적
제주도 기타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8

공적개요

1918년 10월 제주도(濟州島) 좌면(左面) 하원리(河源里)에서 김연일(金連日), 강태하(姜太河) 등과 함께 법정사(法井寺) 항일운동에 참여해 활동하다 체포되어 벌금(罰金) 30원(円)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문남규
한자명
文南奎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0 ~ 1920
본적
평안북도 삭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0

공적개요

1921년 평북(平北) 삭주(朔州)에서 대한독립군(大韓獨立軍) 대원(隊員)으로 일본 군대와의 전투 중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문남은
한자명
文南恩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75 ~ 1953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8. 10. 5 제주도(濟州島) 남제주(南濟州)의 법정사(法井寺)에서 김연일(金連日), 강창규(姜昌奎), 방동화(房東華) 스님 등과 주도한 항일 무력시위에 참가하여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박주석
한자명
朴周錫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64 ~ 1921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8. 10. 5 제주도(濟州島) 남제주(南濟州)에서 법정사(法井寺) 주지(主持) 김연일(金連日)과 협의(協議)하여 항일(抗日) 무력시위를 주도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7년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르다 옥사(獄死)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방동화
한자명
房東華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7 ~ 1970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8. 10. 5 제주도(濟州島) 남제주(南濟州)의 법정사(法井寺)에서 김연일(金連日) 강창규(姜昌奎) 스님 등과 항일무력시위를 주도하여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송을생
한자명
宋乙生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77 ~ 1975
본적
전라남도 제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

공적개요

1918년 10월 전남 제주도 좌면 하원리에서 김연일(金蓮日) 등과 함께 법정사(法井寺) 항일운동에 참여해 활동하다 체포되어 벌금 30원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양남구
한자명
梁南球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2 ~ 1976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8년 9월 김영일 외 7명과 같이 남제주(南濟州) 중문면(面) 주민들을 선동(煽動) 일경(日警) 축출(逐出) 시위(示威) 및 중문주재소(駐在所)를 습격한 사건으로 피체 1919. 2. 5 광주지법목포지청(光州地法木浦支廳)에서 소요죄(騷擾罪)로 징역 4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봉
한자명
梁鳳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1 ~ 미상
본적
전라남도 제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

공적개요

1918년 10월 전남 제주도 좌면에서 법정사 항일운동에 참여해 활동하다 벌금 30원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오병윤
한자명
吳秉允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1 ~ 1973
본적
제주도 기타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5

공적개요

1918년 10월 6, 7일 제주도(濟州道) 법정사의 신도로 김연일(金蓮日) 등과 함께 서귀포의 경찰관주재소를 습격해 방화·파괴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았다고 하나 자료상의 인물과 동일인 여부가 불분명함.

인물정보

성명
오인석
한자명
吳仁錫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889 ~ 1942
본적
평안북도 정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4월 상해(上海) 임시정부(臨時政府)가 수립(樹立)되자 내무부 참사(內務部參事)로 임명(任命)되었다가 그 후(後) 임정 국무원 비서(臨政國務院秘書)로 활동(活動)하고 만주(滿洲) 단동(丹東)에 있는 대한독립청년단(大韓獨立靑年團) 본부원(本部員)으로 있으면서 국내(國內)로부터 송납(送納)되는 독립자금(獨立資金)을 받아 임정(臨政)에 전달(傳達)하면서 중국(中國) 천진(天津)에서 한혈단(韓血團) 대한회복충열사단(大韓恢復忠烈士團)을 조직(組織)하여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오인식
한자명
吳寅植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6 ~ 1938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8

공적개요

1918년 10월 전남(全南) 제주도(濟州島) 좌면(左面) 하원리(河源里)에서 김연일(金蓮日) 등과 함께 법정사(法井寺) 항일운동에 참여해 활동하다 체포되어 벌금(罰金) 30원(円)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원인수
한자명
元仁水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68 ~ 미상
본적
전라남도 제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

공적개요

1918년 10월 전남 제주도 좌면 하원리에서 김연일(金蓮日) 등과 함께 법정사(法井寺) 항일운동에 참여해 활동하다 체포되어 벌금 30원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달생
한자명
李達生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6 ~ 1960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8. 10. 5 제주도(濟州島) 남제주(南濟州)의 법정사(法井寺)에서 김연일(金連日), 강창규(姜昌奎), 방동화(房東華) 스님 등이 주도한 항일 무력시위에 참가하여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봉규
한자명
李奉奎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0 ~ 미상
본적
평안북도 미상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1

공적개요

1922년경 중국(中國) 장백현(長白縣) 12도구(道溝)에서 군비단(軍備團) 지단(支團)의 단장(團長)으로 활동하였고 1925년경 대한독립광정단(大韓獨立光正團) 제4서(署) 서기(書記)로, 또한 불상의 시기에 동단(同團) 동서(同署)의 재무부장(財務部長)으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원영
한자명
李元泳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9 ~ 1983
본적
전라북도 임실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39.4.4 호남창의군(湖南倡義軍)인 이석용 의병장(李錫庸義兵將)의 장남(長男)으로 친부(親父)가 일군(日軍)과 전투(戰鬪)하다 피체(被逮)되어 대구형무소(大邱刑務所)에서 교수형(絞首刑)을 받아 순국(殉國)한 유허비(遺墟碑)를 건립(建立)하고 항전 사실(抗戰史實)과 순국 정신(殉國精神)을 후세(後世)에 계승 고취(繼承鼓吹)하기 이하여 제문(祭文)을 낭독(朗讀)하며 제사(祭祀)를 지낸후(後) 체포되어 징역 10월을 받고 2년 6개월(個月)의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종창
한자명
李宗昌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0 ~ 1966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8. 10. 5 제주도(濟州島) 남제주(南濟州)의 법정사(法井寺)에서 김연일(金連日), 강창규(姜昌奎), 방동화(房東華) 스님 등이 주도한 항일 무력시위에 참가하여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춘삼
한자명
李春三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55 ~ 1945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8. 10. 5 제주도(濟州島) 남제주(南濟州)의 법정사(法井寺)에서 김연일(金連日) 강창규(姜昌奎) 방동화(房東華) 스님 등이 주도한 항일 무력시위에 참가하여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정구용
한자명
鄭九鎔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0 ~ 1941
본적
경상북도 영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2

공적개요

1918년 6, 7월 경 제주도(濟州道)의 법정사(法井寺) 주지 김연일(金連日)이 도내(道內)로부터 일본인관리를 축출하여 독립을 쟁취하려는 계획에 공명하고, 동년(同年) 9월 동 계획을 실현하기 위하여 도내의 법천리(法遷里)에 격문을 배포하여 장정을 모집하고, 호근리(好近里)에서 구장(區長)에게 민적부(民籍簿)의 제출을 요구하며 장정을 모집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은 사실(事實)이 확인(確認)됨.

인물정보

성명
조계성
한자명
趙桂成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0 ~ 1949
본적
제주도 기타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6

공적개요

1918년 10월 6일 제주도(濟州道) 좌면(左面) 중문리(中文里)에서 법정사(法井寺) 보천교도(普天敎徒) 김연일(金蓮日) 등과 함께 제주(濟州) 각지(各地)의 일본인(日本人) 관리(官吏)들을 도외(島外)로 구축(驅逐)하고자 모의(謀議)하여 중문리(中文里) 경찰관 주재소(警察官駐在所)를 습격(襲擊)하고 방화(放火)하는데 참여, 깃발을 들고 행진(行進)하며 시위(示威) 군중(群衆)들을 주도하다가 체포(逮捕)되어 징역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지갑생
한자명
池甲生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9 ~ 1935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0

공적개요

1918년 10월 전남 제주도 좌면에서 법정사 항일운동에 참여해 활동하다 벌금 30원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지축생
한자명
池丑生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77 ~ 미상
본적
전라남도 제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2

공적개요

1918년 10월 전남 제주도 좌면에서 법정사 항일운동에 참여해 활동하다 벌금 30원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최신일
한자명
崔信日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75 ~ 1925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8. 10. 5 제주도(濟州島) 남제주(南濟州)의 법정사(法井寺)에서 김연일(金連日), 강창규(姜昌奎), 방동화(房東華) 스님 등이 주도한 항일 무력시위에 참가하여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최태유
한자명
崔泰裕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74 ~ 미상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4

공적개요

1918년 9월 제주(濟州)에서 법정사(法井寺) 승려(僧侶) 김연일(金蓮日)이 이끄는 항일시위에 선봉집사(先鋒執事)로 참여하여 동년(同年) 10월 강창규(姜昌奎) 등과 함께 일본인 관리 축출과 주재소 습격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4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현무생
한자명
玄戊生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7 ~ 1920
본적
전라남도 제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

공적개요

1918년 10월 전남 제주도 좌면에서 법정사 항일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벌금 30원을 받음.

3.1운동

사건설명

3.1운동은 우리 민족이 일제의 식민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기미년) 3월 1일 전후로 일으킨 거족적인 독립 만세운동이다.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일본 도쿄의 2.8 독립선언, 고종의 인산일 등을 계기로 계획되어, 마침내 3월 1일 서울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33인에 의한 독립선언서 낭독과 더불어 탑골공원에서 학생들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만세 시위행진을 벌이며 거행되었다. 이날의 거사는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만주, 북미 등 해외 등지에서도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이를 계기로 세계에 우리 민족의 실상을 알림과 동시에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자주 독립사상 고취 등의 의의를 거두었으나, 동시에 일제가 민족 분열을 위해 무단통치 방법을 문화통치로 바꾸는 원인이 되었다.

애국계몽운동

사건설명

애국계몽운동은 교육과 산업, 언론 진흥을 통해 민족의 실력을 키워 국권을 수호하려는 운동으로, 지식인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였다. 대표적인 단체로는 대한자강회, 대한협회, 신민회가 있다.
이와 같은 애국계몽단체의 활동으로는 <제국신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등 신문과 <대한자강회월보>, <대한협회회보> 등 기관지 또는 학회지 발간을 통한 민중계몽운동이 있다. 또한 보광학교, 한남학교 등 학교 설립과 <보통교과동국역사>, <동국사략>, <대동역사략> 등 교과서 편찬을 통한 교육계몽운동, 그리고 국채보상운동 등의 경제구국운동 등을 펼치며 국력을 키우고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한국 광복군

사건설명

한국광복군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규 군대로, 1919년부터 군사조직법 제정을 통해 임시정부의 군대를 창설하려는 노력이 존재했으나 마침내 임시정부가 중국 충칭에 정착하면서 김구 등의 주도하에 1940년 창설되었다. 총사령에 지대형, 참모장에 이범석, 총무처장에 최용덕 등이 임명되었다. 창설 당시 병력은 30여 명에 불과했으나 병력 모집에 몰두하고 1942년 조선의용대의 편입을 거쳐 1945년 4월경에는 564명으로 확대되었다. 1945년, 임시정부의 주석이던 김구는 미국전략사무국 책임자와 공동작전을 협의하여 한국광복군을 국내에 침투시키는 국내진공작전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실행에 옮기기 전, 일본이 항복을 선언하며 한국광복군의 진공작전은 무산되었고, 1946년 해체되었다.

한말 의병운동

사건설명

항일의병운동에는 을미의병, 을사의병, 정미의병이 있다.
1895~1896년의 을미의병은 조선 말기 최초의 대규모 항일의병으로, 을미사변 후 왕후폐위조칙 발표, 단발령 시행을 계기로 일어났다.
전국 각지에서 봉기하여 대개 그 지방의 유명한 유생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대표적으로 유인석, 이필희, 서상렬을 비롯하여 춘천의 이소응, 이천과 여수의 박준영과 김하락, 강릉 여주의 민용호 등이 활약하였다.
1905~1906년의 을사의병은 러일전쟁 발발, 한일의정서 체결 등으로 고조된 항일의식이 1905년 을사늑약 강제 체결을 계기로 폭발한 구국항일의병이다.
대표적으로 최익현 의병진, 신돌석 의병진과 더불어 민종식과 안병찬 등이 주축이 된 홍주의병, 그리고 정환직, 정용기 부자의 산남의진 등이 있다.
1907~1910년의 정미의병은 고종의 강제 퇴위, 정미7조약 체결, 대한제국군대 강제해산 등을 계기로 발생하였다. 특히 1907년 8월 강제로 해산된 군인들의 대일항전에서 비롯되었고, 1906년 후반으로 접어들며 기세가 누그러졌던 을사의병이 이를 계기로 하여 거국적으로 확대 및 발전하였다. 원주진위대 해산군인 민긍호와 박준성, 경상북도의 이강년과 신돌석, 경기도의 허위와 연기우, 장성의 기삼연, 함평의 김태원과 심남일, 무주의 문태수, 임실의 이석용 등이 활약하였다.

의열단/의열투쟁

사건설명

의열투쟁이란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일제를 상대로 벌인 무력 투쟁을 일컫는다. 192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이어졌고, 한국 독립운동사의 매우 중요한 항일 투쟁 방식 중 하나이다.
의열단은 의열투쟁을 전개한 대표적인 단체이다. 1919년 만주에서 조직된 항일 무력독립운동 단체로, 김원봉, 윤세주, 황상규 등이 활동하였다. 1919년의 거족적인 3.1운동을 겪은 뒤, 해외로 독립운동기지를 옮긴 애국지사들은 강력한 일제의 무력에 대항해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서는 보다 조직적이고 강력한 독립운동단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계기로 1919년 11월 의열단이 조직되어 1920년대에 활발히 활동하였으며, 조국 독립을 위해 과격한 적극 투쟁과 희생정신을 강조하였다.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조선총독부 투탄의거, 종로경찰서 폭탄누척의거 등이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사건설명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19년부터 1945년까지 민주공화제의 독립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주권 자치를 실현하였던 임시정부이다.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되기 전부터 임시정부 수립에 대한 요구가 존재했으나, 3.1운동과 동시에 임시정부 수립 운동이 일어나면서 마침내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 수립되었다. 각료에는 임시의정원 의장 이동녕, 국무총리 이승만, 내무총장 안창호, 외무총장 김규식, 법무총장 이시영, 재무총장 최재형, 군무총장 이동휘, 교통총장 문창범 등이 임명되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파견하는 등 외교활동과 더불어 이봉창과 윤봉길의 의거와 같은 의열투쟁, 육군무관학교 및 비행사양성소 설립, 한국광복군 창설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학생독립운동

사건설명

우리 민족이 1945년 독립을 이루기까지 학생들은 조국 독립을 위해 여러 투쟁을 계속하였다.
구한말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여 학생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국권 수호를 위한 투쟁의 선봉에 섰으며, 농촌계몽 및 야학 등의 활동으로 국민의 자주 의식을 고취했다. 1919년 2월 8일에는 일본 도쿄에서 유학생들이 모여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고, 그 영향을 받은 3.1운동 또한 유관순, 어윤희 등 학생들을 주체 세력으로 전개되었다. 1926년에는 학생 중심의 6.10만세운동이 전개되었는데, 전문학교 학생 이병립, 이병호, 이천진, 박두종 등과 중앙고보와 중동학교 학생 박용규, 곽대형, 김재문 등의 학생들이 주도하여 전개되었다. 1929년 10월에는 나주역에서 일본인 학생들이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학생 박기옥, 이금자, 이광춘 등을 희롱하는 사건을 계기로 광주학생항일운동이 일어났고, 이것이 확산되어 대구, 부산 등 주변 지역에서도 학생항일운동이 전개되었다. 그 밖에도 부산의 노다이사건, 대구사범학교 왜관사건 등 학생들이 주도하여 일어난 여러 항일운동으로 하여금 학생들의 조선독립정신은 지속되어 왔다.

동학농민혁명

사건설명

동학농민혁명은 최제우가 창시한 동학에 기초를 둔 반봉건, 반외세적 성격의 농민민중항쟁이다. 1894년에 전라도 고부의 동학 접주 전봉준을 지도자로 동학교도와 농민들이 합세하여 일으켰다. 총 2차에 걸쳐 전개되었는데, 1차 봉기는 전라도 고부 지방의 관리 조병갑의 횡포와 동학교도 탄압에 대항하여 발생하였고, 이후 동학군의 해산에도 불구하고 일제가 내정간섭, 청일전쟁, 갑오개혁 등을 강행하자 반외세를 외치며 2차로 봉기하였다. 그러나 결국 우금치전투에서 관군과 일본군에 패하고 1895년 1월 전봉준에 이어 손화중 등 동학농민 지도부 대부분이 체포되고 교수형에 처해지면서 동학농민혁명은 실패로 막을 내리게 되었다. 그러나 동학농민군은 후에 일어난 항일의병항쟁의 중심 세력이 되었다.

국내 항일 운동

사건설명

조선 땅에 잔혹한 일제의 지배가 드리워진 암울한 시기에도 우리 민족은 독립을 목적으로 주력하기를 그치지 않았다. 독립지사들은 국내 독립운동을 위한 여러 단체를 조직하였는데, 기독교 등 종교와 결합하거나 농민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는 등 성격이 다양했다. 그들은 친일부호를 처단하고 독립군을 양성함과 동시에 3.1운동의 계획을 세우거나 군자금을 모집하여 국내 독립운동단체의 존속을 지원하였다. 더불어 선전물을 배포하고 야학을 설치하여 식민지 수탈의 실상과 독립 달성을 역설하며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해외 항일 운동

사건설명

독립운동을 위한 열망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들끓었다. 우리 민족은 구주(유럽), 노령(러시아의 시베리아 일대), 만주, 미주,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등에서 활동하며, 위치한 곳과 상관없이 오직 조국 독립의 목적을 위해 몸과 마음을 바쳐 독립운동에 매진하였다.
독립지사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항일의식교육을 펼치고 독립군 양성을 도모하였다. 또한 프랑스의 파리강화회의에 독립청원서를 보내고 유럽 등지에 우리 민족의 참혹한 실상을 알리는 등, 여러 방면에서 조국의 독립을 호소하였다.

기타

사건설명

1894년 동학농민운동을 시작으로 1945년 광복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은 오직 정의롭고 자주적인 국가를 위해 힘써왔다. 우리는 그 과정에서 목숨을 바쳐 투쟁하고 희생된 애국지사들의 넋을 기리고 그 흔적을 기억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