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영동군 독립유공자 기념탑

유형
기념탑·기념공원·기념관
주소
충청북도 영동군 영동읍 매천리 313

사적지 지도 안내

길찾기   |   로드뷰

사적지 개요

영동군 독립유공자 기념탑은 영동지역에서 태어나 독립운동에 참여하다 순국한 선열과 호국영령 등 59명 이름과 취지문을 새긴 탑이다. 영동군 독립유공자의 숭고한 얼을 기리고자 건립하였다. 영동군 독립유공자 기념탑은 자연스러운 원형 좌대에 양쪽 수직방향의 화강석 기둥이 음과 양이 서로 상승 변화, 화합하며 발전하는 모습을 상징한다.

인물정보

성명
김복진
한자명
金復鎭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1 ~ 1940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3

공적개요

1927년 6월 서울 청진동(淸進洞)에서 일본제국주의(日本帝國主義)의 지배를 벗어나고 조선(朝鮮)의 독립(獨立)을 쟁취할 목적으로 고려청년회(高麗靑年會)에 가입하여 활동하다가 1928년 2월에 피체되어 징역 4년6월을 받았으며 30년대(年代) 민족예술(民族藝術)의 발전에 기여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수원
한자명
金壽遠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2 ~ 1936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이원시장(伊院市場) 3.1 운동 주모자로 1919. 6. 30 공주지법(公州地法)에서 2년 6개월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순철
한자명
金舜哲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2 ~ 1939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4

공적개요

1926. 12월 중국 흑룡강성 하얼빈에서 고려혁명당(高麗革命黨)에 가입하여 간부로서 민족교육을 위한 교과목 제정, 동 당(黨) 경영의 학교설립 등을 추진하고 부하인 김정환(金正桓)을 국내에 파견하여 군자금 모집, 당원 모집 등에 종사토록 하는 등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승림
한자명
金升林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1 ~ 1952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 4. 16 충북(忠北) 영동군(永同郡) 학산면(鶴山面)에서 도로 부역(道路賦役)을 위하여 모인 군중(群衆)들을 규합(糾合)하여 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를 주동(主動)하였으며 학산 주재소(鶴山駐在所)를 일시(一時) 점거(占據)하여 건물(建物)을 파괴 방화(破壞放火)하며 활동(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1년을 받아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용선
한자명
金龍善
운동계열
미주방면
생몰년도
1892 ~ 1938
본적
평안북도 용천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6

공적개요

1912년 평북(平北) 선천(宣川)에서 ‘105인 사건’에 관련되어 체포되었다가 동년(同年) 9월 무죄(無罪) 방면되었고, 1915년 미국으로 건너온 후 1916년 대한인국민회 로스앤젤레스 지방회에 입회, 1918년 동회(同會) 재무로 활동하며 1916년부터 1929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인물정보

성명
김용찬
한자명
金容瓚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3 ~ 1937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29. 12월 광주학생 사건(光州學生事件)의 연루자로 피체(被逮)되어 옥고(獄苦)를 치른 후 영동으로 돌아와 1930. 9월 영동농민조합(永同農民組合)에 가입하고 1931. 2월부터 4월사이 김태수(金台洙), 손순흥(孫順興) 등과 함께 적우동맹을 조직, 정치 경제부장을 맡아 활동(活動)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2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태규
한자명
金泰奎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5 ~ 1974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2

공적개요

1919.4.4 충북(忠北) 영동군(永同郡) 영동면(永同面)의 독립만세운동을 주동(主動)하여 2,000여명의 군중과 함께 대한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시위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태수
한자명
金台洙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4 ~ 1950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6

공적개요

1926년 10월 충북(忠北) 영동군(永同郡)에서 영동청년회원(永同靑年會員)으로 영동청년연맹(永同靑年聯盟)을 결성하기 위해 활동하던 중 체포되었다가 1928년 6월 무죄(無罪) 방면(放免)되고, 1929년 4월 영동노동청년회(永同勞動靑年會)를 영동농민조합(永同農民組合)으로 개조한 후 격문을 제작하여 농민층에 배포하는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1931년 음력 1월 이후 4차례에 걸쳐 비밀회의를 개최하여 적우동맹(赤友同盟)을 조직하고 책임비서(責任秘書)로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3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평근
한자명
金平根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0 ~ 1924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6

공적개요

1907년 장운식 의진(張雲植義陣)에 소속되어 민한식(閔漢植)·신돌석(申乭石)·곽준희(郭俊熙) 등과 협의하여 충북(忠北) 옥천(沃川)과 전북(全北) 금산(錦山) 등지에서 군자금을 모금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남도학
한자명
南道學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0 ~ 1969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 3. 2 영동군(永同郡) 매곡면(梅谷面)에서 노천리(老川里), 옥전리(玉田里)에서 3.1운동 거사(運動擧事)를 주동(主動)하여 동지(同志)들을 규합(糾合)하여 시위 군중(示威群衆) 300여명(余名)과 함께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며 시위(示威)를 취행(取行)하고 일 헌병(日憲兵) 분견소(分遣所) 앞에서 시위(示威)를 계속(繼續)하다 왜병(倭兵)에게 체포(逮捕)되어 보안법위반(保安法違反)으로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민영학
한자명
閔泳學
운동계열
인도네시아방면
생몰년도
1916 ~ 1945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8

공적개요

1944년 12월 일본군(日本軍) 군속(軍屬)으로 인도네시아 쟈바섬에서 연합군 포로감시요원으로 있던 중 같은 군속이었던 손양섭(孫亮燮)의 권유로 이활(李活) 등이 조직한 고려독립청년당(高麗獨立靑年黨)에 가입하였으며 1945년 1월 4일 싱가포르로 전속명령을 받고 이동 중 손양섭(孫亮燮), 노병한(盧秉漢)과 함께 탈출하여 형무소장과 군납업자 등 일본인을 사살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총상을 입고 동월(同月) 5일 자결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민한식
한자명
閔漢植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6 ~ 1915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6

공적개요

1907년 11월(음)∼1908년 11월(음) 장운식 의진(張雲植義陣)에 소속되어 충북(忠北) 옥천군(沃川郡) 일대에서 총기를 휴대하고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0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박두업
한자명
朴斗業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8 ~ 1949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2

공적개요

1919.4.16 충북(忠北) 영동군(永同郡) 학산면(鶴山面) 지내리(池內里)에서 김승림(金升林) 등과 함께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계획하던 중 영동(永同)에서 무주간(茂朱間) 도로(道路) 부역(賦役)을 위해 나온 주민(住民)들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학산 주재소(鶴山駐在所)를 점거하고 기물(器物) 등을 파괴한 후 왜인(倭人)들이 가식(假植)한「뽕나무」수만본(數萬本)을 소각하며 시위를 계속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박원보
한자명
朴元甫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57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4.16 충북(忠北) 영동군(永同郡) 학산면(鶴山面)에서 독립만세(獨立萬歲)를 외치며 학산 주재소(鶴山駐在所)를 점거(占據)하여 건물(建物)과 기물(器物)을 파괴(破壞)하는등 활동(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1년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박재복
한자명
朴在福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8 ~ 1998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6

공적개요

1938년 10월경부터 1939년 3월경까지 대전(大田)의 군시(郡是)공장에서 여공(女工)으로 근무하면서 동공장의 여공 정삼례(鄭三禮) 등에게 ‘중일전쟁에서 일본이 패전한다’는 말을 유포하였다가 체포(逮捕)되어 금고(禁錮)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서영석
한자명
徐永錫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7 ~ 1931
본적
평안남도 대동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77

공적개요

1919.3.4. 평남(平南) 사천(沙川) 3.1운동에 참가하여 방화살인으로 1919.12.6 고법(高法)에서 무기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성하식
한자명
成夏植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78 ~ 1958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만주(滿洲)에서 교육기관을 설립 후진들에게 항일독립사상을 고취하였으며 흥업단(興業團)에 가담하여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손순흥
한자명
孫順興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8 ~ 1956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26년 충북(忠北) 영동군(永同郡) 황간(黃澗) 청년회(靑年會)에 가입하여 활동하다가 1929. 4. 26 영동농민조합을 조직, 검사위원장으로서 1930. 5월 동 조합의 황간지부를 설치하여 영동농민조합의 확대 강화를 위해 노력하였고 1931년에는 적우동맹(赤友同盟)을 조직, 선전조직부를 맡아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3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송병순
한자명
宋秉珣
운동계열
계몽운동
생몰년도
1839 ~ 1912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77

공적개요

1905. 을사보호조약(乙巳保護條約)이 체결되자 격문을 전국에 배포 국권회복운동을 1921년까지 계속하였으며 일군(日軍)의 회유책으로 사은금(謝恩金)을 보냈으나 반대하고 1912. 경학원 강사로 천거되자 일제(日帝)에 항거하는 유서를 남기고 음독(飮毒) 순국(殉國)한 사실을 확인함.

인물정보

성명
안광득
한자명
安光得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7 ~ 1933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4.3 밤 영동군(永同郡) 매곡면(梅谷面) 옥전리(玉田里)와 노천리(老川里) 주민(住民) 100여명(餘名)이 대한독립만세(大韓獨立萬歲)를 부르며 시위(示威)를 하고 4.4에는 시위 군중(示威群衆)과 함께 태극기(太極旗)를 앞세워 면사무소(面事務所)로 가서 독립선언문(獨立宣言文)을 낭독(朗讀)하며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한후 추풍령(秋風嶺) 헌병(憲兵) 분견소(分遣所)로 몰려가서 시위(示威)하다 피체(被逮)하여 징역 1년 2월형(月刑)을 받아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병문
한자명
安秉文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7 ~ 1922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4.3~4일 영동군(永同郡) 매곡면(梅谷面) 옥전리(玉田里)에서 매곡면(梅谷面) 각리(各里)의 시위군중 약300명과 함께 독립만세를 부르며 추풍령(秋風嶺) 일 헌병(日憲兵) 분견대(分遣隊)로 행진하고 7회에 걸쳐 파상적(波狀的)인 시위를 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3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준
한자명
安準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0 ~ 1969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4.2~4 충북(忠北) 영동군(永同郡) 매곡면(梅谷面) 각 리(里)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 시위를 전개하고 추풍령(秋風嶺) 헌병분견대(憲兵分遣隊) 앞에서 300여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7회에 걸쳐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위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4월형을 언도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봉식
한자명
梁鳳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2 ~ 1950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

공적개요

1919. 4. 3 충북(忠北) 영동군(永同郡) 학산면(鶴山面)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주동하고 오후 4시경 서산리(鋤山里) 장터에 모인 300여 명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장터를 누비고 시위한 후 8시에는 200여 명이 다시 모여 학산면사무소로 몰려가서 가식되어 있는 뽕나무 2만 8천여본을 뽑아 소각하다가 피체되어 징역 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여구방
한자명
呂九芳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6 ~ 1963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 4. 16 충북(忠北) 영동군(永同郡) 학산면(鶴山面)에서 도로(道路) 부역(賦役)을 위하여 모인 군중(群衆)들을 규합(糾合)하여 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를 주도(主導)하면서 학산(鶴山) 주재소(駐在所)를 일시(一時) 점거(占據)하여 건물(建物)을 파괴 방화(破壞放火)하며 활동(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1년을 받아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여구일
한자명
呂九一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3 ~ 1974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2

공적개요

1919.4.16 충북(忠北) 영동군(永同郡) 학산면(鶴山面) 지내리(池內里)에서 한문서당(漢文書堂) 동문수학(同門修學)인 김승림(金升林) 정화중(鄭化中) 여규병(呂圭炳) 등과 독립만세운동을 계획하고 이날 영동(永同)에서 무주간(茂朱間) 도로 부역(道路賦役)에 나온 면민(面民) 수백명을 규합하여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학산(鶴山) 주재소(駐在所)를 일시 점거(一時占據)하고 가식(假植)하여 놓은「뽕나무」묘목(苗木)을 소각(燒却)하였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을 받은 활동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여규병
한자명
呂圭炳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9 ~ 1935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2

공적개요

1919. 4. 16 충북(忠北) 영동군(永同郡) 학산면(鶴山面) 지내리(池內里)에서 한문서당(漢文書堂) 동문(同門) 수학(修學)인 김승림(金升林) 정화중(鄭化中) 여구일(呂九一)등과 독립만세 시위활동을 계획하고 이날 영동(永同)에서 무주간(茂朱間) 도로 부역(道路賦役)에 나온 면민(面民) 수백명을 규합하여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학산 주재소(鶴山駐在所)를 일시 점거하고 가식(假植)해 놓은「뽕나무」묘목(苗木)을 소각(燒却)하였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오용수
한자명
吳龍洙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22 ~ 미상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38.11. 대구사범학교(大邱師範學校) 졸업, 3년재학(在學) 중 박효준, 임병찬 학우(學友) 등과 비밀결사인 독서회(讀書會)를 조직하여 민족독립의식을 고취하였으며 1941.2 최낙철, 이태길 학우등과 독립국가건설에 유용한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연구회(硏究會)를 조직하여 정치(政治), 경제부(經濟部) 책임자(責任者)로 활동 1941.3 졸업 후 남성국민학교(南城國民學校) 교사(敎師)로 취임하여 학생들에게 민족의식과 배일사상 주입 등 지하활동 중 피체 육해군형법(陸海軍刑法) 및 치안유지법위반(治安維持法違反)으로 1941.8부터 2년3월의 예심기간을 거쳐 징역2년6월을 언도받아 복역함.

인물정보

성명
유재찬
한자명
柳在贊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1 ~ 1944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5

공적개요

1922년 11월 김찬규(金燦奎) 이응수(李應洙) 등이 경북지방의 반일인사들을 규합하여 결성한 비밀결사 의용단(義勇團)에 참여하여 경북지단(慶北支團) 재무국(財務局) 서기(書記)로서 자산가들로부터 군자금을 모집하기 위하여 사형선고서 등을 발송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체포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건석
한자명
李建奭
운동계열
의열투쟁
생몰년도
1852 ~ 1906
본적
경상북도 기타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3

공적개요

1. 을미지변(乙未之變)(1895년) 후 복수상소 3회(復讎上疏三回) 아일(俄日)을 화자(禍者)로 보고 자강지책(自强之策)을 연소(聯疏) (기려수필(騎驢隨筆) p.50) 2. 1905년 을사보호조약(乙巳保護條約) 체결시 역신(逆臣) 박제순(朴齊純) 조중응(趙重應) 등 주살(誅殺)하려다 피검(被檢), 옥중에서 토혈순사(吐血殉死) (항일순국의열사전(抗日殉國義烈士傳) p.296 p.56) 3. 1905년 을사오조약(乙巳五條約)의 매국대신(賣國大臣)을 자살(刺殺)하려다 피체되어 옥중에서 구혈사(嘔血死)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17) 4. 1905년 을사오조약(乙巳五條約)을 반대하다가 피체되어 옥중에서 토혈수승이사(吐血數升而死) (기려수필(騎驢隨筆) p.80) 5. 을사조약(乙巳條約) 반대상소(反對上疏) 재수 중(在囚中) 구혈이사(嘔血而死) (매천야록(梅泉野錄) p.373) 6. 의병피구(義兵被拘) (매천야록(梅泉野錄) p.383) 7. 1905년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조인(調印)되자 6차에 달하여 토역(討逆) 항일(抗日) 복권(復權)에 관한 상소(上疏)를 하는 일면(一面) 서북청년(西北靑年) 수십인을 규합하여 역적을 암살하려다 발각되어 왜 헌병사령부(倭憲兵司令部)에 체포 수금(逮捕囚禁) 6개월 수금(囚禁)중 단식 십사일만에 자수(自手)로 교자자진(絞自自盡)

인물정보

성명
이건양
한자명
李建陽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5 ~ 1963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영동(永同) 학산면(鶴山面)에서 동지들과 만세시위를 주도하다 피체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광연
한자명
李光然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2 ~ 1939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3.30~4.3 영동(永同)~무주(茂朱)간 도로공사부역중인 면민들을 선동하여 독립만세시위운동을 주도하다가 체포되어 징역2년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기영
한자명
李起永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74 ~ 1918
본적
충청남도 보령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2

공적개요

허위(許蔿)의 사위로서 1913년 임병찬(林炳贊)이 서울에 조직한 독립의군부(獨立義軍府)에 참여하여 활동하는 한편 1914. 4월 독립자금 모집활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0년을 받고 옥중(獄中)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낙연
한자명
李樂然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9 ~ 1919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

공적개요

1919. 3. 29 충북 영동군 학산면(鶴山面)에서 친형 이채연(李采然)이 주동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면민(面民)과 함께 학산 주재소(鶴山駐在所)로 몰려가서 독립만세를 고창하고 영동 무주(茂朱)간 도로부역으로 동원된 수 천명과 함께 합세하여 주재소 건물과 전화기기 등을 파괴하며 시위하다 피체되어 징역 2년을 받고 복역하다가 옥사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봉연
한자명
李鳳然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3 ~ 1941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3.30 도로 공사(道路工事) 부역중(賦役中) 동원된 면민들과 같이 구속된 인사의 석방을 요구하는 격렬한 시위운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경성복심법원(京城覆審法院)에서 징역2년을 수형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상찬
한자명
李相瓚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4 ~ 1942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3.29 양산면(陽山面) 가곡리(柯谷里) 독립만세시위에 참가하여 용감하게 운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여 경성감옥(京城監獄)에서 2년 옥고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승구
한자명
李承九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0 ~ 1920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8

공적개요

1909­1913년 충북(忠北) 영동군(永同郡) 영동면장(永同面長) 등으로 재직하다가 독립운동(獨立運動)에 뜻을 두고 자신 소유의 부동산을 매각한 후 중국(中國) 봉천성(奉天省) 유하현(柳河縣) 삼원포(三源浦)로 망명하여 1919년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이 결성되자 이에 참여,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 중앙총단(中央總團)의 서기장(書記長) 및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의 지단장(支團長)에 선임되어 조맹선(趙孟善), 박장호(朴長浩)의 핵심참모로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던 중 1920. 7. 23 봉천성(奉天省) 환인현(桓仁縣) 소양차(小陽岔) 부근에서 일군(日軍) 수사대(搜査隊)의 습격을 받고 교전(交戰) 끝에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응수
한자명
李應洙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6 ~ 1922
본적
함경북도 명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의군단원(義軍團員)으로서 밀정(密偵) 박창근(朴昌根) 등을 처단(處斷)하고 피체(被逮)되어 1922. 4. 15 청진옥(淸津獄)에서 사형순국(死刑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종면
한자명
李鍾冕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67 ~ 1932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6

공적개요

1907년경(年頃) 이인영 의진(李麟榮義陣)에 소속되어 활동하였고 이인영 의병장(李麟榮義兵將)의 순국(殉國) 후 가족들을 은닉 보호하였으며, 1914년 임병찬(林炳瓚) 등이 주도 조직한 독립의군부(獨立義軍府)에 참여하여 광무황제(光武皇帝)로부터「독립의군부(獨立義軍府) 육군참장(陸軍參將), 충북관찰사(忠北觀察使) 순무총장(巡撫總將), 삼도 도독(三道都督)」으로 임명하는 칙령(勅令)을 받았으며 1915년 박종식(朴宗湜) 등과 함께 충북(忠北) 영동(永同)에서 국권 회복(國權回復)의 방안(方案)을 논의(論議)하는 등 활동(活動)하다가 체포되어 태(笞)90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진국
한자명
李鎭國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8 ~ 1969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 3. 29 영동군(永同郡) 양산 독립만세 시위(陽山獨立萬歲示威)에 참가하여 적극적으로 활동하다가 일경(日警)에 체포되어 징역 2년형을 언도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채연
한자명
李彩然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0 ~ 1954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3.1 운동에 참여하여 독립만세시위를 하고 경찰관 주재소(警察官駐在所)에 방화(放火)하여, 징역 2년을 복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택주
한자명
李澤周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7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9

공적개요

1927년 5월 이전(以前) 중국(中國) 길림성(吉林省) 집안(輯安) 일대에서 독립운동단체에 소속되어 활동하다 중국(中國) 관헌(官憲)에게 체포되어 일본(日本) 관헌(官憲)에 인도된 후 살해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임봉춘
한자명
林奉春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9 ~ 1971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9. 4. 3 충북(忠北) 영동군(永同郡) 매곡면(梅谷面) 노천리(老川里)와 옥전리(玉田里)에서 주민 100여명과 함께 독립만세를 부르며 시위를 하고 4월 4일에는 시위군중과 함께 태극기를 앞세워 면사무소로 가서 독립선언문을 낭독한 후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위를 전개하다 안광덕(安光德), 남도학(南道學) 등과 함께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 2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장복철
한자명
張福喆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31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 4. 2 ~ 4. 5 까지 충북(忠北) 영동군(永同郡) 매곡면(梅谷面) 노천리(老川里), 옥전리(玉田里) 일대(一帶)에서 주민(住民) 300여명(余名)을 규합(糾合)하고 독립만세’(獨立萬歲)를 부르며 시위(示威)를 주동(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1년3월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장인득
한자명
張寅得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8 ~ 1964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9. 3. 4 충북(忠北) 영동군(永同郡) 영동시장(永同市場)에서 2천여 명의 군중을 주도하여 대한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위운동을 전개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10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장출봉
한자명
張出鳳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1 ~ 미상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5

공적개요

1919년 4월 2일부터 충북(忠北) 영동군(永同郡) 매곡면(梅谷面)에서 면사무소를 중심으로 독립만세 시위운동이 전개되던 중, 4월 4일 황금면(黃金面) 추풍령(秋風嶺) 헌병 분견대원 및 수비대가 만세시위 주동인물 3인을 체포하자 이들을 구출하기 위한 시위운동이 일어났는데, 이에 참여하여 동면(同面) 주민들과 함께 독립기를 앞세우고 만세시위 운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전만표
한자명
全萬杓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6 ~ 1959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4.3 영동군(永同郡) 학산면(鶴山面)에서 동지들과 같이 다수군중을 인솔하여 독립만세 시위를 하다가 체포되어 징역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전재득
한자명
全在得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8 ~ 1968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9. 4. 3 서울 및 기타지역의 독립만세 시위운동에 호응하여 충북(忠北) 영동군(永同郡) 학산면(鶴山面) 서산리(鋤山里) 시장에 모인 약 3백 명의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獨立萬歲)를 외치는 등 활동을 전개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4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정돈영
한자명
鄭暾永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4 ~ 1919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

공적개요

1919년 3월 31일 충북 영동군 학산면에서 수 백명의 시위군중이 철도정차장을 중심으로 집결되어 태극기를 흔들며 독립만세를 맹렬하게 고창하다 체포되어 고문으로 옥중사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정원택
한자명
鄭元澤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890 ~ 1971
본적
충청북도 음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1.이후 독립운동 자금 조달을 위해 활동하였으며 1919년 ‘대한독립(大韓獨立) 의군부(義軍府)를 조직 활동하였으며 임시(臨時) 의정원(議政院) 의원(議員)으로 활동하는 등 전후(前后) 9년간 활약함.

인물정보

성명
정해용
한자명
鄭海容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0 ~ 1942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 4. 3 당시 학산면(鶴山面) 서기(書記)로 재직하면서 장꾼과 공사장에 모인 주민들을 선동(煽動)하여 경찰서(警察署) 면사무소(面事務所)를 습격하여 격렬한 시위운동을 주동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정화중
한자명
鄭化中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8 ~ 1931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3

공적개요

1919년 3월 충북 영동군 학산면에서 김승림 외(金升林外) 6인(人)과 수차례 거사를 모의하여 1919. 4. 16 영동(永同) 무주간(茂朱間) 도로 부역에 나온 수백명의 면민들과 합세하여 학산(鶴山) 주재소(駐在所)를 점거하고 기물을 파괴한 후 왜인(倭人)들이 심으려고 실어다 놓은 뽕나무 수만주를 소각한 다음 여세를 모아 대한독립만세(大韓獨立萬歲)를 절규(絶叫)하며 시위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최덕용
한자명
崔德用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9 ~ 1961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2

공적개요

1919.3.27 충북(忠北) 옥천군(沃川郡) 이원(伊院) 장터에서 육창주(陸昌柱) 허상기(許相基) 김용이(金龍伊)등이 주동이 된 독립만세시위에 참가하고 시위군중 300여명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시위하다가 육창주(陸昌柱)등 3명이 헌병 주재소(憲兵駐在所)에 연행(連行)되자 유치장(留置場)을 파괴하고 수감동지를 탈주(脫走)케 하는 등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한광교
한자명
韓光敎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0 ~ 1959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9. 4. 4 충북(忠北) 영동군(永東郡) 영동면(永東面) 시장에서 여러동지들과 함께 2천여 명의군중을 주도하여 대한독립만세를 고창하면서 시위 운동(示威運動)을 전개(展開)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허량
한자명
許樑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5 ~ 1935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삼일운동당시 영동(永同), 이원(伊院) 독립만세사건에 가담하여 헌병주재소를 습격, 기물, 동건물을 파괴 등 활약하고 징역 2년 언도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홍진
한자명
洪震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877 ~ 1946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2

공적개요

1. 대한제국 당시 한성평리원(漢城平理院) 검사(檢事), 충청검찰청(忠淸檢察廳) 검사를 역임하면서 한인애국자 보호에 진력함 2. 3.1운동 후 상해(上海)에 망명하여 임시정부 법무총장(臨時政府法務總長), 내무총장(內務總長), 의정원의장(議政院議長), 국무령(國務領) 등을 역임하면서 광복 운동(光復運動)을 영도(領導)함 광복후(光復後) 귀국(歸國)하여 1946년 서울에서 병(病)으로 서거(逝去)하였음

인물정보

성명
황덕화
한자명
黃德化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5 ~ 미상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07.11월(음)경 신명선 의진(申明先[善]義陣)에 가담하여 전북(全北) 금산(錦山)을 중심으로 군비 조달(軍費調達) 임무를 수행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0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3.1운동

사건설명

3.1운동은 우리 민족이 일제의 식민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기미년) 3월 1일 전후로 일으킨 거족적인 독립 만세운동이다.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일본 도쿄의 2.8 독립선언, 고종의 인산일 등을 계기로 계획되어, 마침내 3월 1일 서울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33인에 의한 독립선언서 낭독과 더불어 탑골공원에서 학생들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만세 시위행진을 벌이며 거행되었다. 이날의 거사는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만주, 북미 등 해외 등지에서도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이를 계기로 세계에 우리 민족의 실상을 알림과 동시에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자주 독립사상 고취 등의 의의를 거두었으나, 동시에 일제가 민족 분열을 위해 무단통치 방법을 문화통치로 바꾸는 원인이 되었다.

애국계몽운동

사건설명

애국계몽운동은 교육과 산업, 언론 진흥을 통해 민족의 실력을 키워 국권을 수호하려는 운동으로, 지식인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였다. 대표적인 단체로는 대한자강회, 대한협회, 신민회가 있다.
이와 같은 애국계몽단체의 활동으로는 <제국신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등 신문과 <대한자강회월보>, <대한협회회보> 등 기관지 또는 학회지 발간을 통한 민중계몽운동이 있다. 또한 보광학교, 한남학교 등 학교 설립과 <보통교과동국역사>, <동국사략>, <대동역사략> 등 교과서 편찬을 통한 교육계몽운동, 그리고 국채보상운동 등의 경제구국운동 등을 펼치며 국력을 키우고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한국 광복군

사건설명

한국광복군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규 군대로, 1919년부터 군사조직법 제정을 통해 임시정부의 군대를 창설하려는 노력이 존재했으나 마침내 임시정부가 중국 충칭에 정착하면서 김구 등의 주도하에 1940년 창설되었다. 총사령에 지대형, 참모장에 이범석, 총무처장에 최용덕 등이 임명되었다. 창설 당시 병력은 30여 명에 불과했으나 병력 모집에 몰두하고 1942년 조선의용대의 편입을 거쳐 1945년 4월경에는 564명으로 확대되었다. 1945년, 임시정부의 주석이던 김구는 미국전략사무국 책임자와 공동작전을 협의하여 한국광복군을 국내에 침투시키는 국내진공작전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실행에 옮기기 전, 일본이 항복을 선언하며 한국광복군의 진공작전은 무산되었고, 1946년 해체되었다.

한말 의병운동

사건설명

항일의병운동에는 을미의병, 을사의병, 정미의병이 있다.
1895~1896년의 을미의병은 조선 말기 최초의 대규모 항일의병으로, 을미사변 후 왕후폐위조칙 발표, 단발령 시행을 계기로 일어났다.
전국 각지에서 봉기하여 대개 그 지방의 유명한 유생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대표적으로 유인석, 이필희, 서상렬을 비롯하여 춘천의 이소응, 이천과 여수의 박준영과 김하락, 강릉 여주의 민용호 등이 활약하였다.
1905~1906년의 을사의병은 러일전쟁 발발, 한일의정서 체결 등으로 고조된 항일의식이 1905년 을사늑약 강제 체결을 계기로 폭발한 구국항일의병이다.
대표적으로 최익현 의병진, 신돌석 의병진과 더불어 민종식과 안병찬 등이 주축이 된 홍주의병, 그리고 정환직, 정용기 부자의 산남의진 등이 있다.
1907~1910년의 정미의병은 고종의 강제 퇴위, 정미7조약 체결, 대한제국군대 강제해산 등을 계기로 발생하였다. 특히 1907년 8월 강제로 해산된 군인들의 대일항전에서 비롯되었고, 1906년 후반으로 접어들며 기세가 누그러졌던 을사의병이 이를 계기로 하여 거국적으로 확대 및 발전하였다. 원주진위대 해산군인 민긍호와 박준성, 경상북도의 이강년과 신돌석, 경기도의 허위와 연기우, 장성의 기삼연, 함평의 김태원과 심남일, 무주의 문태수, 임실의 이석용 등이 활약하였다.

의열단/의열투쟁

사건설명

의열투쟁이란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일제를 상대로 벌인 무력 투쟁을 일컫는다. 192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이어졌고, 한국 독립운동사의 매우 중요한 항일 투쟁 방식 중 하나이다.
의열단은 의열투쟁을 전개한 대표적인 단체이다. 1919년 만주에서 조직된 항일 무력독립운동 단체로, 김원봉, 윤세주, 황상규 등이 활동하였다. 1919년의 거족적인 3.1운동을 겪은 뒤, 해외로 독립운동기지를 옮긴 애국지사들은 강력한 일제의 무력에 대항해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서는 보다 조직적이고 강력한 독립운동단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계기로 1919년 11월 의열단이 조직되어 1920년대에 활발히 활동하였으며, 조국 독립을 위해 과격한 적극 투쟁과 희생정신을 강조하였다.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조선총독부 투탄의거, 종로경찰서 폭탄누척의거 등이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사건설명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19년부터 1945년까지 민주공화제의 독립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주권 자치를 실현하였던 임시정부이다.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되기 전부터 임시정부 수립에 대한 요구가 존재했으나, 3.1운동과 동시에 임시정부 수립 운동이 일어나면서 마침내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 수립되었다. 각료에는 임시의정원 의장 이동녕, 국무총리 이승만, 내무총장 안창호, 외무총장 김규식, 법무총장 이시영, 재무총장 최재형, 군무총장 이동휘, 교통총장 문창범 등이 임명되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파견하는 등 외교활동과 더불어 이봉창과 윤봉길의 의거와 같은 의열투쟁, 육군무관학교 및 비행사양성소 설립, 한국광복군 창설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학생독립운동

사건설명

우리 민족이 1945년 독립을 이루기까지 학생들은 조국 독립을 위해 여러 투쟁을 계속하였다.
구한말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여 학생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국권 수호를 위한 투쟁의 선봉에 섰으며, 농촌계몽 및 야학 등의 활동으로 국민의 자주 의식을 고취했다. 1919년 2월 8일에는 일본 도쿄에서 유학생들이 모여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고, 그 영향을 받은 3.1운동 또한 유관순, 어윤희 등 학생들을 주체 세력으로 전개되었다. 1926년에는 학생 중심의 6.10만세운동이 전개되었는데, 전문학교 학생 이병립, 이병호, 이천진, 박두종 등과 중앙고보와 중동학교 학생 박용규, 곽대형, 김재문 등의 학생들이 주도하여 전개되었다. 1929년 10월에는 나주역에서 일본인 학생들이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학생 박기옥, 이금자, 이광춘 등을 희롱하는 사건을 계기로 광주학생항일운동이 일어났고, 이것이 확산되어 대구, 부산 등 주변 지역에서도 학생항일운동이 전개되었다. 그 밖에도 부산의 노다이사건, 대구사범학교 왜관사건 등 학생들이 주도하여 일어난 여러 항일운동으로 하여금 학생들의 조선독립정신은 지속되어 왔다.

동학농민혁명

사건설명

동학농민혁명은 최제우가 창시한 동학에 기초를 둔 반봉건, 반외세적 성격의 농민민중항쟁이다. 1894년에 전라도 고부의 동학 접주 전봉준을 지도자로 동학교도와 농민들이 합세하여 일으켰다. 총 2차에 걸쳐 전개되었는데, 1차 봉기는 전라도 고부 지방의 관리 조병갑의 횡포와 동학교도 탄압에 대항하여 발생하였고, 이후 동학군의 해산에도 불구하고 일제가 내정간섭, 청일전쟁, 갑오개혁 등을 강행하자 반외세를 외치며 2차로 봉기하였다. 그러나 결국 우금치전투에서 관군과 일본군에 패하고 1895년 1월 전봉준에 이어 손화중 등 동학농민 지도부 대부분이 체포되고 교수형에 처해지면서 동학농민혁명은 실패로 막을 내리게 되었다. 그러나 동학농민군은 후에 일어난 항일의병항쟁의 중심 세력이 되었다.

국내 항일 운동

사건설명

조선 땅에 잔혹한 일제의 지배가 드리워진 암울한 시기에도 우리 민족은 독립을 목적으로 주력하기를 그치지 않았다. 독립지사들은 국내 독립운동을 위한 여러 단체를 조직하였는데, 기독교 등 종교와 결합하거나 농민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는 등 성격이 다양했다. 그들은 친일부호를 처단하고 독립군을 양성함과 동시에 3.1운동의 계획을 세우거나 군자금을 모집하여 국내 독립운동단체의 존속을 지원하였다. 더불어 선전물을 배포하고 야학을 설치하여 식민지 수탈의 실상과 독립 달성을 역설하며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해외 항일 운동

사건설명

독립운동을 위한 열망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들끓었다. 우리 민족은 구주(유럽), 노령(러시아의 시베리아 일대), 만주, 미주,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등에서 활동하며, 위치한 곳과 상관없이 오직 조국 독립의 목적을 위해 몸과 마음을 바쳐 독립운동에 매진하였다.
독립지사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항일의식교육을 펼치고 독립군 양성을 도모하였다. 또한 프랑스의 파리강화회의에 독립청원서를 보내고 유럽 등지에 우리 민족의 참혹한 실상을 알리는 등, 여러 방면에서 조국의 독립을 호소하였다.

기타

사건설명

1894년 동학농민운동을 시작으로 1945년 광복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은 오직 정의롭고 자주적인 국가를 위해 힘써왔다. 우리는 그 과정에서 목숨을 바쳐 투쟁하고 희생된 애국지사들의 넋을 기리고 그 흔적을 기억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