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보성군 독립유공자 추모탑

유형
기념탑·기념공원·기념관 | 비석
주소
전라남도 보성군 문덕면 덕치리 143

사적지 지도 안내

길찾기   |   로드뷰

사적지 개요

일제가 우리나라의 국권을 침탈하고 지배하던 한말·일제강점기에 전남 보성 출신의 수많은 애국선열들이 목숨을 걸고 일어나 항일 의병전쟁, 1919년 3·1독립운동, 독립군전투, 대한민국임시정부, 노동운동, 농민운동, 학생운동, 광복군 등에 참여하여 조국의 독립을 위해 싸웠다.
사단법인 송재서재필기념사업회에서는 위 인물의 공로를 기리기 위하여 2003년 8월 15일 이 탑을 세웠다.

탐방로그

보성군 독립유공자 추모탑은 주암호 조각공원 내에 있다. 추모탑 뒤편에는 보성군 출신의 독립운동가 중 서훈을 받으신 분들의 명패가 있는데, 그들 중 하나인 서재필의 기념관이 조각공원 근처에 있다.

인물정보

성명
강환진
한자명
姜桓珍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2 ~ 1936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32년3월에 전남노농협의회(全南勞農協議會) 보성농민부(寶城農民部)를 조직(組織)하여 항일활동(抗日活動)을 하다가 일경(日警)에게 피체(被逮)되어 1934.11.27 광주지방법원(光州地方法院)에서 징역 1년6월, 집행유예(執行猶豫) 4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귀선
한자명
金貴善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3 ~ 2005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3

공적개요

1929. 5월 전남(全南) 광주소녀고등보통학교(光州少女高等普通學校) 재학중에 장매성(張梅性)의 주도(主導)로 비밀 결사(秘密結社)된 소녀회(少女會)에 가담(加擔)하여 민족(民族)의 독립(獨立)과 여성(女性)의 해방(解放)을 목적(目的)으로 운동(運動)하다가 같은 해 11월 3일 광주학생운동(光州學生運動)이 발발함에 따라 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활동하던 중 1930. 1. 15. 주동자로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에 5년간(年間) 집행유예(執行猶豫)를 받았으나 약(約) 1년 5월의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도규
한자명
金道珪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5 ~ 1967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08년 안규홍 의장(安圭洪義將)의 휘하의 부장(副長)으로서 동년 10월 보성(寶城)의 호곡(毫谷), 득량(得粮)작전에서 적군을 대파하고 동복내 운월치(同福內雲月峙) 및 순천 병치 작전(順天竝峙作戰)에서 전공을 수립한 후 1909년 8월 보성(寶城)의 단봉(丹峯)에서 일군진을 기습공격하여 무기 다수를 노획(鹵獲)하는 전과를 거양하였으나 그후 일군대부대의 공격으로 실패한 후 피신생활을 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동은
한자명
金東垠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08 ~ 1978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30. 10. 독서회사건(讀書會事件)으로 광주지법(光州地法)에서 3년 언도되어 항고(抗告)하여 1931. 대구복심법원에서 1년 언도 복역함.

인물정보

성명
김봉수
한자명
金鳳洙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3 ~ 1980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32. 2 전남(全南) 보성(寶城)에서 비밀리(秘密裏)에 농민회(農民會)를 조직(組織)하고 2회에 걸쳐 항일(抗日) 격문(檄文)을 살포(撒布)하다 체포(逮捕)되어 1년 10개월간(個月間) 옥고(獄苦)를 겪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관
한자명
金永瓘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4 ~ 2000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3

공적개요

1929. 6월 전남(全南) 광주공립농업학교(光州公立農業學校)에 재학중 비밀 결사(秘密結社) 독서회(讀書會)에 가입, 항일독립의식을 함양하고 1929. 11. 12 광주학생(光州學生) 시위(示威)에 참여하여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면소 처분(免訴處分)을 받았으나 8월간(月間)의 옥고(獄苦)를 포함하여 1년 1월의 활동 공적(活動功績)이 사실로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나정련
한자명
羅正練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2 ~ 1943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

공적개요

1909. 대종교(大倧敎)에 입교(入敎) 1942. 11. 19 대종교(大倧敎) 창시자(創始者) 나철(羅喆)의 장남으로 임오교변(壬午敎變)당시 피체(被逮)됨.(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보훈처(報勳處)) 제8권 800, 802면(面) 참조(參照)) 1943. 9. 17 고문으로 만주(滿洲) 목단강(牧丹江) 액하형무소(掖河刑務所)에서 옥사(獄死) 순국(殉國)함.(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보훈처(報勳處)) 제8권 804, 806면(面) 참조(參照))

인물정보

성명
나정문
한자명
羅正紋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2 ~ 1944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

공적개요

1. 연월일 미상 대종교(大倧敎)에 입교(入敎) 2. 1942.11.19 대종교(大倧敎) 창시자 홍암(弘岩) 나철(羅喆)의 차남으로 임오교변 시(壬午敎變時) 피체됨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문일민(文一民)) 86면 확인] [독립운동사(獨立運動史)(보훈처(報勳處)) 제8권 800,802면 참조] 3. 1944.2.7 일경(日警)의 고문으로 만주(滿洲) 목단강(牧丹江) 액하형무소(掖河刑務所)에서 옥사(獄死) 순국(殉國)함 [독립운동사(獨立運動史)(보훈처(報勳處)) 제8권 804,806면 참조]

인물정보

성명
나창운
한자명
羅昌運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8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

공적개요

1908. 2월 전남(全南) 보성군(寶城郡)에서 거의(擧義)한 안계홍(安桂洪) 의병장(義兵將) 휘하(麾下)에서 참모(參謀)로 활동(活動)하다가 파청대첩시(巴靑大捷時)에 동복(同福)을 탈환(奪還)하기 위해 운월치(雲月峙)로 진군(進軍)하다가 누봉산(樓鳳山)에서 일군(日軍)과 교전(交戰) 중에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나철
한자명
羅喆
운동계열
의열투쟁
생몰년도
1863 ~ 1916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2

공적개요

1. 1905년에 보호조약(保護條約)이 늑체(勒締)된 후 4차(四次)나 동경(東京)에 가서 일본 정부(日本政府)와 국회(國會)에 장서를 보내서 그 무도함을 힐책(詰責)하였다. 2. 1907년에 매국 오적(賣國五賊)을 주살(誅殺)하려다가 실패하고 법정에 자수하여 지도(智島)에 10년 유형(流刑)되었으나 일 년 후 특사(特赦)되었다. 3. 1909년에 단군(檀君)을 존봉(尊奉)하는 대종교(大倧敎)를 받들어 국혼(國魂)을 발양(發揚)하여 왜적(倭敵)의 가혹(苛酷)한 압박(壓迫)을 받다가 구월산(九月山) 삼성사(三聖祠)에 왜 총리(倭總理)와 왜 총독(倭總督)에게 질책(叱責)의 유서(遺書)를 남기고 작고하였다.

인물정보

성명
문장호
한자명
文章鎬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6 ~ 1909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

공적개요

1908. 2월 임창모(林昌模)가 전남 보성에서 기병하자 입진하여 흥양만(興陽灣) 가령치(加嶺峙) 등의 전투에 참가하였으며 1909. 8. 29 전남 화순 묵곡(墨谷) 석동(石洞)에서 일군과 교전 중 전사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박기년
한자명
朴基年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9 ~ 1923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08년 양회일의병진이 전남 능주(陵州)에서 거의할 때 참여하여 영포대장이 되어 의병소집, 훈련을 담당하였으며 흥양만(興陽灣)에서 상륙하는 일군과 전투하고 왜병 다수를 사살하였으며 보성군 문덕면(門德面) 가령치(加嶺峙)에서 일군과 전투하고 총기 등을 노획하며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박문용
한자명
朴文鎔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882 ~ 1929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80

공적개요

1913.12월 전남(全南) 보성군(寶城郡) 겸일면장(兼日面長)으로 재직당시 공금보관금(公金保管金) 327원6전을 군자금으로 제공하였고 1919.4월에는 상해 임시정부(上海臨時政府)에서 국내특파원으로 특파되어 전라지방책으로 활동하는 동시 상해임시정부의 조선독립군사령부(朝鮮獨立軍司令部) 설치에 소요되는 군자금 모집을 위하여 국내에 입국 결사대(決死隊)(친일분자암살단(親日分子暗殺團))를 조직활동타가 체포되어 1921.11.15 경성지방법원(京城地方法院)에서 징역7년 형을 받고 복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박제현
한자명
朴霽鉉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1 ~ 1934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08. 2월 전남 보성군(全南寶城郡) 동소산(桐巢山)을 거점으로 안규홍(安圭洪) 의병진(義兵陣)에 입진(入陣)하여 파청(巴靑), 진산(眞山), 원봉산(圓峯山) 각(各) 대첩(大捷) 등에 활약(活躍)을 하였을 뿐아니라 군수장(軍需將)이 되어 450여 의병(義兵)의 보급품지원에 크게 이바지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박창규
한자명
朴敞奎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0 ~ 1973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40년 4월 기독교교회 전도사로 신사참배거부 활동을 하다가 일황불경죄 및 일본국체변혁선동죄로 피체되어 1942. 9. 30 광주지방법원에서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1년 6월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백홍인
한자명
白弘寅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4 ~ 1952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05년부터 최익현(崔益鉉) 의병대장, 송연자(宋淵齊), 송심석(宋心石)과 같이 기병(起兵)하여 경고서문 팔도사민서(八道士民書) 포고문을 작성 배포하고 왜군(倭軍)과 순창(淳昌)지방에서 교전을 전개하는 등 의 활동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서재필
한자명
徐載弼
운동계열
계몽운동
생몰년도
1864 ~ 1951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대한민국장
포상년도
1977

공적개요

항일독립운동(抗日獨立運動)에 널리 알려진 영도급 인사(領導級人士)임.

인물정보

성명
소휘천
한자명
蘇輝千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94 ~ 1969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안규홍 부대(安圭洪部隊)의 유격전(遊擊戰) 선봉장(先鋒將)으로 파청진산(巴靑眞山) 등지에서 일군과 접전 대전과를 거양하였고 의전의 선봉으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손덕오
한자명
孫德五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7 ~ 1910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08.2월경(月頃) 안계홍 의병장(安桂洪義兵將)이 전남(全南) 보성(寶城)에서 거의(擧義)하자 입진(入陣) 도포장(都砲將) 좌우포장(左右砲將) 좌우익장(左右翼將)으로 전남(全南) 보성군(寶城郡)을 비롯하여 동복(同福) 순천(順川) 장흥군(長興郡)에서 일군(日軍)과 전투(戰鬪)하고 친일(親日) 일진회원(一進會員)을 색출(索出)하여 주살(誅殺)하고 의병(義兵)의 명목(名目)으로 양민(良民)으로부터 재물(財物)을 겁취(劫取)한 자(者)를 살해(殺害)하며 활동(活動)하다 체포되어 교(絞)를 선고(宣告)받았으며 의진(義陣)의 간부(幹部)로서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송경회
한자명
宋敬會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7 ~ 1916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08년 3월 안규홍 의진(安圭洪義陣)에 가담하여 좌우익부장(左右翼副長)으로서 진산(眞山) 및 득량(得粮), 문덕(文德), 화순(和順)의 운월치(雲月峙) 등지에서 적과 접전 대승을 하였고 특히 안규홍(安圭洪)의 신임을 받은 맹장으로서 각지 전투에 참가 전과를 거양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군명
한자명
安君明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3 ~ 1937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08. 2월 안규홍 의병진(安圭洪義兵陣)에 가담(加擔) 좌우집사(左右執事)가 되어 1908. 8.24 진산(眞山)에서 적 수비대(賊守備隊)와 기병대(騎兵隊) 5명(名)을 사살(射殺)하고 원봉(圓峰)의 적 기마대(賊騎馬隊) 주둔지(駐屯地)를 소각(燒却)하며 다량(多量)의 무기(武器)와 장비(裝備)를 노획(鹵獲)하고 1910. 3.29 순천 병치(順天竝峙)에서 왜적(倭賊)과 교전(交戰) 중(中) 부상(負傷)을 입어 피체(被逮)되어 징역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택환
한자명
安宅煥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6 ~ 1910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안규홍(安圭洪) 의병장(義兵將)의 유격장(遊擊將)으로서 전후 4회의 항일 투쟁중 전사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동훈
한자명
楊東勳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4 ~ 1968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호남(湖南) 후기 의병으로 보성(寶城), 파청(巴靑), 진산(眞山)에서 참모장이 되어 전투에 참가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염동규
한자명
廉東圭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3 ~ 1909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3

공적개요

1908. 2월 전남(全南) 보성(寶城)에서 안규홍(安圭洪) 의병장(義兵將)이 거의(擧義)하자 참진(參陣)하여 보성군(寶城郡) 조성(鳥城) 진산(眞山) 등지에서 일군(日軍)과의 대소 전투(大小戰鬪)에 종군(從軍)하였고 호곡 전투(毫谷戰鬪)에 참전(參戰)하였다가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염용수
한자명
廉龍洙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0 ~ 1909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

공적개요

1908. 2. 2 전남 보성군 동소산(桐巢山)에서 안규홍(安圭洪)이 기군하니 입진하여 활동하다가 1909. 7. 14 헌병출장소를 습격하다 적탄에 맞아 전사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염인서
한자명
廉仁瑞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3 ~ 1910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08.2월경(月頃) 안계홍 의병장(安桂洪義兵將)이 전남(全南) 보성군(寶城郡)에서 거의(擧義)하자 입진(入陣) 좌우포장(左右砲將) 좌우익장(左右翼將)으로 전남(全南) 보성군(寶城郡)을 비롯하여 동복군(同福郡) 장흥군(長興郡) 순천군(順川郡)에서 일군(日軍)과 전투(戰鬪)하고 친일 일진회원(親日一進會員)을 색출 주살(索出誅殺)하고 의병(義兵)의 명목(名目)으로 양민(良民)으로부터 재물(財物)을 겁취(劫取)한 자(者)등을 살해(殺害)하며 의병(義兵)의 기상(氣象)을 높이다가 체포되어 교(絞)를 선고(宣告)받았으며 의진(義陣)의 간부(幹部)로서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도삼
한자명
柳道三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6 ~ 1936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07~1909. 7 사이 전남(全南) 일대(一帶)에서 크게 활약(活躍)하여 많은 전과(戰果)를 올렸으며 진산대첩(眞山大捷) 원봉주둔(駐屯) 기병대(騎兵隊) 습격(襲擊) 순천(順天) 병치 전투(竝峙戰鬪) 등에서 혁혁(赫赫)한 전공(戰功)을 세운 안계홍(安桂洪) 의병진(義兵陳)의 한 대장(隊長)으로서 활동(活動)했고 또 상인(商人)으로 가장(假裝) 보성시장(寶城市場)에 들어가 간첩상습자(間諜常習者)를 가려내 총살(銃殺)하는 등 공적(功績)이 있음.

인물정보

성명
이병호
한자명
李秉昊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6 ~ 1955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5.7월 경북(慶北) 달성공원(達城公園)에 210여명(餘名)이 모여서 일제 고관(日帝高官) 및 친일배(親日輩) 등을 주살(誅殺)한 후(後) 일제 기관(日帝機關) 등을 파괴(破壞)하며 국권 회복(國權恢復)을 목적(目的)하는 비밀결사(秘密結社) ‘광복단’(光復團)을 조직(組織)하고 박상진(朴尙鎭)이 총사령장(總司令長)에 추대(推戴)될때 전라도(全羅道) 지부장(支部長)으로 선임(選任)되어 군자금 모집(軍資金募集) 활동(活動)을 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병화
한자명
李秉華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5 ~ 1944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0

공적개요

1907. 3월 전남(全南) 능주군(綾州郡) 쌍봉촌(雙峯村)에서 거의(擧義)한 양회일 의진(梁會一義陣)의 서기(書記)로 능주(綾州)와 화순(和順)의 관아(官衙)를 공격하여 무장을 강화한 후 동년 4월 복천(福川)의 도마치(刀摩峙)에서 일본군과 교전(交戰)하는등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윤선
한자명
李允先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2 ~ 1909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3

공적개요

1907. 3. 9(음(陰)) 전남(全南) 능주(綾州)에서 양회일(梁會一) 안찬재(安贊在) 임낙균(林洛均) 등과 함께 거의(擧義), 호남창의소(湖南倡義所)를 결성하고 동복(同福)으로 진출하여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유형(流刑)10년을 받고 전남(全南) 지도(智島)로 유배되었다가 동년 12월 은사 방면(恩赦放免)되었으며 다시 재기를 도모하여 1908. 1월 전남(全南) 능주(綾州)에서 거의(擧義), 복내헌병분파소(福內憲兵分派所)를 습격하여 일군(日軍)을 사살하는 등 보성(寶城) 장흥(長興) 등지에서 일군(日軍)과 격전을 벌이며 활동하다 체포되어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정표
한자명
李貞杓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8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08년 안규홍 의진(安圭洪義陣)의 진산(眞山) 전투시 의진(義陣)을 돕다가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임병국
한자명
任秉國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2 ~ 1957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안계홍(安桂洪) 의병부대(義兵部隊) 좌우익부장(左右翼副將)으로서 파청(巴靑) 진산(眞産) 원봉산(圓峰山)대첩에 참전 활약한 공적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임병주
한자명
林秉周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9 ~ 1997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33. 9 하순(下旬) 전남(全南) 보성(宝城)에서 안병석 등(安秉石等) 동지 수명(同志數名)이 모여 한민족(韓民族)의 해방(解放)과 독립(獨立)을 위해서는 동포간(同胞間)의 단결(団結)된 힘이 있어야 한다고 협의(協議)하고 비밀결사 농민조합(秘密結社農民組合)을 결성(結成)하여 항일독립운동(抗日獨立運動)을 하다 체포(逮捕)되어 징역 2년형(年刑)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임정현
한자명
任淨鉉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4 ~ 1909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안계홍 의병부대(安桂洪義兵部隊) 서기(書記)로서 구국 일념(救國一念)으로 일군(日軍)을 공격(攻擊)하여 많은 전과(戰果)를 올리고 전사(戰死)한 공적(功績)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임창모
한자명
林昌模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9
본적
전라남도 광주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3

공적개요

1. 1906년 능주(陵州) 양회일(梁會一)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광주읍(光州邑)으로 행진 중 피체되어 지도(智島)로 유배 1908년에 해배(解配)되어 귀가함 2. 1908년 보성(寶城) 안진사(安進士)와 함께 의병을 모아 그의 선봉장이 되어 활동함 3. 1908년 6월 독립부대 편성 대장이 되어 활동 4. 1908년 7월 부하 70명 (한때 200여 명에 이름)과 함께 청포(淸浦) 원산(元山)에서 일병(日兵)과 교전함 (폭도편책(暴徒編冊) 45호(號), 폭도통계자료(暴徒統計資料) 160, 폭도토벌통계철(暴徒討伐統計綴)) 5. 1909년 10월 12일 아들과 함께 전사 (폭도토벌군통계철(暴徒討伐軍統計綴))

인물정보

성명
임하중
한자명
林夏仲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1 ~ 1910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08.2월경(月頃) 안규홍(安圭洪) 의병장(義兵將)이 전남(全南) 보성군(寶城郡)에서 거의(擧義)하자 입진(入陣)하여 도십장(都什長) 운량관(運糧官)으로 전남(全南) 보성군(寶城郡)을 비롯하여 동복군(同福郡) 장흥군(長興郡) 순천군(順川郡)에서 일군(日軍)과 전투(戰鬪)하고 친일 일진회원(親日一進會員)을 주살(誅殺)하면서 한편으로는 군자금(軍資金)을 모집(募集)하다가 피체(被逮)되어 교수형(絞首刑)을 선고(宣告)받았으며 의진(義陣)의 간부(幹部)로서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임학규
한자명
林學圭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9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

공적개요

1906년 11월 부친 임창모(林昌模)와 함께 고광순(高光洵) 의병진에서 활동하다 피체되어 유형(流刑)을 받았으며 해금되자 1908년 4월 독립의병부대(獨立義兵部隊)를 편성하여 안규홍(安圭洪) 의병장과 제휴하며 활동하다 적군과 교전 중 전사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장경선
한자명
張京善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4 ~ 1910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안계홍(安桂洪) 의병부대(義兵部隊) 참모(參謀)로서 구국일념으로 일군을 공습하여 파청(巴靑), 진산(眞山), 원봉(圓峰) 등지에서 활약하여 대첩으로 이끈 공적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장계진
한자명
張桂鎭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3 ~ 1909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

공적개요

1908년 3월 전남 보성에서 안규홍이 거의하니 천보대포대장(千步大砲隊長)이 되어 입진하여 화순(和順) 운상(雲峠) 보성(寶城) 문덕사(文德寺) 등지에서 활동하다가 패전하자 어등산(魚登山)으로 후진 중 적군에게 포위되어 격전을 벌이다가 전사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정건수
한자명
丁建壽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24 ~ 미상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44년 중국(中國) 산서성(山西省) 안읍지구(安邑地區) 일군(日軍)3541부대(部隊)에 주둔(駐屯)하고 있으면서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와 광복군(光復軍)이 중경(重慶)에 있다는 정보(情報)를 듣고 광복군(光復軍)으로 입대(入隊)하기 위하여 탈출(脫出)을 기도(企圖)하다 탈출(脫出)에 성공(成功)하고 1945. 4월 토교대(土橋隊)에 입대(入隊)한 후(後) 광복군 총사령부(光復軍總司令部) 경위대(警衛隊)에 배속(配屬)되어 4월간(月間) 복무(服務)하였으나 탈출 시기(脫出時期)와 특수임무(特殊任務)를 수행(修行)한 공적(功績)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정기찬
한자명
鄭奇贊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0 ~ 1910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08.2월경(月頃) 안계홍 의병장(安桂洪義兵將)이 전남(全南) 보성(寶城)에서 거의(擧義)하자 입진(入陣)하여 포군십장(砲軍什長) 기군장(起軍將)이 되어 전남(全南) 보성군(寶城郡)을 비롯하여 동복(同福) 순천(順川) 장흥군(長興郡)에서 일군(日軍)과 전투(戰鬪)하고 의병(義兵)의 활동(活動)을 일관헌(日官憲)에게 밀고(密告)하는 친일(親日) 일진회원(一進會員)을 색출(索出)하여 주살(誅殺)하며 활동(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교(絞)를 선고(宣告)받았으며 의진(義陣)의 간부(幹部)로서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정현철
한자명
鄭炫輟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0 ~ 1977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05~1909 심남일(沈南一), 김태원(金泰元) 의병진(義兵陣) 등에서 의병(義兵)으로 활동(活動)한 공적(功績)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최봉진
한자명
崔鳳鎭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17 ~ 2003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 1939.10 전시공작대(戰時工作隊) 조직 1940.9 제5지대에 입대하여 중앙전시간부훈련(中央戰時幹部訓練) 제4단 특과(團特科) 총대학대원(總大學隊員) 한청반(韓靑班) 필업(畢業) 임시정부(臨時政府) 및 광복군(光復軍) 연합군(聯合軍)간 통신 연락(通信連絡) 활동 2. 1943.6 한영군사협정(韓英軍事協定) 주인 영국(駐印英國) 군사(軍事) 동남아전구(東南亞戰區) 총사령부(總司令部)에 파견 활동함.

인물정보

성명
최장춘
한자명
崔長春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09 ~ 1969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32년 조선독립을 쟁취하기 위하여 보성(寶城) 청년을 중심으로 독서회(讀書會)를 조직하여 일제타도만세 농민노동자는 각성하라는 인쇄물을 시내요소에 첩부 살포하다가 일경에게 피포 되어 1932.9.30 대구복심법원(大邱覆審法院)에서 징역 1년 6월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황채현
한자명
黃彩玹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8 ~ 1985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24. 4월 상해임시정부 재무총장(上海臨時政府財務總長) 이시영(李始塋) 발행 독립공채를 가지고 군자금모집에 활동하다 일경에게 피체되어 1925. 11. 7 대구복심법원(大邱覆審法院)에서 징역 1년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3.1운동

사건설명

3.1운동은 우리 민족이 일제의 식민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기미년) 3월 1일 전후로 일으킨 거족적인 독립 만세운동이다.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일본 도쿄의 2.8 독립선언, 고종의 인산일 등을 계기로 계획되어, 마침내 3월 1일 서울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33인에 의한 독립선언서 낭독과 더불어 탑골공원에서 학생들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만세 시위행진을 벌이며 거행되었다. 이날의 거사는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만주, 북미 등 해외 등지에서도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이를 계기로 세계에 우리 민족의 실상을 알림과 동시에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자주 독립사상 고취 등의 의의를 거두었으나, 동시에 일제가 민족 분열을 위해 무단통치 방법을 문화통치로 바꾸는 원인이 되었다.

애국계몽운동

사건설명

애국계몽운동은 교육과 산업, 언론 진흥을 통해 민족의 실력을 키워 국권을 수호하려는 운동으로, 지식인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였다. 대표적인 단체로는 대한자강회, 대한협회, 신민회가 있다.
이와 같은 애국계몽단체의 활동으로는 <제국신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등 신문과 <대한자강회월보>, <대한협회회보> 등 기관지 또는 학회지 발간을 통한 민중계몽운동이 있다. 또한 보광학교, 한남학교 등 학교 설립과 <보통교과동국역사>, <동국사략>, <대동역사략> 등 교과서 편찬을 통한 교육계몽운동, 그리고 국채보상운동 등의 경제구국운동 등을 펼치며 국력을 키우고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한국 광복군

사건설명

한국광복군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규 군대로, 1919년부터 군사조직법 제정을 통해 임시정부의 군대를 창설하려는 노력이 존재했으나 마침내 임시정부가 중국 충칭에 정착하면서 김구 등의 주도하에 1940년 창설되었다. 총사령에 지대형, 참모장에 이범석, 총무처장에 최용덕 등이 임명되었다. 창설 당시 병력은 30여 명에 불과했으나 병력 모집에 몰두하고 1942년 조선의용대의 편입을 거쳐 1945년 4월경에는 564명으로 확대되었다. 1945년, 임시정부의 주석이던 김구는 미국전략사무국 책임자와 공동작전을 협의하여 한국광복군을 국내에 침투시키는 국내진공작전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실행에 옮기기 전, 일본이 항복을 선언하며 한국광복군의 진공작전은 무산되었고, 1946년 해체되었다.

한말 의병운동

사건설명

항일의병운동에는 을미의병, 을사의병, 정미의병이 있다.
1895~1896년의 을미의병은 조선 말기 최초의 대규모 항일의병으로, 을미사변 후 왕후폐위조칙 발표, 단발령 시행을 계기로 일어났다.
전국 각지에서 봉기하여 대개 그 지방의 유명한 유생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대표적으로 유인석, 이필희, 서상렬을 비롯하여 춘천의 이소응, 이천과 여수의 박준영과 김하락, 강릉 여주의 민용호 등이 활약하였다.
1905~1906년의 을사의병은 러일전쟁 발발, 한일의정서 체결 등으로 고조된 항일의식이 1905년 을사늑약 강제 체결을 계기로 폭발한 구국항일의병이다.
대표적으로 최익현 의병진, 신돌석 의병진과 더불어 민종식과 안병찬 등이 주축이 된 홍주의병, 그리고 정환직, 정용기 부자의 산남의진 등이 있다.
1907~1910년의 정미의병은 고종의 강제 퇴위, 정미7조약 체결, 대한제국군대 강제해산 등을 계기로 발생하였다. 특히 1907년 8월 강제로 해산된 군인들의 대일항전에서 비롯되었고, 1906년 후반으로 접어들며 기세가 누그러졌던 을사의병이 이를 계기로 하여 거국적으로 확대 및 발전하였다. 원주진위대 해산군인 민긍호와 박준성, 경상북도의 이강년과 신돌석, 경기도의 허위와 연기우, 장성의 기삼연, 함평의 김태원과 심남일, 무주의 문태수, 임실의 이석용 등이 활약하였다.

의열단/의열투쟁

사건설명

의열투쟁이란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일제를 상대로 벌인 무력 투쟁을 일컫는다. 192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이어졌고, 한국 독립운동사의 매우 중요한 항일 투쟁 방식 중 하나이다.
의열단은 의열투쟁을 전개한 대표적인 단체이다. 1919년 만주에서 조직된 항일 무력독립운동 단체로, 김원봉, 윤세주, 황상규 등이 활동하였다. 1919년의 거족적인 3.1운동을 겪은 뒤, 해외로 독립운동기지를 옮긴 애국지사들은 강력한 일제의 무력에 대항해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서는 보다 조직적이고 강력한 독립운동단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계기로 1919년 11월 의열단이 조직되어 1920년대에 활발히 활동하였으며, 조국 독립을 위해 과격한 적극 투쟁과 희생정신을 강조하였다.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조선총독부 투탄의거, 종로경찰서 폭탄누척의거 등이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사건설명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19년부터 1945년까지 민주공화제의 독립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주권 자치를 실현하였던 임시정부이다.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되기 전부터 임시정부 수립에 대한 요구가 존재했으나, 3.1운동과 동시에 임시정부 수립 운동이 일어나면서 마침내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 수립되었다. 각료에는 임시의정원 의장 이동녕, 국무총리 이승만, 내무총장 안창호, 외무총장 김규식, 법무총장 이시영, 재무총장 최재형, 군무총장 이동휘, 교통총장 문창범 등이 임명되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파견하는 등 외교활동과 더불어 이봉창과 윤봉길의 의거와 같은 의열투쟁, 육군무관학교 및 비행사양성소 설립, 한국광복군 창설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학생독립운동

사건설명

우리 민족이 1945년 독립을 이루기까지 학생들은 조국 독립을 위해 여러 투쟁을 계속하였다.
구한말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여 학생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국권 수호를 위한 투쟁의 선봉에 섰으며, 농촌계몽 및 야학 등의 활동으로 국민의 자주 의식을 고취했다. 1919년 2월 8일에는 일본 도쿄에서 유학생들이 모여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고, 그 영향을 받은 3.1운동 또한 유관순, 어윤희 등 학생들을 주체 세력으로 전개되었다. 1926년에는 학생 중심의 6.10만세운동이 전개되었는데, 전문학교 학생 이병립, 이병호, 이천진, 박두종 등과 중앙고보와 중동학교 학생 박용규, 곽대형, 김재문 등의 학생들이 주도하여 전개되었다. 1929년 10월에는 나주역에서 일본인 학생들이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학생 박기옥, 이금자, 이광춘 등을 희롱하는 사건을 계기로 광주학생항일운동이 일어났고, 이것이 확산되어 대구, 부산 등 주변 지역에서도 학생항일운동이 전개되었다. 그 밖에도 부산의 노다이사건, 대구사범학교 왜관사건 등 학생들이 주도하여 일어난 여러 항일운동으로 하여금 학생들의 조선독립정신은 지속되어 왔다.

동학농민혁명

사건설명

동학농민혁명은 최제우가 창시한 동학에 기초를 둔 반봉건, 반외세적 성격의 농민민중항쟁이다. 1894년에 전라도 고부의 동학 접주 전봉준을 지도자로 동학교도와 농민들이 합세하여 일으켰다. 총 2차에 걸쳐 전개되었는데, 1차 봉기는 전라도 고부 지방의 관리 조병갑의 횡포와 동학교도 탄압에 대항하여 발생하였고, 이후 동학군의 해산에도 불구하고 일제가 내정간섭, 청일전쟁, 갑오개혁 등을 강행하자 반외세를 외치며 2차로 봉기하였다. 그러나 결국 우금치전투에서 관군과 일본군에 패하고 1895년 1월 전봉준에 이어 손화중 등 동학농민 지도부 대부분이 체포되고 교수형에 처해지면서 동학농민혁명은 실패로 막을 내리게 되었다. 그러나 동학농민군은 후에 일어난 항일의병항쟁의 중심 세력이 되었다.

국내 항일 운동

사건설명

조선 땅에 잔혹한 일제의 지배가 드리워진 암울한 시기에도 우리 민족은 독립을 목적으로 주력하기를 그치지 않았다. 독립지사들은 국내 독립운동을 위한 여러 단체를 조직하였는데, 기독교 등 종교와 결합하거나 농민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는 등 성격이 다양했다. 그들은 친일부호를 처단하고 독립군을 양성함과 동시에 3.1운동의 계획을 세우거나 군자금을 모집하여 국내 독립운동단체의 존속을 지원하였다. 더불어 선전물을 배포하고 야학을 설치하여 식민지 수탈의 실상과 독립 달성을 역설하며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해외 항일 운동

사건설명

독립운동을 위한 열망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들끓었다. 우리 민족은 구주(유럽), 노령(러시아의 시베리아 일대), 만주, 미주,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등에서 활동하며, 위치한 곳과 상관없이 오직 조국 독립의 목적을 위해 몸과 마음을 바쳐 독립운동에 매진하였다.
독립지사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항일의식교육을 펼치고 독립군 양성을 도모하였다. 또한 프랑스의 파리강화회의에 독립청원서를 보내고 유럽 등지에 우리 민족의 참혹한 실상을 알리는 등, 여러 방면에서 조국의 독립을 호소하였다.

기타

사건설명

1894년 동학농민운동을 시작으로 1945년 광복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은 오직 정의롭고 자주적인 국가를 위해 힘써왔다. 우리는 그 과정에서 목숨을 바쳐 투쟁하고 희생된 애국지사들의 넋을 기리고 그 흔적을 기억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