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독립운동 무안의적비
사적지 개요
본 비는 무안 만세운동을 기념하며 1975년 8월에 건립되었고, 무안군에서는 그 날의 의의를 되새기고자 매년 3.1절 기념행사를 이곳에서 개최하고 있다.
탐방로그
인물정보
- 성명
- 강지석
- 한자명
- 姜智錫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4 ~ 1953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1999
공적개요
강지석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김남철
- 한자명
- 金南哲
- 운동계열
- 학생운동
- 생몰년도
- 1909 ~ 1980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1990
공적개요
김남철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김득근
- 한자명
- 金得根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3 ~ 1933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1995
공적개요
김득근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김순기
- 한자명
- 金順淇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3 ~ 1955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1990
공적개요
김순기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김영우
- 한자명
- 金永佑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902 ~ 1983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1990
공적개요
김영우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김종성
- 한자명
- 金鍾聲
- 운동계열
- 일본방면
- 생몰년도
- 1906 ~ 1977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애국장
- 포상년도
- 1990
공적개요
김종성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박상규
- 한자명
- 朴相奎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82 ~ 1935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2007
공적개요
박상규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박선규
- 한자명
- 朴宣奎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9 ~ 1957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1990
공적개요
박선규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박용규
- 한자명
- 朴溶奎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902 ~ 1996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1992
공적개요
박용규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안동선
- 한자명
- 安東宣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5 ~ 1928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1990
공적개요
안동선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안판신
- 한자명
- 安判信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4 ~ 1932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1990
공적개요
안판신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양화순
- 한자명
- 梁化淳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6 ~ 1933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2006
공적개요
양화순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윤호영
- 한자명
- 尹滈英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7 ~ 1960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1990
공적개요
윤호영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이동천
- 한자명
- 李東天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89 ~ 1924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2005
공적개요
이동천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정규수
- 한자명
- 丁奎壽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901 ~ 미상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2010
공적개요
정규수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정규식
- 한자명
- 丁奎植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7 ~ 1970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2007
공적개요
정규식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정규태
- 한자명
- 丁奎台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0 ~ 1921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건국포장
- 포상년도
- 1992
공적개요
정규태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정순선
- 한자명
- 丁淳宣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7 ~ 1974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1992
공적개요
정순선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정순정
- 한자명
- 丁淳政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0 ~ 1961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1990
공적개요
정순정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정순홍
- 한자명
- 丁淳紅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8 ~ 1961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1990
공적개요
정순홍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정신섭
- 한자명
- 丁信燮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1 ~ 미상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1990
공적개요
정신섭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정윤조
- 한자명
- 丁允祚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5 ~ 1969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2023
공적개요
정윤조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정인철
- 한자명
- 丁仁鐵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901 ~ 1975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1992
공적개요
정인철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정치언
- 한자명
- 丁致彦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901 ~ 1930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1992
공적개요
정치언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정태연
- 한자명
- 鄭泰衍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4 ~ 1956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1990
공적개요
정태연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최태주
- 한자명
- 崔泰周
- 운동계열
- 학생운동
- 생몰년도
- 1907 ~ 1964
- 본적
- 전라남도 무안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1990
공적개요
최태주의 발자취
3.1운동
사건설명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일본 도쿄의 2.8 독립선언, 고종의 인산일 등을 계기로 계획되어, 마침내 3월 1일 서울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33인에 의한 독립선언서 낭독과 더불어 탑골공원에서 학생들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만세 시위행진을 벌이며 거행되었다. 이날의 거사는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만주, 북미 등 해외 등지에서도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이를 계기로 세계에 우리 민족의 실상을 알림과 동시에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자주 독립사상 고취 등의 의의를 거두었으나, 동시에 일제가 민족 분열을 위해 무단통치 방법을 문화통치로 바꾸는 원인이 되었다.
애국계몽운동
사건설명
이와 같은 애국계몽단체의 활동으로는 <제국신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등 신문과 <대한자강회월보>, <대한협회회보> 등 기관지 또는 학회지 발간을 통한 민중계몽운동이 있다. 또한 보광학교, 한남학교 등 학교 설립과 <보통교과동국역사>, <동국사략>, <대동역사략> 등 교과서 편찬을 통한 교육계몽운동, 그리고 국채보상운동 등의 경제구국운동 등을 펼치며 국력을 키우고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한국 광복군
사건설명
한말 의병운동
사건설명
1895~1896년의 을미의병은 조선 말기 최초의 대규모 항일의병으로, 을미사변 후 왕후폐위조칙 발표, 단발령 시행을 계기로 일어났다.
전국 각지에서 봉기하여 대개 그 지방의 유명한 유생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대표적으로 유인석, 이필희, 서상렬을 비롯하여 춘천의 이소응, 이천과 여수의 박준영과 김하락, 강릉 여주의 민용호 등이 활약하였다.
1905~1906년의 을사의병은 러일전쟁 발발, 한일의정서 체결 등으로 고조된 항일의식이 1905년 을사늑약 강제 체결을 계기로 폭발한 구국항일의병이다.
대표적으로 최익현 의병진, 신돌석 의병진과 더불어 민종식과 안병찬 등이 주축이 된 홍주의병, 그리고 정환직, 정용기 부자의 산남의진 등이 있다.
1907~1910년의 정미의병은 고종의 강제 퇴위, 정미7조약 체결, 대한제국군대 강제해산 등을 계기로 발생하였다. 특히 1907년 8월 강제로 해산된 군인들의 대일항전에서 비롯되었고, 1906년 후반으로 접어들며 기세가 누그러졌던 을사의병이 이를 계기로 하여 거국적으로 확대 및 발전하였다. 원주진위대 해산군인 민긍호와 박준성, 경상북도의 이강년과 신돌석, 경기도의 허위와 연기우, 장성의 기삼연, 함평의 김태원과 심남일, 무주의 문태수, 임실의 이석용 등이 활약하였다.
의열단/의열투쟁
사건설명
의열단은 의열투쟁을 전개한 대표적인 단체이다. 1919년 만주에서 조직된 항일 무력독립운동 단체로, 김원봉, 윤세주, 황상규 등이 활동하였다. 1919년의 거족적인 3.1운동을 겪은 뒤, 해외로 독립운동기지를 옮긴 애국지사들은 강력한 일제의 무력에 대항해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서는 보다 조직적이고 강력한 독립운동단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계기로 1919년 11월 의열단이 조직되어 1920년대에 활발히 활동하였으며, 조국 독립을 위해 과격한 적극 투쟁과 희생정신을 강조하였다.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조선총독부 투탄의거, 종로경찰서 폭탄누척의거 등이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사건설명
학생독립운동
사건설명
구한말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여 학생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국권 수호를 위한 투쟁의 선봉에 섰으며, 농촌계몽 및 야학 등의 활동으로 국민의 자주 의식을 고취했다. 1919년 2월 8일에는 일본 도쿄에서 유학생들이 모여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고, 그 영향을 받은 3.1운동 또한 유관순, 어윤희 등 학생들을 주체 세력으로 전개되었다. 1926년에는 학생 중심의 6.10만세운동이 전개되었는데, 전문학교 학생 이병립, 이병호, 이천진, 박두종 등과 중앙고보와 중동학교 학생 박용규, 곽대형, 김재문 등의 학생들이 주도하여 전개되었다. 1929년 10월에는 나주역에서 일본인 학생들이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학생 박기옥, 이금자, 이광춘 등을 희롱하는 사건을 계기로 광주학생항일운동이 일어났고, 이것이 확산되어 대구, 부산 등 주변 지역에서도 학생항일운동이 전개되었다. 그 밖에도 부산의 노다이사건, 대구사범학교 왜관사건 등 학생들이 주도하여 일어난 여러 항일운동으로 하여금 학생들의 조선독립정신은 지속되어 왔다.
동학농민혁명
사건설명
국내 항일 운동
사건설명
해외 항일 운동
사건설명
독립지사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항일의식교육을 펼치고 독립군 양성을 도모하였다. 또한 프랑스의 파리강화회의에 독립청원서를 보내고 유럽 등지에 우리 민족의 참혹한 실상을 알리는 등, 여러 방면에서 조국의 독립을 호소하였다.
기타
사건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