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열호
한자명
金閱浩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7 ~ 192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0.11.2 만주(滿洲) 연길현(延吉縣)에서 국민회(國民會) 경호원(警護員)이 되어 활동(活動)하다 두도구(頭道溝)에서 일군(日軍)에게 총살(銃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곤
한자명
金永坤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9 ~ 1943
본적
경상북도 청도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5.7 경북(慶北) 청도군(淸道郡) 대성면(大城面) 유호동(楡湖洞)에서 이종현(李鍾鉉)이 일본인에게 부상당하는 일이 발생하자 300여명의 군중과 함께 일본인 3명을 구타하는 등 활동(活動)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4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곤
한자명
金永坤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0 ~ 1945
본적
황해도 은율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 3. 26 황해도(黃海道) 은율군(殷栗郡) 은율읍(殷栗邑) 장터에서 장날을 기(期)하여 거사(擧事)하기로 이성춘(李成春)등과 결정(決定)하고 이날 모인 다수 군중(多數群衆)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시위를 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김영곤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영곤
한자명
金榮坤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5 ~ 1992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0년 4월 경성(京城) 성동상과학교(城東商科學校) 재학시(在學時)에 순애보(殉愛譜)와 흙 등 소설을 읽고 민족의식을 각성 일군병력수송열차(日軍兵力輸送列車) 전복 공작(顚覆工作)과 일군(日軍)에 입대하여 일군(日軍) 내(內) 반란(反亂) 등을 모의하다가 피포(被捕)되여 치안유지법(治安維持法) 위반(違反)으로 징역 단기1년, 장기3년형을 받고 복역 중 8.15광복(光復)으로 출옥한 사실이 확인됨.

김영곤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영관
한자명
金英官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4 ~ 1927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9년

공적개요

참의부(參議府) 제1중대원으로 활동하던 중 1927년 12월 중국(中國) 봉천성(奉天省) 집안현(輯安縣)에서 중국관헌과의 총격전에서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관
한자명
金榮觀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비공개 ~ 생존
본적
비공개 비공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4.11.3 일본군을 탈출(脫出) 광복군(光復軍)에 입대(入隊)하여 1945.2~1945.8.14 까지 7개월간(個月間) 중국군 합동(中國軍合同)으로 제1지대(第1支隊) 제2구대(第2區隊)와 징모(徵募) 제3분처(第3分處)에서 유격전(遊擊戰)을 전개(展開)하였음.

인물정보

성명
김영관
한자명
金永瓘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4 ~ 2000
본적
전라남도 보성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29. 6월 전남(全南) 광주공립농업학교(光州公立農業學校)에 재학중 비밀 결사(秘密結社) 독서회(讀書會)에 가입, 항일독립의식을 함양하고 1929. 11. 12 광주학생(光州學生) 시위(示威)에 참여하여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면소 처분(免訴處分)을 받았으나 8월간(月間)의 옥고(獄苦)를 포함하여 1년 1월의 활동 공적(活動功績)이 사실로 확인됨.

김영관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영국
한자명
金永國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미상 ~ 1919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0년

공적개요

1919. 3. 19. 황해도(黃海道) 신천군(信川郡) 용진면(用珍面)에서 독립만세 시위 운동(獨立萬歲示威運動)에 참여하여 활동하다가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권
한자명
金永權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8 ~ 1909
본적
함경남도 갑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08년 1월 홍범도 의진(洪範圖義陣)에 참여하여 함남(咸南) 갑산군(甲山郡) 상남사(上南社) 황토곡(黃土谷) 창동(倉洞)에서 일진회원(一進會員) 박모(朴某)를 처단하였으며 일진회원(一進會員) 김수동(金水洞)과 그의 아들을 붙잡아 동도 동군(同道同郡) 동사(同社) 작령(鵲嶺)에서 처단하는 등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교형 순국(絞刑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규
한자명
金英圭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8 ~ 1919
본적
경기도 양평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4.11 경기도(京畿道) 양평군(楊平郡) 지제면(砥堤面) 곡수(曲水)장날에 운집한 군중들의 선두에서 만세시위를 주도하던 중 일경(日警)에게 피체되어 시위군중 앞에서 총살(銃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규
한자명
金永奎
운동계열
일본방면
생몰년도
1924 ~ 1994
본적
경상남도 산청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1.5월 일본(日本) 경도중학교(京都中學校) 재학시(在學時) 일본(日本)의 한국인 학대(韓國人虐待) 및 식민지 정책(植民地政策)에 반대(反對)하며 일본(日本)의 간계(奸計)를 간파(看破) 비방(誹謗)하며 재일교포(在日僑胞)들에게 민족의식(民族意識)을 고취(鼓吹)하며 인도(印度)의 불복종운동(不服從運動)을 일으키려고 활동(活動)하다 징역 1년 2월형(月刑)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규
한자명
金永奎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8 ~ 1952
본적
경상남도 부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3.1운동에 참여하여 학교생도를 독립운동토록 선동하고 북면시장(北面市場)에서 만세시위를 전개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열호

한자명

金閱浩

생몰년도

1897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곤

한자명

金永坤

생몰년도

1889 ~ 194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청도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곤

한자명

金永坤

생몰년도

1900 ~ 194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은율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곤

한자명

金榮坤

생몰년도

1925 ~ 1992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금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관

한자명

金英官

생몰년도

1904 ~ 1927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09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관

한자명

金榮觀

생몰년도

비공개 ~ 생존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비공개 비공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관

한자명

金永瓘

생몰년도

1914 ~ 2000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1993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보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국

한자명

金永國

생몰년도

미상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권

한자명

金永權

생몰년도

1868 ~ 1909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남도 갑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규

한자명

金英圭

생몰년도

1888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양평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규

한자명

金永奎

생몰년도

1924 ~ 1994

운동계열

일본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산청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규

한자명

金永奎

생몰년도

1898 ~ 195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부산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