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애국지사 추모비(남산)

유형
비석
주소
충청남도 금산군 금산읍 하옥리 291-3

사적지 지도 안내

길찾기   |   로드뷰

사적지 개요

애국지사 추모비는 충청남도 금산군 남산 주차장에 위치해있다. 금산군 출신으로 의병활동, 3.1독립만세운동 등 독립운동으로 서훈 및 표창을 받은 독립유공자 26분을 추모하고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7년 9월 건립하였다.
애국치사 추모비 옆에는 3.1독립의거기념비, 송철 추모비 등 많은 비석이 함께 세워져있다.

인물정보

성명
강이봉
한자명
康伊奉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0 ~ 미상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08년경 부터 문태서[태수] 의진(文泰西[泰洙]義陣)에 참진(參陣)하여 삼남(三南) 지방에서 유종안(柳鐘安) 외 15명과 함께 의병활동을 하였고, 동년(同年) 12월(음)부터 1909년 9월(음)까지 경남(慶南) 안의(安義)와 전북(全北) 무주(茂朱), 충북(忠北) 영동(永同) 등지에서 의병 군수금품을 모금하는 한편 1909.9.2(음) 문태서(文泰西) 등 11명의 동지와 함께 경부철도(京釜鐵道) 이원역(伊院驛)에 방화(放火)하여 역사(驛舍)를 전소(全燒)시키고 일본인(日本人)에게서 군자금을 탈취하는 등 활동을 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1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강이봉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구호열
한자명
具鎬烈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9 ~ 1940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9. 3. 23 전북(全北)(현(現) 충남(忠南)) 금산군(錦山郡) 금산읍(錦山邑) 장날을 이용하여 김용술(金用述), 임승환(任勝煥) 등이 중심이 되어 계획한 독립만세 시위운동에서 김용술(金用述)이 작성한 `금산경고'라는 격문을 배부받아 금산 시장에 나가 그곳에 모인 다수의 군중에게 나누어 주고 독립만세를 고창하면서 시위행진을 전개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구호열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백원
한자명
金百元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0 ~ 미상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08. 10월 의병장(義兵將) 문태서(文太西)(태수(泰洙))의 의병진(義兵陣)에 가담하여 동년(同年) 12월 경남(慶南) 안의군(安義郡)에서 군자금을 모금하는 등 1909. 9. 10(음(陰))까지 전북(全北) 무주(茂朱) 장수(長水) 금산(錦山), 경남(慶南) 안의(安義), 충북(忠北) 영동(永同),옥천(沃川) 등지에서 활동(活動)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7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김백원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부개
한자명
金富介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1 ~ 미상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09. 3. 25 문태서 의진(文太西[泰瑞]義陣)에 가담하여 총기로 무장한 50여 명의 군사들과 함께 충북(忠北) 영동군(永同郡) 양남면(陽南面), 전북(全北) 금산군(錦山郡) 부북면(富北面), 동군(同郡) 부동면(富東面) 등지에서 군자금(軍資金)을 모집(募集)하며 활동(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10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김부개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성학
한자명
金聖學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0 ~ 1945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1

공적개요

1942. 8월 충남(忠南) 논산군(論山郡) 연산면(連山面)에서 국수동맹(國粹同盟)에 참여(參與)하고 친지(親知)들을 역방(歷訪)하며 민족의식(民族意識)을 고취(鼓吹)하는 한편 동지(同志) 규합(糾合)과 독립운동 자금(獨立運動資金)을 제공(提供)하다가 1944.12월 피체(被逮)되어 가혹(苛酷)한 고문(拷問)을 받아 1945.3.15(음(陰)) 옥중 사망(獄中死亡)함.

김성학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영곤
한자명
金榮坤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5 ~ 1992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40년 4월 경성(京城) 성동상과학교(城東商科學校) 재학시(在學時)에 순애보(殉愛譜)와 흙 등 소설을 읽고 민족의식을 각성 일군병력수송열차(日軍兵力輸送列車) 전복 공작(顚覆工作)과 일군(日軍)에 입대하여 일군(日軍) 내(內) 반란(反亂) 등을 모의하다가 피포(被捕)되여 치안유지법(治安維持法) 위반(違反)으로 징역 단기1년, 장기3년형을 받고 복역 중 8.15광복(光復)으로 출옥한 사실이 확인됨.

김영곤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일남
한자명
金一南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8 ~ 1950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9. 3. 23 충남(忠南) 금산군(錦山郡) 금산읍(錦山邑)에서 군중을 주도하여 태극기를 흔들고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며 시위(示威)를 전개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김일남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종구
한자명
金鍾九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4 ~ 1963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 1919년 3월 31일 금산(錦山)만세운동의 주모자 (소보구철(騷報句綴) 1919년)

김종구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주한
한자명
金周漢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2 ~ 1959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 4. 3 전북(全北) 진안군(鎭安郡) 주천면(朱川面) 주양리(朱陽里) 소재(所在) 화동학교(華東學校) 학생의 만세시위에 참여하고, 재차 독립만세할 것을 주동하여 주민과 같이 만세시위를 고창(高唱)하다 일경(日警)에게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김주한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태선
한자명
金泰善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4 ~ 2003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39년 8월경 식량 공출(食糧供出)과 강제노동 정책(强制勞動政策)에 통분하여 민족의식을 각성하고 일군(日軍) 병력수송열차(兵力輸送列車)의 전복 공작(顚覆工作)과 일군(日軍) 내(內) 반란(反亂) 등을 모의하다가 피포(被捕)되어 징역1년6월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김태선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태영
한자명
金泰碤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4 ~ 1945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

공적개요

1944. 3월 일제(日帝)의 강제 식량공출(强制食糧供出)에 분격(憤激)하여 일경(日警)과 식량 공출(食糧供出) 담당 직원(擔當職員)을 처단(處斷)하고 일군(日軍) 전력(戰力)의 약화(弱化)를 도모(圖謀)하여 병력 수송 열차(兵力輸送列車)를 전복(顚覆)하려는 계획(計劃)을 세우며 격문(檄文)과 벽보(壁報)를 작성(作成)하여 붙이는 등의 활동(活動)을 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2년을 받고 복역(服役) 중(中) 고문(拷問)의 여독(餘毒)으로 옥중사(獄中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류재영
한자명
柳在榮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19 ~ 1997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44년 6월 일군을 탈출하여 광복군(光復軍) 진영(陣營)에 가담한 사실이 중국신문에 보도되어 국제적으로 큰 영향을 주었으며 1944년 11월 광복군(光復軍) 제2지대에 입대하여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류재영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문대식
한자명
文大植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3 ~ 1973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40.4 일제침략에 분노하여 1940.9 동지 8인과 공모하여 진락산 암석(進樂山岩石)에 대형태극기를 그리고 태극기와 조선독립만세라 조각한 목탑(木塔)을 세워 애국심을 고취하다 일경(日警)에 피검되어 징역1년6월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문대식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박래은
한자명
朴來殷
운동계열
문화운동
생몰년도
1918 ~ 2005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40년 7월 순창 금과보통학교생(淳昌金果普通學校生)에게 일제의 식민지정책반대 민족사상과 독립정신을 지도활동하다가 피체되어 전주지방법원(全州地方法院)에서 보안법위반(保安法違反)으로 징역 8월형 치안유지법(治安維持法) 및 육해군형법위반(陸海軍刑法違反)으로 1942. 4. 6 고등법원(高等法院)에서 징역 1년 6월형을 확정받은 사실이 확인됨.

박래은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박승묵
한자명
朴勝黙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2 ~ 1976
본적
전라북도 금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40.5 금산시장(錦山市場) 친우계(親友稧)를 조직하고 조선인지원병 불합격(朝鮮人志願兵不合格) 자초 방안(自招方案)을 모의하며 진락산(進樂山) 암석(岩石)에 대형태극기와 조선독립만세라고 조각한 대형 목탑(木塔)을 세워 애국심(愛國心)을 환기하다 징역1년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박승묵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박찬웅
한자명
朴贊雄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9 ~ 1943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40. 1. 대구사범학교(大邱師範學校) 재학중(在學中) 조국(祖國)의 독립(獨立)을 목적으로 「문예부(文藝部)」를 조직 활동하였고 1941. 4. 논산 노성(論山魯城)국민학교교사로 재직중 민족의식 고취 등 활동을 하다가 1941. 7. 왜경(倭警)에 피검(被檢) 대전형무소(大田刑務所)에 수감 중(收監中) 1943. 6.21 미결수(未決囚)로 옥사함.

인물정보

성명
변희조
한자명
卞熺朝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5 ~ 1943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

공적개요

1919. 3.23 충남(忠南) 금산군(錦山郡) 금산읍(錦山邑) 장날을 기(期)하여 「금산경고(錦山警告)」라는 격문을 배포하고 수천여명의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시위를 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변희조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송철
한자명
宋哲
운동계열
미주방면
생몰년도
1896 ~ 1986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4

공적개요

1916년 미국(美國)으로 이민(移民)한 후(後) 1929년 여름 나성(羅城)에서 이살음 임병직(林炳稷)등과 함께 대한인동지회(大韓人同志會) 북미총회(北美總會)를 조직하고 재무(財務)를 맡아 1945년까지 동회(同會)의 재정(財政)을 담당하고 1938년부터는 재무(財務) 겸 총회장(總會長)으로 독립운동(獨立運動) 자금을 출연(出捐)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으며 1941. 4.20 하와이 호놀루루에서 개최된 해외한족대회(海外韓族大會)에서 독립운동(獨立運動) 지원에 관한 결의안을 채택하고 재미한족연합위원회(在美韓族聯合委員會)를 결성할 때 집행부(執行部) 위원(委員)에 선임되었고 1942.2월 나성(羅城)에서 창설되어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의 인준을 받은 경위군(警衛軍)(일명(一名) 맹호군(猛虎軍))의 주계과(主計科) 참위(參尉)로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태용
한자명
梁太容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79 ~ 1937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0 경술국치(庚戌國恥)를 당(當)하여 할복 자결(割腹自決)을 기도(企圖)하다 미수(未遂)로 끝난 후 일본 정부(日本政府)에 침략항의문(侵略抗議文)을 만국공사관(萬國公使館)에 독립청원문(獨立請願文)을 발송(發送)하고 납세반대(納稅反對)와 호적 반대운동(戶籍反對運動)을 전개(展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엄창수
한자명
嚴昌樹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3 ~ 1989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40.5 금산시장(錦山市場) 친우계(親友稧)를 조직하고 조선인 지원병(朝鮮人志願兵) 불합격(不合格) 자초 방안(自招方案)을 모의하며 진락산(進樂山) 암석(岩石)에 태극기(太極旗)와 조선독립만세 목탑(朝鮮獨立萬歲木塔)을 세워 항일심(抗日心)을 환기하다 징역1년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엄창수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일남
한자명
李壹男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비공개 ~ 생존
본적
비공개 비공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42. 6월 전주사범학교 재학시에 비밀결사「우리회(會)」를 조직하여 국내와 만주독립군(滿洲獨立軍)과 연계할 것을 기도하며 만주에서 활동하다가 군자금조달차 국내에 들어와서 활동하다 피체되어 옥고를 겪던중 8.15 광복(光復)으로 공소취하된 사실이 확인됨.

이일남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일만
한자명
李一萬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1 ~ 1961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

공적개요

1919년 3월 27일 충북(忠北) 옥천군(沃川郡) 이원면(伊院面) 장날에 모인 수백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 연창하며 시내를 누볏는데 일 헌병(日憲兵)들이 허상기(許相基) 등 주동자를 연행하는 것을 보고 시위군중이 주재소로 살도(殺到)하여 석방을 요구할 때 무자비한 일경(日警)의 발포로「동생」이 현장에서 순국하자 시체를 짊어지고 주재소로 가서 항의하며 격렬하게 시위하다 피체되어 징역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재선
한자명
李在善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7 ~ 1937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

공적개요

1919년 3월 27일 충북(忠北) 옥천군(沃川郡) 이원면(伊院面) 장날에 모인 수백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 연창하며 시내를 누볏는데 일 헌병(日憲兵)들이 허상기(許相基) 등 주동자를 연행하는 것을 보고 시위군중이 주재소로 살도(殺到)하여 석방을 요구하자 무자비한 일경(日警)의 발포로 이일만(李一萬)의「동생」이 현장에서 순국하자 시체를 짊어지고 주재소로 가서 항의하며 격렬하게 시위하다 피체되어 징역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정해안
한자명
鄭海晏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3 ~ 2008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40년 5월부터 금산시장친우계(錦山市場親友稧)를 조직하여 조선인 지원병 반대(朝鮮人志願兵反對)와 진락산 암석(進樂山岩石)에 태극기와 조선독립만세의 목탑(木塔)을 설치하여 애국심을 고취하다가 1942.5.13 전주지방법원(全州地方法院)에서 징역8월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정해안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최병무
한자명
崔秉茂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2 ~ 1999
본적
전라북도 진안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40 금산시장친우계(錦山市場親友稧)를 조직하여 조선인 지원병 반대(朝鮮人志願兵反對)와 불합격 자초 운동(不合格自招運動)등을 전개하며 항일운동하다 일경(日警)에 피검되어 1942.5.30 전주지방법원(全州地方法院)에서 징역1년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홍범식
한자명
洪範植
운동계열
계몽운동
생몰년도
1871 ~ 1910
본적
충청북도 괴산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2

공적개요

1. 금산군수(錦山郡守)로 재임중(在任中) 경술합방(庚戌合邦)의 소식을 전문(傳聞)하고 목을 매어 순국(殉國)하였음

3.1운동

사건설명

3.1운동은 우리 민족이 일제의 식민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기미년) 3월 1일 전후로 일으킨 거족적인 독립 만세운동이다.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일본 도쿄의 2.8 독립선언, 고종의 인산일 등을 계기로 계획되어, 마침내 3월 1일 서울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33인에 의한 독립선언서 낭독과 더불어 탑골공원에서 학생들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만세 시위행진을 벌이며 거행되었다. 이날의 거사는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만주, 북미 등 해외 등지에서도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이를 계기로 세계에 우리 민족의 실상을 알림과 동시에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자주 독립사상 고취 등의 의의를 거두었으나, 동시에 일제가 민족 분열을 위해 무단통치 방법을 문화통치로 바꾸는 원인이 되었다.

애국계몽운동

사건설명

애국계몽운동은 교육과 산업, 언론 진흥을 통해 민족의 실력을 키워 국권을 수호하려는 운동으로, 지식인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였다. 대표적인 단체로는 대한자강회, 대한협회, 신민회가 있다.
이와 같은 애국계몽단체의 활동으로는 <제국신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등 신문과 <대한자강회월보>, <대한협회회보> 등 기관지 또는 학회지 발간을 통한 민중계몽운동이 있다. 또한 보광학교, 한남학교 등 학교 설립과 <보통교과동국역사>, <동국사략>, <대동역사략> 등 교과서 편찬을 통한 교육계몽운동, 그리고 국채보상운동 등의 경제구국운동 등을 펼치며 국력을 키우고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한국 광복군

사건설명

한국광복군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규 군대로, 1919년부터 군사조직법 제정을 통해 임시정부의 군대를 창설하려는 노력이 존재했으나 마침내 임시정부가 중국 충칭에 정착하면서 김구 등의 주도하에 1940년 창설되었다. 총사령에 지대형, 참모장에 이범석, 총무처장에 최용덕 등이 임명되었다. 창설 당시 병력은 30여 명에 불과했으나 병력 모집에 몰두하고 1942년 조선의용대의 편입을 거쳐 1945년 4월경에는 564명으로 확대되었다. 1945년, 임시정부의 주석이던 김구는 미국전략사무국 책임자와 공동작전을 협의하여 한국광복군을 국내에 침투시키는 국내진공작전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실행에 옮기기 전, 일본이 항복을 선언하며 한국광복군의 진공작전은 무산되었고, 1946년 해체되었다.

한말 의병운동

사건설명

항일의병운동에는 을미의병, 을사의병, 정미의병이 있다.
1895~1896년의 을미의병은 조선 말기 최초의 대규모 항일의병으로, 을미사변 후 왕후폐위조칙 발표, 단발령 시행을 계기로 일어났다.
전국 각지에서 봉기하여 대개 그 지방의 유명한 유생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대표적으로 유인석, 이필희, 서상렬을 비롯하여 춘천의 이소응, 이천과 여수의 박준영과 김하락, 강릉 여주의 민용호 등이 활약하였다.
1905~1906년의 을사의병은 러일전쟁 발발, 한일의정서 체결 등으로 고조된 항일의식이 1905년 을사늑약 강제 체결을 계기로 폭발한 구국항일의병이다.
대표적으로 최익현 의병진, 신돌석 의병진과 더불어 민종식과 안병찬 등이 주축이 된 홍주의병, 그리고 정환직, 정용기 부자의 산남의진 등이 있다.
1907~1910년의 정미의병은 고종의 강제 퇴위, 정미7조약 체결, 대한제국군대 강제해산 등을 계기로 발생하였다. 특히 1907년 8월 강제로 해산된 군인들의 대일항전에서 비롯되었고, 1906년 후반으로 접어들며 기세가 누그러졌던 을사의병이 이를 계기로 하여 거국적으로 확대 및 발전하였다. 원주진위대 해산군인 민긍호와 박준성, 경상북도의 이강년과 신돌석, 경기도의 허위와 연기우, 장성의 기삼연, 함평의 김태원과 심남일, 무주의 문태수, 임실의 이석용 등이 활약하였다.

의열단/의열투쟁

사건설명

의열투쟁이란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일제를 상대로 벌인 무력 투쟁을 일컫는다. 192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이어졌고, 한국 독립운동사의 매우 중요한 항일 투쟁 방식 중 하나이다.
의열단은 의열투쟁을 전개한 대표적인 단체이다. 1919년 만주에서 조직된 항일 무력독립운동 단체로, 김원봉, 윤세주, 황상규 등이 활동하였다. 1919년의 거족적인 3.1운동을 겪은 뒤, 해외로 독립운동기지를 옮긴 애국지사들은 강력한 일제의 무력에 대항해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서는 보다 조직적이고 강력한 독립운동단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계기로 1919년 11월 의열단이 조직되어 1920년대에 활발히 활동하였으며, 조국 독립을 위해 과격한 적극 투쟁과 희생정신을 강조하였다.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조선총독부 투탄의거, 종로경찰서 폭탄누척의거 등이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사건설명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19년부터 1945년까지 민주공화제의 독립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주권 자치를 실현하였던 임시정부이다.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되기 전부터 임시정부 수립에 대한 요구가 존재했으나, 3.1운동과 동시에 임시정부 수립 운동이 일어나면서 마침내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 수립되었다. 각료에는 임시의정원 의장 이동녕, 국무총리 이승만, 내무총장 안창호, 외무총장 김규식, 법무총장 이시영, 재무총장 최재형, 군무총장 이동휘, 교통총장 문창범 등이 임명되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파견하는 등 외교활동과 더불어 이봉창과 윤봉길의 의거와 같은 의열투쟁, 육군무관학교 및 비행사양성소 설립, 한국광복군 창설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학생독립운동

사건설명

우리 민족이 1945년 독립을 이루기까지 학생들은 조국 독립을 위해 여러 투쟁을 계속하였다.
구한말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여 학생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국권 수호를 위한 투쟁의 선봉에 섰으며, 농촌계몽 및 야학 등의 활동으로 국민의 자주 의식을 고취했다. 1919년 2월 8일에는 일본 도쿄에서 유학생들이 모여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고, 그 영향을 받은 3.1운동 또한 유관순, 어윤희 등 학생들을 주체 세력으로 전개되었다. 1926년에는 학생 중심의 6.10만세운동이 전개되었는데, 전문학교 학생 이병립, 이병호, 이천진, 박두종 등과 중앙고보와 중동학교 학생 박용규, 곽대형, 김재문 등의 학생들이 주도하여 전개되었다. 1929년 10월에는 나주역에서 일본인 학생들이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학생 박기옥, 이금자, 이광춘 등을 희롱하는 사건을 계기로 광주학생항일운동이 일어났고, 이것이 확산되어 대구, 부산 등 주변 지역에서도 학생항일운동이 전개되었다. 그 밖에도 부산의 노다이사건, 대구사범학교 왜관사건 등 학생들이 주도하여 일어난 여러 항일운동으로 하여금 학생들의 조선독립정신은 지속되어 왔다.

동학농민혁명

사건설명

동학농민혁명은 최제우가 창시한 동학에 기초를 둔 반봉건, 반외세적 성격의 농민민중항쟁이다. 1894년에 전라도 고부의 동학 접주 전봉준을 지도자로 동학교도와 농민들이 합세하여 일으켰다. 총 2차에 걸쳐 전개되었는데, 1차 봉기는 전라도 고부 지방의 관리 조병갑의 횡포와 동학교도 탄압에 대항하여 발생하였고, 이후 동학군의 해산에도 불구하고 일제가 내정간섭, 청일전쟁, 갑오개혁 등을 강행하자 반외세를 외치며 2차로 봉기하였다. 그러나 결국 우금치전투에서 관군과 일본군에 패하고 1895년 1월 전봉준에 이어 손화중 등 동학농민 지도부 대부분이 체포되고 교수형에 처해지면서 동학농민혁명은 실패로 막을 내리게 되었다. 그러나 동학농민군은 후에 일어난 항일의병항쟁의 중심 세력이 되었다.

국내 항일 운동

사건설명

조선 땅에 잔혹한 일제의 지배가 드리워진 암울한 시기에도 우리 민족은 독립을 목적으로 주력하기를 그치지 않았다. 독립지사들은 국내 독립운동을 위한 여러 단체를 조직하였는데, 기독교 등 종교와 결합하거나 농민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는 등 성격이 다양했다. 그들은 친일부호를 처단하고 독립군을 양성함과 동시에 3.1운동의 계획을 세우거나 군자금을 모집하여 국내 독립운동단체의 존속을 지원하였다. 더불어 선전물을 배포하고 야학을 설치하여 식민지 수탈의 실상과 독립 달성을 역설하며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해외 항일 운동

사건설명

독립운동을 위한 열망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들끓었다. 우리 민족은 구주(유럽), 노령(러시아의 시베리아 일대), 만주, 미주,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등에서 활동하며, 위치한 곳과 상관없이 오직 조국 독립의 목적을 위해 몸과 마음을 바쳐 독립운동에 매진하였다.
독립지사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항일의식교육을 펼치고 독립군 양성을 도모하였다. 또한 프랑스의 파리강화회의에 독립청원서를 보내고 유럽 등지에 우리 민족의 참혹한 실상을 알리는 등, 여러 방면에서 조국의 독립을 호소하였다.

기타

사건설명

1894년 동학농민운동을 시작으로 1945년 광복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은 오직 정의롭고 자주적인 국가를 위해 힘써왔다. 우리는 그 과정에서 목숨을 바쳐 투쟁하고 희생된 애국지사들의 넋을 기리고 그 흔적을 기억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