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상윤
한자명
金相潤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6 ~ 192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20.10.19 경신참변(庚申慘變) 당시 화룡현(和龍縣) 송언동(松堰洞)에서 일군(日軍)에게 대항하다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김상윤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상윤
한자명
金相允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미상
본적
평안남도 순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4일 평북 순천군 자산면 자산리 시장에서 이승무(李昇茂), 김중현(金重鉉)이 한국의 독립에 대한 연설을 하고 만세운동이 벌어지자 이에 참여하여 독립만세를 외치고 자택에 ‘조선독립단사무소’를 설치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상윤
한자명
金相潤
운동계열
의열투쟁
생몰년도
1897 ~ 1927
본적
경상남도 밀양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 1919. 11. 9 김원봉(金元鳳)등 13명과 길림성(吉林省)에서 의열단(義烈團) 조직(組織)함. 2. 1920 밀양경찰서 폭파 사건(密陽警察署爆破事件) 가담(加擔) 후(後) 상해(上海)로 망명(亡命), 임정(臨政) 가담(加擔) 활동(活動)함. 3. 1927. 10. 19 상해(上海)에서 활약(活躍) 중 사인불명(死因不明)으로 사망(死亡), 복건성(福建省)에 묘비(墓碑)있음.

인물정보

성명
김상을
한자명
金商乙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18 ~ 1991
본적
충청남도 서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38. 1. 일본 동경에서 대한독립군공작원(大韓獨立軍工作員)과 접선공작중 1939. 북경에 가서 한국청년전지공작원과 접선활동하고 1940.11. 광복군(光復軍)에 현지입대하고 1942. 9. 제2지대로 귀대(歸隊)하여 제2구(區) 대원으로 활동하였으며 O.S.S.훈련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상의
한자명
金相義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56 ~ 미상
본적
함경남도 홍원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3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함남(咸南) 홍원군(洪原郡)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상이
한자명
金尙伊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8 ~ 1947
본적
경상남도 밀양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3년

공적개요

1919. 3. 13. 경남(慶南) 밀양군(密陽郡) 밀양면(密陽面)에서 윤소룡(尹小龍)(세주(世冑)), 윤치형(尹致衡) 등이 주도한 독립만세 시위운동에 참여하여 장터에서 군중들과 함께 시위운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상익
한자명
金相익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6 ~ 1924
본적
경상남도 창원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3일 경상남도(慶尙南道) 창원군(昌原郡) 창원읍내(昌原邑內)에서 일어난 만세 시위운동에 참여하여 ‘대한국(大韓國) 독립만세(獨立萬歲)’라는 깃발을 들고 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를 주도하다가 체포되어 징역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상익
한자명
金相翊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5 ~ 1973
본적
함경남도 원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3.1운동에 참여 활동하고 1920년 미국 국회의원(美國國會議員) 내한시 만세시위하여 징역 1년6월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상인
한자명
金相寅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08년 강원도(江原道) 삼척(三陟)에서 거의한 성익현 의병진(成益鉉義兵陣)에 참여, 선봉장(先鋒將)으로 활동하고 동년(同年) 4월에는 이강년 의진(李康秊義陣)과 연합하여 경북(慶北) 안동(安東)에서 일군(日軍)과 교전(交戰)하는 등 항일활동(抗日活動)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상일
한자명
金相逸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1 ~ 192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0.10.19 만주(滿洲) 화룡현(和龍縣)에서 일군(日軍) 토벌대(討伐隊)에 저항(抵抗)하다 피체(被逮)되어 총살(銃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상정
한자명
金商玎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75 ~ 1954
본적
충청남도 서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월 일경(日警)의 회유책(懷柔策)으로 개최(開催)된 면민대회(面民大會)에서 민비 살해(閔妃殺害)의 참변(慘變)을 면민(面民)에게 환기(喚起)시키고 왜왕(倭王)의 명령(命令)은 맹서(盟誓)코 복종(服從)할 수 없다하고 좌수지(左手指)를 잘라 혈서(血書)를 작성하여 총독(總督)에게 발송하였으며 그 후 납세(納稅) 및 삭발령(削髮令)을 반대하여 3회에 걸쳐 혈서(血書)를 쓰고 항일 정신(抗日精神)을 발휘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상종
한자명
金象鍾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48 ~ 1909
본적
경상북도 의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895년 일제에 의하여 민비(閔妃)가 시해당하자 기의(起義)하여 구성산(九城山)전투에서 적병 20여명을, 감은(甘隱)전투에서 7명을, 운천변(雲川邊)전투에서 5명, 도합 30여명을 살육하는 등 다대한 전과를 올리는 등 분투하다가 금성(金城)전투에서 적병에 의하여 참패당한 후 피신 은거하였음 1909년 진중(陣中)의 소상(所傷)으로 작고(作故)하였다. (금성시행(金城詩行), 행장(行狀), 교거시화(僑居詩和) 소(韶)) 확인(의성군수(義城郡守), 지서장(支署長), 묵곡중학교장(默谷中學校長), 묵곡면장(默谷面長), 경북도지사(慶北道知事))

김상종의 발자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상윤

한자명

金相潤

생몰년도

1896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윤

한자명

金相允

생몰년도

1890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남도 순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윤

한자명

金相潤

생몰년도

1897 ~ 1927

운동계열

의열투쟁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밀양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을

한자명

金商乙

생몰년도

1918 ~ 1991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서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의

한자명

金相義

생몰년도

1856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홍원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이

한자명

金尙伊

생몰년도

1898 ~ 194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밀양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익

한자명

金相익

생몰년도

1876 ~ 192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창원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익

한자명

金相翊

생몰년도

1895 ~ 197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남도 원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인

한자명

金相寅

생몰년도

미상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일

한자명

金相逸

생몰년도

1891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정

한자명

金商玎

생몰년도

1875 ~ 1954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서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종

한자명

金象鍾

생몰년도

1848 ~ 1909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의성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