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명학
한자명
李明鶴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0 ~ 미상
본적
충청남도 서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19년 3월경 충남 서산군(瑞山郡) 해미면(海美面)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만세시위를 벌이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태 90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명화
한자명
李明化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1 ~ 미상
본적
경상남도 거창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4년

공적개요

1920년 음(陰) 11월 조병채(趙炳彩) 등과 함께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북간도 지역 군사기관인 대한군정서(大韓軍政署) 총사령관 김좌진의 명령에 따라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할 것을 결의하고, 1921년 3월말 경남(慶南) 거창(居昌)에서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10월(미결구류(未決拘留) 150일 통산(通算))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목익
한자명
李穆翊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68 ~ 1949
본적
경상북도 울진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20.12월 강원도 울진군 온정면 소태리에서 물가의 하락을 목적으로 “외국품은 물론 일제의 생산품도 구매하지 말자” 즉 일제의 생산품을 배척하자는 문서를 소태 주재소 앞과 온천장 숙소 및 선미리(仙味里), 온천리(溫泉里) 2곳과 평해면(平海面) 평해(平海)시장에 각 1매를 붙임으로써 피체되어 금고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목호
한자명
李穆鎬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79 ~ 1919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06년 안동군(安東郡) 주사(主事)로 임명(任命)되어 군수 직무대행시(郡守職務代行時)에는 의병활동(義兵活動)을 지원(支援)하다 구류(拘留)되어 석방(釋放)된 후(后) 뜻한바 있어 만주(滿洲)로 망명(亡命)하여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를 졸업(卒業). 김동삼(金東三), 이상룡(李相龍)과 활동(活動)하다 중국(中國) 북경(北京)에 가서 영검지(英劒之)에게 일본 침략(日本侵略)을 물리칠 것을 요청(要請)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자 항상(恒常) 번민(煩㦖)하다 이국(異國)에서 순사(殉死)한 사실이 확인됨.

이목호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몽석
한자명
李夢石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8 ~ 1929
본적
경상남도 부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4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9일 경남(慶南) 동래군(東萊郡) 구포면(龜浦面) 구포시장(龜浦市場)에서 군중 천여 명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고 한국독립 만세(韓國獨立萬歲)를 외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4월 집행유예(執行猶豫)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묘옥
한자명
李妙玉
운동계열
미주방면
생몰년도
1895 ~ 미상
본적
경상남도 창원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27년 2월과 1936년∼1937년 미국 하와이에서 대한인부인구제회조사위원, 1938년 동회 학무로 활동함. 1940년 동회 연례 대표회에 와히아와 지방대표로 참여했으며, 1941년 대한인부인구제회 대표회 의장, 1942년 동회 의사장, 1942~1943년 독립금․한미승전후원금 수봉위원 등으로 활동함. 1939~1945년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인물정보

성명
이무범
한자명
李武範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8 ~ 미상
본적
경상북도 경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6년

공적개요

1908년 음력 2월과 4월 사이에 경북(慶北) 경주(慶州)·장기군(長鬐郡)에서 장헌문 의진(蔣憲文義陣)에 참여하여 군자금모집 등의 의병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무선
한자명
李武先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896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0년

공적개요

1896. 7월 유인석(柳麟錫)의병장이 이끄는 호좌의진(湖左義陣)에 소속되어 기총(騎摠)으로 활동하다가 호좌의진(湖左義陣)이 만주 서북지역으로 근거지를 이동할 목적으로 평북(平北) 양덕(陽德), 맹산(孟山), 희천(熙川) 등지를 경유하여 강계부(江界府)에 이르렀을 때 관군(官軍)에 체포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무수
한자명
李武壽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7 ~ 1943
본적
경상북도 청도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5.7 경북(慶北) 청도군(淸道郡) 대성면(大城面) 유호동(楡湖洞)에서 이종현(李鍾鉉)이 일본인에게 부상당하는 일이 발생하자 300여명의 군중과 함께 일본인 3명을 구타하는 등 활동(活動)하다가 피체(被逮)되어 태(笞) 90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무수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무영
한자명
李茂榮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21 ~ 1950
본적
경상북도 의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41년 1월 경북(慶北) 대구사범학교(大邱師範學校)에 재학 중 동료들과 함께 비밀결사(秘密結社) 연구회(硏究會)를 조직하고 전기과학부(電氣科學部) 책임(責任)을 맡아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무종
한자명
李武鍾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3 ~ 1956
본적
경상남도 기타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4.2 언양(彦陽) 독립만세 시위 운동(獨立萬歲示威運動)에 참가하여 일경에 체포되어 동년 5.6 대구복심법원(大邱覆審法院)에서 징역 1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무중
한자명
李茂重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25 ~ 1950
본적
평안남도 평양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3. 9월 광복군(光復軍) 제1지대에 입대(入隊)하여 초모 공작(招募工作)과 군사 정보(軍事情報)를 수집(蒐集)하여 제5전구 유격지역(戰區遊擊地域)인 호북성(湖北省) 일대(一帶)에서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명학

한자명

李明鶴

생몰년도

1900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서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명화

한자명

李明化

생몰년도

1881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4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남도 거창

자세히 보기

성명

이목익

한자명

李穆翊

생몰년도

1868 ~ 1949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울진

자세히 보기

성명

이목호

한자명

李穆鎬

생몰년도

1879 ~ 1919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몽석

한자명

李夢石

생몰년도

1898 ~ 192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4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부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묘옥

한자명

李妙玉

생몰년도

1895 ~ 미상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훈격

202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남도 창원

자세히 보기

성명

이무범

한자명

李武範

생몰년도

1888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6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북도 경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무선

한자명

李武先

생몰년도

미상 ~ 1896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무수

한자명

李武壽

생몰년도

1887 ~ 194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청도

자세히 보기

성명

이무영

한자명

李茂榮

생몰년도

1921 ~ 1950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15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의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무종

한자명

李武鍾

생몰년도

1893 ~ 195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이무중

한자명

李茂重

생몰년도

1925 ~ 1950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남도 평양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