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월곶면민 만세운동 유적비

유형
비석 | 안내판·표지석
주소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포내리 168-2

사적지 지도 안내

길찾기   |   로드뷰

사적지 개요

1919년 3월 22일은 오후 2시경 임용우, 윤영규, 조남윤, 최우석, 이병린 등의 주도로 장터에 있던 약 200여 명의 군중들이 만세시위를 벌였다. 시위군중은 옛 통진읍인 군하리로 행진하여 향교, 보통학교, 면사무소 앞을 차례로 돌며 만세시위를 했다. 이날 군하리 출신 박용희의 주도로 성태영, 백일환, 이살눔은 400여 명의 군중을 이끌고 통진향교, 면사무소, 주재소 등지로 시위행렬을 이끌었다. 성태영은 단 위에 올라가 독립연설을 하고 백일환은 이를 저지하던 일본 순사를 폭행하였다. 또한 이들은 한국인 순사보들에게 만세를 부르라며 민족의식을 고양하였다. 일주일 후인 29일에 다시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29일 오전 11시경 마을주민 400여 명이 읍내에 모이자, 조남윤은 당인표 등과 함께 이들을 지휘하여 향교와 면사무소 앞에서 조선독립만세를 외쳤다. 한편 월곶면의 임용우·최복석은 29일 정오경 갈산리에 모였다가 군하리 공자묘와 공립보통학교, 면사무소에서 만세운동을 벌였다. 이에 앞서 28일 밤 정인교·윤종근·민창식은 마을 주민 수십 명과 함께 마을 인근 함반산 꼭대기에 모여 조선독립만세를 외쳤다. 이후 덕적도의 명덕학교 교사였던 임용우는 4월 9일 학교 운동회에서 이재관·차경창 등과 만세운동을 벌이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 6개월을 선고 받고 옥고를 시르던 중 일제의 가혹한 고문으로 인해 같은 해 5월 10일 옥사하였다. 조남윤, 최우석, 정인교, 윤종근, 최복석, 이병린은 각각 징역 1년, 윤영규는 징역 8월, 이살눔, 정인교, 민창식은 징역 6월을 선고 받았다.

탐방로그

월곶면민 만세운동유적비를 찾기 위해 경기 김포시 월곶면 포내리 168-2에 왔다. 1984년 12월에 월곶면 일원에서 애국지사들을 추모하기 위해 시민들의 뜻을 모아 건립하였고, 2018년 12월 국가보훈처의 도움을 받아 월곶 3.1 정신선양회에서 수리 후 재건립되었다.

인물정보

성명
김남산
한자명
金南山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9 ~ 1966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

공적개요

1919.3.25 경기도(京畿道) 김포군(金浦郡) 고촌면(高村面) 신곡리(新谷里)에서 태극기를 제작하고 리민(里民) 50여명을 규합하여 시위군중의 선두에서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리내(里內)를 행진하는 등 만세시위를 펴다가 피체되어 징역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정국
한자명
金正國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3 ~ 1920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 3. 24 김포군(金浦郡) 고촌면(高村面) 신곡리(新谷里) 뒷산(山)에서 동민 다수(洞民多數)를 규합(糾合)하여 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를 주동(主動)하다 피체(被逮)되여 징역10월을 받았으나 미결기간(未決期間)을 합산(合算)하여 11월 28일간의 주동자(主動者)로서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정의
한자명
金正義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9 ~ 1963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3.25 김포군(金浦郡) 고촌면(高村面) 신곡리(新谷里)에서 김남산(金南山) 김흥돌(金興乭) 등과 함께 동리주민 50여명을 규합하여 독립만세시위중 피체되어 징역 10월을 받았으나 미결기간을 합산하여 11월 27일간의 옥고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민창식
한자명
閔昌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8 ~ 1948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9

공적개요

1919. 3. 28 경기(京畿) 김포(金浦) 월곶면(月串面)에서 주민(住民) 수십명과 함께 함반산(含飯山) 꼭대기에 집합하여 조선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다가 일경(日警)에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박승각
한자명
朴勝珏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7 ~ 1971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3.19 김포군(金浦郡) 양촌면(陽村面) 누산리(樓山里)에서 태극기(太極旗), 격문(檄文), 경고문(警告文)등을 제작 배포하고 양곡(陽谷)장터에 모인 수백명의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위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박승만
한자명
朴勝萬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1951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3.19 김포군(金浦郡) 양촌면(陽村面) 누산리(樓山里)에서 태극기(太極旗), 격문(檄文), 경고문(警告文) 등을 제작 배포하고 3.22 양곡(陽谷)장터에 모인 수백여명의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위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박충서
한자명
朴忠緖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8 ~ 1934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3.1 경성(京城) 3.1독립만세운동에 가담하여 활동한 후 고향인 김포(金浦)에 돌아와서 김포(金浦)독립만세운동을 일으켜 활동하다 일헌(日憲)에게 체포되어 1919.6.26 경성복심법원(京城覆審法院)에서 보안법(保安法) 위반(違反)으로 징역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백일환
한자명
白日煥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4 ~ 1969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3.22 김포 월곶에서 3.1운동에 참가하여 1919.7.12 경성지법에서 징역 2년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성태영
한자명
成泰永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6 ~ 1946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3.22 김포군(金浦郡) 월곶면(月串面) 군하리(郡下里) 장날에 모인 400여명의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리내(里內)를 행진하고 월곶면사무소(月串面事務所), 군하경찰관주재소(郡下警察官駐在所)에서 면직원(面職員)과 순사(巡査)등에게 독립만세를 부르게 하며 왜경을 구타하는 등 격렬한 시위를 감행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오인환
한자명
吳仁煥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9 ~ 미상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2

공적개요

1919년 3월 경기 김포군에서 박충서(朴忠緖) 등이 주도한 독립만세운동 계획에 호응하여 만세시위 참여를 독려하는 격문 및 경고문을 동군 양촌면 내 각지에 배포하다 체포되어 태 90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윤영규
한자명
尹寧圭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2 ~ 1926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

공적개요

1919. 3. 29 경기도(京畿道) 김포군(金浦郡) 월곶면(月串面)에서 인근 동리 주민 수백명과 함께 군하리(郡下里) 공자묘(孔子廟)와 공립보통학교(公立普通學校) 및 면사무소(面事務所) 앞에서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만세시위를 벌이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윤재영
한자명
尹在英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8 ~ 1922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

공적개요

1919. 3. 24 경기도(京畿道) 김포군(金浦郡) 고촌면(高村面) 신곡리(新谷里)에서 동지 김정국(金正國)과 함께 윤주섭 외(尹周燮外) 50여명(餘名)을 동원하여 동리(洞里) 뒷산에 집결(集結)한 후(後) 조선독립만세(朝鮮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다 일경(日警)에게 피체(被逮)되어 징역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윤종근
한자명
尹鍾根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8 ~ 1959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 3.28 김포군(金浦郡) 월곶면(月串面) 군하리(郡下里)에서 수십명(數十名)의 시위 군중(示威群衆)을 이끌고 함반산정(含飯山頂)에 올라가서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 시위(高唱示威)하고 익일(翌日)인 3.29에는 시위 군중(示威群衆) 400여명(余名)을 구통진읍내(舊通津邑內)에 집결(集結)케하여 다시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고 시위(示威)하다 체포(逮捕)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윤주섭
한자명
尹周燮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7 ~ 1957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

공적개요

1919. 3.24 경기도(京畿道) 김포군(金浦郡) 고촌면(高村面) 신곡리(新谷里) 뒷산에서 50여명의 군중들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만세시위를 전개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병린
한자명
李炳麟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6 ~ 1930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3.22 김포군(金浦郡) 월곶면(月串面) 군하리(郡下里)장터에서 주민다수를 규합하여 독립만세시위를 주동하다 피체되어 징역 10월을 받아 미결기간을 합산하여 1년여의 옥고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병철
한자명
李丙喆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4 ~ 1970
본적
경기도 안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 4. 1~2 안성(安城) 양성(陽城) 원곡(元谷) 3.1운동 사건(運動事件)에 참가(參加), 1919. 1. 22 경성복심법원(京城覆審法院)에서 징역 2년 6개월(個月)을 언도(言渡)받았으며 지역(地域)에서 거사 활동(擧事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은선
한자명
李殷先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6 ~ 1919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

공적개요

1919년 3월 24일 경기도(京畿道) 부천군(富川郡) 계양면(桂陽面) 장기리(場基里)에서 300여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태극기를 앞세우고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활동하다가 일경(日警)이 휘두른 칼에 맞아 자살(刺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흥돌
한자명
李興乭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8 ~ 1920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5

공적개요

1919년 3월 25일 밤 경기도(京畿道) 김포군(金浦郡) 고촌면(高村面) 신곡리(新谷里)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태극기(太極旗)를 제작하고 주민 50명과 함께 조선독립만세(朝鮮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며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고 출옥 후 순국(殉國)함.

인물정보

성명
임성춘
한자명
林聖春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69 ~ 1937
본적
경기도 부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 3. 24 부천군(富川郡) 계양면(桂陽面) 장기리(場基里) 장날에 모인 군중(群衆)과 함께 태극기(太極旗)를 휘두르며 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를 하고 동일(同日) 오후(午後) 만세 시위 중(萬歲示威中) 체포(逮捕)된 심혁성(沈爀誠)를 석방(釋放)시키기 위하여 다수(多數)의 군중(群衆)을 지휘(指揮)하여 왜경(倭警)을 구타하는 등 활동(活動)을 하다가 체포(逮捕)되어 징역 1년형(年刑)을 받은 공적(功績)이 있음.

인물정보

성명
임용우
한자명
林容雨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4 ~ 1919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

공적개요

1919년 3월 29일 경기도 김포군 월관면 갈산리(葛山里)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주동하고 1919년 4월 9일 덕적도(德積島) 해변에서 명덕학교(明德學校) 운동회를 개최하고 독립만세운동을 벌리는 등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아 복역 중 잔인한 고문의 여독으로 옥중사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임철모
한자명
林哲模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3 ~ 1919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

공적개요

1919년 3월 23일 경기도 김포군 양림면(陽林面)에서 독립만세시위를 주동하고 300여 명에 달하는 시위군중의 선두에서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주재소와 면사무소로 행진하려다가 체포되어 징역6월을 받고 복역하던 중 옥사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전태순
한자명
全泰順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1963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

공적개요

1919.3.23 경기도(京畿道) 김포군(金浦郡) 양촌면(陽村面)에서 박충서(朴忠緖)의 주동에 의하여 독립만세운동을 추진할 때 박승각(朴勝珏) 등과 5명이 합세하여 격문과 경고문 등 10여통을 작성 리민(里民)에게 배부하였으며 이날 양곡(陽谷)장터에 모인 수백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활동하다 피체되어 태(笞) 90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정억만
한자명
鄭億萬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3 ~ 1944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8

공적개요

1919년 3월 19일 경기도(京畿道) 김포군(金浦郡) 양촌면(陽村面) 누산리(樓山里)에서 박충서(朴忠緖) 등이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벌이기로 계획하고 군중을 선동하는 내용의 격문과 경고문을 만들자 이를 양촌면내(陽村面內)에 배포하고, 동월(同月) 23일 양곡(陽谷)시장에서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시위를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事實)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정인교
한자명
鄭仁敎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8 ~ 1932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2

공적개요

1919. 3. 28. 경기도(京畿道) 김포군(金浦郡) 월곶면(月串面) 조강리(祖江里)에서 리민(里民)들을 규합하여 동리 함반산(含飯山)에 올라 수십 명의 군중들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는 등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정인섭
한자명
丁寅燮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6 ~ 1944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19.3.23 김포군(金浦郡) 양촌면(陽村面) 양곡리(陽谷里)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하여 독립만세라고 쓴 태극기를 흔들며 동리 장터에 모인 군중 3백여명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위하고 체포되어 징역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조남윤
한자명
趙南潤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4 ~ 1928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19. 3. 28 경기도(京畿道) 김포군(金浦郡) 월곶면(月串面)에서 당인표(唐寅杓) 등과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벌이기로 계획하고 선전문서 약 7통을 만들어 각 동리의 주민들에게 배포하고 이튿날 29일 오전 11시 경 이민들과 함께 전(前) 통진(通津) 읍내에 모여 이들과 함께 향교와 면사무소 앞에서 만세 시위를 전개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최우석
한자명
崔禹錫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2 ~ 1942
본적
경기도 김포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5

공적개요

1919년 3월 22일 경기도(京畿道) 김포군(金浦郡) 월곶면(月串面) 군하리(郡下里)에서 리민(里民) 300여명과 함께 독립만세를 부르며 시위하였으며, 동월(同月) 28일 조남윤(趙南潤) 등이 배포한 문서의 취지에 찬성하고 정인교(鄭仁敎)와 리민(里民)들을 규합하여 이튿날 29일 오전 11시 경 월곶면(月串面)의 구통진(舊通津) 읍내의 향교와 월곶면(月串面) 면사무소 앞 등지에서 만세시위를 전개하였다가 체포(逮捕)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3.1운동

사건설명

3.1운동은 우리 민족이 일제의 식민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기미년) 3월 1일 전후로 일으킨 거족적인 독립 만세운동이다.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일본 도쿄의 2.8 독립선언, 고종의 인산일 등을 계기로 계획되어, 마침내 3월 1일 서울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33인에 의한 독립선언서 낭독과 더불어 탑골공원에서 학생들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만세 시위행진을 벌이며 거행되었다. 이날의 거사는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만주, 북미 등 해외 등지에서도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이를 계기로 세계에 우리 민족의 실상을 알림과 동시에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자주 독립사상 고취 등의 의의를 거두었으나, 동시에 일제가 민족 분열을 위해 무단통치 방법을 문화통치로 바꾸는 원인이 되었다.

애국계몽운동

사건설명

애국계몽운동은 교육과 산업, 언론 진흥을 통해 민족의 실력을 키워 국권을 수호하려는 운동으로, 지식인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였다. 대표적인 단체로는 대한자강회, 대한협회, 신민회가 있다.
이와 같은 애국계몽단체의 활동으로는 <제국신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등 신문과 <대한자강회월보>, <대한협회회보> 등 기관지 또는 학회지 발간을 통한 민중계몽운동이 있다. 또한 보광학교, 한남학교 등 학교 설립과 <보통교과동국역사>, <동국사략>, <대동역사략> 등 교과서 편찬을 통한 교육계몽운동, 그리고 국채보상운동 등의 경제구국운동 등을 펼치며 국력을 키우고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한국 광복군

사건설명

한국광복군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규 군대로, 1919년부터 군사조직법 제정을 통해 임시정부의 군대를 창설하려는 노력이 존재했으나 마침내 임시정부가 중국 충칭에 정착하면서 김구 등의 주도하에 1940년 창설되었다. 총사령에 지대형, 참모장에 이범석, 총무처장에 최용덕 등이 임명되었다. 창설 당시 병력은 30여 명에 불과했으나 병력 모집에 몰두하고 1942년 조선의용대의 편입을 거쳐 1945년 4월경에는 564명으로 확대되었다. 1945년, 임시정부의 주석이던 김구는 미국전략사무국 책임자와 공동작전을 협의하여 한국광복군을 국내에 침투시키는 국내진공작전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실행에 옮기기 전, 일본이 항복을 선언하며 한국광복군의 진공작전은 무산되었고, 1946년 해체되었다.

한말 의병운동

사건설명

항일의병운동에는 을미의병, 을사의병, 정미의병이 있다.
1895~1896년의 을미의병은 조선 말기 최초의 대규모 항일의병으로, 을미사변 후 왕후폐위조칙 발표, 단발령 시행을 계기로 일어났다.
전국 각지에서 봉기하여 대개 그 지방의 유명한 유생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대표적으로 유인석, 이필희, 서상렬을 비롯하여 춘천의 이소응, 이천과 여수의 박준영과 김하락, 강릉 여주의 민용호 등이 활약하였다.
1905~1906년의 을사의병은 러일전쟁 발발, 한일의정서 체결 등으로 고조된 항일의식이 1905년 을사늑약 강제 체결을 계기로 폭발한 구국항일의병이다.
대표적으로 최익현 의병진, 신돌석 의병진과 더불어 민종식과 안병찬 등이 주축이 된 홍주의병, 그리고 정환직, 정용기 부자의 산남의진 등이 있다.
1907~1910년의 정미의병은 고종의 강제 퇴위, 정미7조약 체결, 대한제국군대 강제해산 등을 계기로 발생하였다. 특히 1907년 8월 강제로 해산된 군인들의 대일항전에서 비롯되었고, 1906년 후반으로 접어들며 기세가 누그러졌던 을사의병이 이를 계기로 하여 거국적으로 확대 및 발전하였다. 원주진위대 해산군인 민긍호와 박준성, 경상북도의 이강년과 신돌석, 경기도의 허위와 연기우, 장성의 기삼연, 함평의 김태원과 심남일, 무주의 문태수, 임실의 이석용 등이 활약하였다.

의열단/의열투쟁

사건설명

의열투쟁이란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일제를 상대로 벌인 무력 투쟁을 일컫는다. 192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이어졌고, 한국 독립운동사의 매우 중요한 항일 투쟁 방식 중 하나이다.
의열단은 의열투쟁을 전개한 대표적인 단체이다. 1919년 만주에서 조직된 항일 무력독립운동 단체로, 김원봉, 윤세주, 황상규 등이 활동하였다. 1919년의 거족적인 3.1운동을 겪은 뒤, 해외로 독립운동기지를 옮긴 애국지사들은 강력한 일제의 무력에 대항해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서는 보다 조직적이고 강력한 독립운동단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계기로 1919년 11월 의열단이 조직되어 1920년대에 활발히 활동하였으며, 조국 독립을 위해 과격한 적극 투쟁과 희생정신을 강조하였다.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조선총독부 투탄의거, 종로경찰서 폭탄누척의거 등이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사건설명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19년부터 1945년까지 민주공화제의 독립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주권 자치를 실현하였던 임시정부이다.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되기 전부터 임시정부 수립에 대한 요구가 존재했으나, 3.1운동과 동시에 임시정부 수립 운동이 일어나면서 마침내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 수립되었다. 각료에는 임시의정원 의장 이동녕, 국무총리 이승만, 내무총장 안창호, 외무총장 김규식, 법무총장 이시영, 재무총장 최재형, 군무총장 이동휘, 교통총장 문창범 등이 임명되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파견하는 등 외교활동과 더불어 이봉창과 윤봉길의 의거와 같은 의열투쟁, 육군무관학교 및 비행사양성소 설립, 한국광복군 창설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학생독립운동

사건설명

우리 민족이 1945년 독립을 이루기까지 학생들은 조국 독립을 위해 여러 투쟁을 계속하였다.
구한말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여 학생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국권 수호를 위한 투쟁의 선봉에 섰으며, 농촌계몽 및 야학 등의 활동으로 국민의 자주 의식을 고취했다. 1919년 2월 8일에는 일본 도쿄에서 유학생들이 모여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고, 그 영향을 받은 3.1운동 또한 유관순, 어윤희 등 학생들을 주체 세력으로 전개되었다. 1926년에는 학생 중심의 6.10만세운동이 전개되었는데, 전문학교 학생 이병립, 이병호, 이천진, 박두종 등과 중앙고보와 중동학교 학생 박용규, 곽대형, 김재문 등의 학생들이 주도하여 전개되었다. 1929년 10월에는 나주역에서 일본인 학생들이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학생 박기옥, 이금자, 이광춘 등을 희롱하는 사건을 계기로 광주학생항일운동이 일어났고, 이것이 확산되어 대구, 부산 등 주변 지역에서도 학생항일운동이 전개되었다. 그 밖에도 부산의 노다이사건, 대구사범학교 왜관사건 등 학생들이 주도하여 일어난 여러 항일운동으로 하여금 학생들의 조선독립정신은 지속되어 왔다.

동학농민혁명

사건설명

동학농민혁명은 최제우가 창시한 동학에 기초를 둔 반봉건, 반외세적 성격의 농민민중항쟁이다. 1894년에 전라도 고부의 동학 접주 전봉준을 지도자로 동학교도와 농민들이 합세하여 일으켰다. 총 2차에 걸쳐 전개되었는데, 1차 봉기는 전라도 고부 지방의 관리 조병갑의 횡포와 동학교도 탄압에 대항하여 발생하였고, 이후 동학군의 해산에도 불구하고 일제가 내정간섭, 청일전쟁, 갑오개혁 등을 강행하자 반외세를 외치며 2차로 봉기하였다. 그러나 결국 우금치전투에서 관군과 일본군에 패하고 1895년 1월 전봉준에 이어 손화중 등 동학농민 지도부 대부분이 체포되고 교수형에 처해지면서 동학농민혁명은 실패로 막을 내리게 되었다. 그러나 동학농민군은 후에 일어난 항일의병항쟁의 중심 세력이 되었다.

국내 항일 운동

사건설명

조선 땅에 잔혹한 일제의 지배가 드리워진 암울한 시기에도 우리 민족은 독립을 목적으로 주력하기를 그치지 않았다. 독립지사들은 국내 독립운동을 위한 여러 단체를 조직하였는데, 기독교 등 종교와 결합하거나 농민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는 등 성격이 다양했다. 그들은 친일부호를 처단하고 독립군을 양성함과 동시에 3.1운동의 계획을 세우거나 군자금을 모집하여 국내 독립운동단체의 존속을 지원하였다. 더불어 선전물을 배포하고 야학을 설치하여 식민지 수탈의 실상과 독립 달성을 역설하며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해외 항일 운동

사건설명

독립운동을 위한 열망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들끓었다. 우리 민족은 구주(유럽), 노령(러시아의 시베리아 일대), 만주, 미주,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등에서 활동하며, 위치한 곳과 상관없이 오직 조국 독립의 목적을 위해 몸과 마음을 바쳐 독립운동에 매진하였다.
독립지사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항일의식교육을 펼치고 독립군 양성을 도모하였다. 또한 프랑스의 파리강화회의에 독립청원서를 보내고 유럽 등지에 우리 민족의 참혹한 실상을 알리는 등, 여러 방면에서 조국의 독립을 호소하였다.

기타

사건설명

1894년 동학농민운동을 시작으로 1945년 광복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은 오직 정의롭고 자주적인 국가를 위해 힘써왔다. 우리는 그 과정에서 목숨을 바쳐 투쟁하고 희생된 애국지사들의 넋을 기리고 그 흔적을 기억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