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광주학생운동진원기념비

유형
비석 | 안내판·표지석
주소
전라남도 나주시 경현동 225-3

사적지 지도 안내

길찾기   |   로드뷰

사적지 개요

관련 동영상 보기
광주학생독립운동의 직접적인 동기는 1929년 10월 30일 나주에서 광주로 통학하던 한일 학생들이 나주역에서 충돌하면서 비롯되었다. 일본학생들이 한국 여학생들을 희롱하는 모욕적인 행동에 격분한 한국 학생들과의 충돌은 11월 1일까지 지속되었다. 일본인 교사와 경찰의 편파적인 대응에 광주학생들이 격분하여 11월 3일 대규모 학생운동으로 활화산처럼 폭발하여 전국적인 항일 학생독립운동으로 확산되었다. 광주학생독립운동은 3.1운동, 6.10만세운동과 더불어 3대 독립운동으로 평가되어, 11월 3일을 학생의 날로 지정하기도 하였다.

인물정보

성명
강달모
한자명
姜達模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09 ~ 1975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학생 비밀결사(學生秘密結社) 독서회(讀書會)를 조직(組織)하고 10개월(個月)을 주도적(主導的)으로 활동(活動)하였으며 1929. 11. 3 광주학생 대시위 운동 후(光州學生大示威運動後) 일경(日警)에 체포(逮捕)되어 대구복심원(大邱覆審院)에서 2년 징역형(懲役刑)이 확정(確定).

인물정보

성명
김광용
한자명
金匡溶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08 ~ 1979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26. 11월 비밀 결사(秘密結社) 성진회(醒進会) 주역(主役)으로서 동지(同志) 규합(糾合), 조직(組織) 확대(擴大)에 주력(注力)하고 1929. 11. 3 광주학생운동(光州学生運動)이 일어나자 대시위(大示威)에 참가(參加) 활동(活動)하다 체포(逮捕)되어 징역 1년형(年刑)을 언도(言渡)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보섭
한자명
金普燮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1 ~ 1942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 1929. 광주(光州) 학생사건 관련자 (금고(禁錮) 6월) 2. 1930 독서회(讀書會) 사건으로 3년 6월형 (판결등본)

인물정보

성명
김성남
한자명
金聖男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8 ~ 1955
본적
전라북도 고창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9

공적개요

1925년 4월부터 전북 군산소년회 회장, 군산노동청년회 집행위원으로 활동하다 이듬해 2월 체포되어 불기소되고, 1928년 4월 중국 상해에서 상해한인청년동맹 활동으로 체포되어 면소되었으며 이듬해 3월 군산에서 체포되어 옥고를 치르다 면소 방면됨. 1931년 2월 군산노동조합사건으로 다시 체포되었다가 같은 해 7월 서울에서 격문사건으로 체포되어 징역 8월을 받고, 1933년 2월 조선공산당재건 및 충남전위동맹사건으로 불기소되었으며 이듬해 12월 전북조선공산당재건사건으로 징역 2년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재홍
한자명
金在鴻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9 ~ 미상
본적
평안남도 강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0

공적개요

1919년 3월 3일 평안남도(平安南道) 강서군(江西郡) 읍내에서 다수의 군중과 독립만세 시위를 전개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나석현
한자명
羅碩鉉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1 ~ 1980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28. 6. 29 광주농림학교 재학시 일인(日人) 교유(敎諭) 배척 주모급으로 포체되어 1928. 11. 18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6월 집행유예 4년형을 받었으며, 일본(日本) 동경(東京)에서 일제반제운동을 하다 1933. 1월 귀국하여 야학당을 개설하고 조선역사를 가르치며 독립사상 고취 활동하다 재피검되어 1934. 3. 29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2년 집행유예 5년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나종남
한자명
羅鐘南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09 ~ 1938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

공적개요

1929년 전남 광주고등보통학교 재학중 동맹휴학에 참여하다 퇴학을 받고 1933년 11월 나주에서 경찰에 체포되고 가택수색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박공근
한자명
朴恭根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1 ~ 미상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4

공적개요

1925. 4월 서울에서 개최된 전조선노농대회(全朝鮮勞農大會)의 준비위원(準備委員)으로 활동하였고 1926년 나주청년수양회(羅州靑年修養會) 위원, 전남청년연맹(全南靑年聯盟) 집행위원(執行委員), 1927년에는 조선농민총동맹(朝鮮農民總同盟) 후보위원에 선임되었으며, 1929. 11월 신간회(新幹會) 나주지회(羅州支會) 서무부장(庶務部長)으로 광주학생운동 구속자 석방을 위해 항일전단을 살포하며 시위운동을 주도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형(年刑)을 받았으며, 출옥(出獄) 후 1931년 신간회(新幹會) 전체대회에서 중앙집행위원(中央執行委員)으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박기옥
한자명
朴己玉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3 ~ 1947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

공적개요

1929년 10월말 전남 나주에서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나주역에서 일본인 학생들에게 희롱을 당해 광주학생운동의 도화선이 되었으며, 이후 시험 거부 백지동맹 등 항일시위에 참여하다가 강제 퇴학당함.

인물정보

성명
박동희
한자명
朴東熙
운동계열
노령방면
생몰년도
1898 ~ 1938
본적
함경북도 길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6

공적개요

1920년 중국(中國) 만주(滿洲)의 대한국민회(大韓國民會) 제2 중부지방회(中部地方會)의 제6 지회원(支會員)이었으며, 1923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의 고려공산당(高麗共産黨) 선전부(宣傳部) 스빠스카야 위원장(委員長)으로 활동하고, 동년(同年) 문창범의 명으로 스빠스카야 비행장에서 조종술을 배운 뒤 8윌중 국내로 들어와 소위 일본의 ‘병합기념일’에 관공서의 폭격을 기도하였으며, 1926년 고려공산당 기관지 선봉(先鋒)의 주간(主幹)을 역임하는 등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박준채
한자명
朴準埰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4 ~ 2001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29. 11월 광주학생항일시위의 점화자로서 전국학생운동의 발단이 되어 국민의 민족의식 고취와 항일독립운동에 영향을 준 주동자로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손동출
한자명
孫東出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9 ~ 1971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30.1월 광주고등보통학교(光州高等普通學校) 재학시(在學時) 광주학생운동(光州學生運動)에 가담(加擔)하여 시위 운동(示威運動)에 활동(活動)하고 퇴학(退學)을 당(當)하였으며 1931.4월 나주노동조합(羅州勞動組合)을 조직(組織)하여 청년부(靑年部) 책임자(責任者)가 되어 노동자(勞動者)의 권익 옹호(權益擁護)를 위하여 활동(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 6월, 5년 집행유예(年執行猶豫)을 받았으나 출옥(出獄) 시(時)까지 2년 1월간(月間)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송성수
한자명
宋聖秀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5 ~ 1972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29.6.29. 광주농업학교 재학중(光州農業學校在學中) 동맹휴학(同盟休學)를 주도(主導)하여 일인 교사(日人敎師)를 배척(排斥)하다 징역8월, 집행유예(執行猶豫) 4년을 받았으며 1931.12.19에는 전남노농협의회(全南勞農協議會)에 가입(加入)하여 소작쟁의(小作爭議)등 농민운동(農民運動)을 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2년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승천일
한자명
昇千一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1 ~ 1991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

공적개요

1929년 11월 전남 광주고등보통학교 재학 중 광주학생운동에 참여하여 퇴학 처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양영택
한자명
梁永澤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7 ~ 1982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신간회(新幹會) 나주지회(羅州支會)의 총무(總務)로 1929. 11월 나주(羅州) 장날 광주학생운동(光州學生運動)에 동조하여 박공근(朴恭根) 및 학생들과 함께 나주지역에서 구속학생 석방요구 전단을 살포하며 만세시위를 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10월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르던 중 다시 상해죄(傷害罪)로 징역 4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찬옥
한자명
柳贊玉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6 ~ 1946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1

공적개요

1929년 11월 광주학생독립운동(光州學生獨立運動)이 발발하자 전남(全南) 나주(羅州)에서 동지역의 학생들을 주도하여 항일시위운동을 벌이다 체포되어 징역 10월을 받았으며 옥중(獄中)에서 장진홍(張鎭弘)의 자결(自決), 순국(殉國)사건에 항의하다 8월의 가형(加刑)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렀으며 출옥 후에는 나주노동조합운동(羅州勞動組合運動)에 관련하다가 체포되어 기소유예(起訴猶豫)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윤승현
한자명
尹昇鉉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2 ~ 1950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28년 6월 광주고보맹휴(高普盟休)를 주도하여 퇴학 처분(退學處分)을 받고 1931. 12월 ‘조선독립’(朝鮮獨立)과 반제국주의 동맹(反帝國主義同盟)인 전남 노농협의회(勞農協議會) 결성을 주도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1935. 1. 28 대구복심법원(大邱覆審法院)에서 징역 3년형을 받아 7년 6월간을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계춘
한자명
李啓春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4 ~ 1989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29. 11. 3 광주공립고등보통학교(光州公立高等普通學校), 광주농업학교(光州農業學校) 학생들과 함께 광주 읍내를 시위행진하였으며, 동년(同年) 11월 12일에는 농업학교 학생 2백 여명과 함께 시위행진하다가 피체(被逮)되어 금고(禁錮) 6월 집행유예(執行猶豫) 5년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광춘
한자명
李光春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4 ~ 2010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6

공적개요

1929.10월 전남(全南) 나주(羅州)에서 광주여고보(光州女高普) 3학년 학생으로서 박기옥(朴己玉), 이금자(李錦子) 등 동료 학생들과 함께 기차(汽車)로 통학하던 중 일본인 중학생들이 그녀와 박기옥(朴己玉) 등 여학생들을 희롱하자 광주고보학생(光州高普學生)들과 광주중학교(光州中學校) 일인 학생(日人學生)들이 충돌하여 광주학생운동(光州學生運動)의 촉발계기가 되었으며, 그 후 피체된 학생들의 석방을 주장하며 백지동맹(白紙同盟)을 주도함으로써 학교에서 퇴학을 당하고 일경(日警)에 체포되어 갖은 고문을 당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대기
한자명
李大基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8 ~ 1940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

공적개요

1922. 10월 경(頃) 의용단(義勇團)에 입단(入團)하여 이응수(李應洙), 이종국(李鍾國) 등 여러동지들과 함께 대구(大邱) 동운동(東雲洞) 공설운동장에 모여 각처의 부호들에게서 독립운동 자금을 모으기로 결의하고 경상도(慶尙道) 일대(一帶)에서 군자금(軍資金) 모집(募集)과 동지 포섭(同志包攝) 등의 활동(活動) 중 피체(被逮) 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영범
한자명
李榮範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09 ~ 1961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26. 6월 광주고등보통학교 재학시(光州高等普通學校在學時) 독서회(讀書會)를 비밀결사(秘密結社)하고 동년(同年) 11.3일에 일어난 광주 학생운동 시위(光州學生運動示威)에 참가(參加)하였으며 동년(同年) 11.12 계속(繼續)하여 시위(示威)에 참가(參加) 활동(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형(年刑)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영범
한자명
李榮範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09 ~ 1961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26. 6월 광주고등보통학교 재학시(光州高等普通學校在學時) 독서회(讀書會)를 비밀결사(秘密結社)하고 동년(同年) 11.3일에 일어난 광주 학생운동 시위(光州學生運動示威)에 참가(參加)하였으며 동년(同年) 11.12 계속(繼續)하여 시위(示威)에 참가(參加) 활동(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형(年刑)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용근
한자명
李龍根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3 ~ 1953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5

공적개요

1929. 11. 12 전남(全南) 광주(光州)에서 광주공립농업학교(光州公立農業學校) 학생 2백 여명과 함께 가두시위를 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금고(禁錮) 4월에 집행유예(執行猶豫) 5년을 받고 11월여(月餘)의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창신
한자명
李昌信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

공적개요

1929년 11월 27일 전남 나주에서 나주농업보습학교 재학 중 박공근(朴恭根) 등과 함께 광주학생운동 관련자 석방을 요구하는 선전물을 배포하며 시위운동을 하였으며, 1930년 2월 10일 제2차로 광주학생사건에 동조하는 만세운동에 참여하다 체포, 구금되었다가 2월 17일 석방됨.

인물정보

성명
정우채
한자명
鄭瑀采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1 ~ 1989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

공적개요

1926. 11. 3 광주학생독립운동(光州學生獨立運動)의 핵심 모체(核心母体)가 되었던 성진회(醒進會) 창설(創設) 주역(主役)으로서 동지(同志)를 규합(糾合)하여 일제(日帝)의 식민지 차별교육 반대(植民地差別敎育反對)와 학우(學友)의 무단 퇴학처분(無斷退學處分)에 항거(抗拒)하는 맹휴(盟休)를 주동(主動)하였다가 체포(逮捕)되어 징역 1년형(年刑)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최희선
한자명
崔熙善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0 ~ 1952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

공적개요

1929년 11월 3일 전남 광주고등보통학교 5년 재학 중 광주학생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금고 4월, 집행유예 5년을 받았고 1932년과 1933년 나주노동조합 관련 사건으로 두 차례 체포됨.

인물정보

성명
홍민후
한자명
洪敏厚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09 ~ 1962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

공적개요

1929.11.27 전남(全南) 나주(羅州) 농업보습학교(農業補習學校) 2년생(年生)으로 광주학생(光州學生) 대시위 시(大示威時) 일제(日帝)가 편파적(偏派的)으로 조선인 학생(朝鮮人學生)만을 검거 수감(檢擧收監)하고 있는데 대(對)하여 나주군(羅州郡) 신간회원(新幹會員) 박공근(朴恭根)등과 함께 나주 학생운동(羅州學生運動)을 계획(計劃)하고 「검거자(檢擧者)를 즉시(卽時) 석방(釋放)하라」등의 격문(檄文)을 비밀인쇄(秘密印刷)하여 나주농업보습학교생(羅州農業補習學校生)과 나주보통학교(羅州普通學校) 학생(學生)을 규합(糾合)하여 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를 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8월을 받아 미결기간(未決期間)을 합산(合算)하여 10월 14일간의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3.1운동

사건설명

3.1운동은 우리 민족이 일제의 식민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기미년) 3월 1일 전후로 일으킨 거족적인 독립 만세운동이다.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일본 도쿄의 2.8 독립선언, 고종의 인산일 등을 계기로 계획되어, 마침내 3월 1일 서울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33인에 의한 독립선언서 낭독과 더불어 탑골공원에서 학생들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만세 시위행진을 벌이며 거행되었다. 이날의 거사는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만주, 북미 등 해외 등지에서도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이를 계기로 세계에 우리 민족의 실상을 알림과 동시에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자주 독립사상 고취 등의 의의를 거두었으나, 동시에 일제가 민족 분열을 위해 무단통치 방법을 문화통치로 바꾸는 원인이 되었다.

애국계몽운동

사건설명

애국계몽운동은 교육과 산업, 언론 진흥을 통해 민족의 실력을 키워 국권을 수호하려는 운동으로, 지식인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였다. 대표적인 단체로는 대한자강회, 대한협회, 신민회가 있다.
이와 같은 애국계몽단체의 활동으로는 <제국신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등 신문과 <대한자강회월보>, <대한협회회보> 등 기관지 또는 학회지 발간을 통한 민중계몽운동이 있다. 또한 보광학교, 한남학교 등 학교 설립과 <보통교과동국역사>, <동국사략>, <대동역사략> 등 교과서 편찬을 통한 교육계몽운동, 그리고 국채보상운동 등의 경제구국운동 등을 펼치며 국력을 키우고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한국 광복군

사건설명

한국광복군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규 군대로, 1919년부터 군사조직법 제정을 통해 임시정부의 군대를 창설하려는 노력이 존재했으나 마침내 임시정부가 중국 충칭에 정착하면서 김구 등의 주도하에 1940년 창설되었다. 총사령에 지대형, 참모장에 이범석, 총무처장에 최용덕 등이 임명되었다. 창설 당시 병력은 30여 명에 불과했으나 병력 모집에 몰두하고 1942년 조선의용대의 편입을 거쳐 1945년 4월경에는 564명으로 확대되었다. 1945년, 임시정부의 주석이던 김구는 미국전략사무국 책임자와 공동작전을 협의하여 한국광복군을 국내에 침투시키는 국내진공작전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실행에 옮기기 전, 일본이 항복을 선언하며 한국광복군의 진공작전은 무산되었고, 1946년 해체되었다.

한말 의병운동

사건설명

항일의병운동에는 을미의병, 을사의병, 정미의병이 있다.
1895~1896년의 을미의병은 조선 말기 최초의 대규모 항일의병으로, 을미사변 후 왕후폐위조칙 발표, 단발령 시행을 계기로 일어났다.
전국 각지에서 봉기하여 대개 그 지방의 유명한 유생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대표적으로 유인석, 이필희, 서상렬을 비롯하여 춘천의 이소응, 이천과 여수의 박준영과 김하락, 강릉 여주의 민용호 등이 활약하였다.
1905~1906년의 을사의병은 러일전쟁 발발, 한일의정서 체결 등으로 고조된 항일의식이 1905년 을사늑약 강제 체결을 계기로 폭발한 구국항일의병이다.
대표적으로 최익현 의병진, 신돌석 의병진과 더불어 민종식과 안병찬 등이 주축이 된 홍주의병, 그리고 정환직, 정용기 부자의 산남의진 등이 있다.
1907~1910년의 정미의병은 고종의 강제 퇴위, 정미7조약 체결, 대한제국군대 강제해산 등을 계기로 발생하였다. 특히 1907년 8월 강제로 해산된 군인들의 대일항전에서 비롯되었고, 1906년 후반으로 접어들며 기세가 누그러졌던 을사의병이 이를 계기로 하여 거국적으로 확대 및 발전하였다. 원주진위대 해산군인 민긍호와 박준성, 경상북도의 이강년과 신돌석, 경기도의 허위와 연기우, 장성의 기삼연, 함평의 김태원과 심남일, 무주의 문태수, 임실의 이석용 등이 활약하였다.

의열단/의열투쟁

사건설명

의열투쟁이란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일제를 상대로 벌인 무력 투쟁을 일컫는다. 192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이어졌고, 한국 독립운동사의 매우 중요한 항일 투쟁 방식 중 하나이다.
의열단은 의열투쟁을 전개한 대표적인 단체이다. 1919년 만주에서 조직된 항일 무력독립운동 단체로, 김원봉, 윤세주, 황상규 등이 활동하였다. 1919년의 거족적인 3.1운동을 겪은 뒤, 해외로 독립운동기지를 옮긴 애국지사들은 강력한 일제의 무력에 대항해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서는 보다 조직적이고 강력한 독립운동단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계기로 1919년 11월 의열단이 조직되어 1920년대에 활발히 활동하였으며, 조국 독립을 위해 과격한 적극 투쟁과 희생정신을 강조하였다.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조선총독부 투탄의거, 종로경찰서 폭탄누척의거 등이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사건설명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19년부터 1945년까지 민주공화제의 독립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주권 자치를 실현하였던 임시정부이다.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되기 전부터 임시정부 수립에 대한 요구가 존재했으나, 3.1운동과 동시에 임시정부 수립 운동이 일어나면서 마침내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 수립되었다. 각료에는 임시의정원 의장 이동녕, 국무총리 이승만, 내무총장 안창호, 외무총장 김규식, 법무총장 이시영, 재무총장 최재형, 군무총장 이동휘, 교통총장 문창범 등이 임명되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파견하는 등 외교활동과 더불어 이봉창과 윤봉길의 의거와 같은 의열투쟁, 육군무관학교 및 비행사양성소 설립, 한국광복군 창설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학생독립운동

사건설명

우리 민족이 1945년 독립을 이루기까지 학생들은 조국 독립을 위해 여러 투쟁을 계속하였다.
구한말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여 학생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국권 수호를 위한 투쟁의 선봉에 섰으며, 농촌계몽 및 야학 등의 활동으로 국민의 자주 의식을 고취했다. 1919년 2월 8일에는 일본 도쿄에서 유학생들이 모여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고, 그 영향을 받은 3.1운동 또한 유관순, 어윤희 등 학생들을 주체 세력으로 전개되었다. 1926년에는 학생 중심의 6.10만세운동이 전개되었는데, 전문학교 학생 이병립, 이병호, 이천진, 박두종 등과 중앙고보와 중동학교 학생 박용규, 곽대형, 김재문 등의 학생들이 주도하여 전개되었다. 1929년 10월에는 나주역에서 일본인 학생들이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학생 박기옥, 이금자, 이광춘 등을 희롱하는 사건을 계기로 광주학생항일운동이 일어났고, 이것이 확산되어 대구, 부산 등 주변 지역에서도 학생항일운동이 전개되었다. 그 밖에도 부산의 노다이사건, 대구사범학교 왜관사건 등 학생들이 주도하여 일어난 여러 항일운동으로 하여금 학생들의 조선독립정신은 지속되어 왔다.

동학농민혁명

사건설명

동학농민혁명은 최제우가 창시한 동학에 기초를 둔 반봉건, 반외세적 성격의 농민민중항쟁이다. 1894년에 전라도 고부의 동학 접주 전봉준을 지도자로 동학교도와 농민들이 합세하여 일으켰다. 총 2차에 걸쳐 전개되었는데, 1차 봉기는 전라도 고부 지방의 관리 조병갑의 횡포와 동학교도 탄압에 대항하여 발생하였고, 이후 동학군의 해산에도 불구하고 일제가 내정간섭, 청일전쟁, 갑오개혁 등을 강행하자 반외세를 외치며 2차로 봉기하였다. 그러나 결국 우금치전투에서 관군과 일본군에 패하고 1895년 1월 전봉준에 이어 손화중 등 동학농민 지도부 대부분이 체포되고 교수형에 처해지면서 동학농민혁명은 실패로 막을 내리게 되었다. 그러나 동학농민군은 후에 일어난 항일의병항쟁의 중심 세력이 되었다.

국내 항일 운동

사건설명

조선 땅에 잔혹한 일제의 지배가 드리워진 암울한 시기에도 우리 민족은 독립을 목적으로 주력하기를 그치지 않았다. 독립지사들은 국내 독립운동을 위한 여러 단체를 조직하였는데, 기독교 등 종교와 결합하거나 농민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는 등 성격이 다양했다. 그들은 친일부호를 처단하고 독립군을 양성함과 동시에 3.1운동의 계획을 세우거나 군자금을 모집하여 국내 독립운동단체의 존속을 지원하였다. 더불어 선전물을 배포하고 야학을 설치하여 식민지 수탈의 실상과 독립 달성을 역설하며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해외 항일 운동

사건설명

독립운동을 위한 열망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들끓었다. 우리 민족은 구주(유럽), 노령(러시아의 시베리아 일대), 만주, 미주,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등에서 활동하며, 위치한 곳과 상관없이 오직 조국 독립의 목적을 위해 몸과 마음을 바쳐 독립운동에 매진하였다.
독립지사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항일의식교육을 펼치고 독립군 양성을 도모하였다. 또한 프랑스의 파리강화회의에 독립청원서를 보내고 유럽 등지에 우리 민족의 참혹한 실상을 알리는 등, 여러 방면에서 조국의 독립을 호소하였다.

기타

사건설명

1894년 동학농민운동을 시작으로 1945년 광복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은 오직 정의롭고 자주적인 국가를 위해 힘써왔다. 우리는 그 과정에서 목숨을 바쳐 투쟁하고 희생된 애국지사들의 넋을 기리고 그 흔적을 기억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