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유돌이
한자명
劉乭伊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5 ~ 1929
본적
경상북도 청송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7년

공적개요

1906년 경 경북(慶北) 청송(靑松)․울진군(蔚珍郡) 등지에서 의병(義兵)활동에 참여하여 무기와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 활동하다 체포되어 유형(流刑) 10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유동렬
한자명
柳東烈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5 ~ 1974
본적
전라북도 장수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3.19 전북(全北) 장수군(長水郡) 산서면(山西面) 동화(桐花)장터에서 박정주 등(朴政柱等)과 같이 주민(住民)을 규합(糾合), 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를 하다 피체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유동렬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유동렬
한자명
柳東烈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1956
본적
충청남도 서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3.4 충남(忠南) 서산군(瑞山郡) 운산면(雲山面)에서 태극기를 제작하는 등 만세시위 거사를 준비한 후 천의(天宜)장터에서 다수의 군중들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시위를 벌이다가 피체(被逮)되어 태(笞)90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동면
한자명
兪東勉
운동계열
미주방면
생몰년도
1877 ~ 1948
본적
경기도 양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7년

공적개요

1921.10.23 미국(美國) 하와이에서 조직된 대조선 국민대표기성회의 위원으로 활동하고 그 후 1935.1월 하와이 대한인국민회 부회장을 역임하였으며 1936.1월 하와이 대한인국민총회 부회장 후보, 1944.5.1 재미한족 연합위원회 활동 중 임정 지원 자금(臨政支援資金) 헌납, 동년(同年) 5월 독립당 하와이 총지부원, 그 밖에 1937~1945년까지 수십차례에 걸쳐 독립군자금을 헌납하는 등의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동복
한자명
柳東馥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9 ~ 1960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1일 경북 안동군 임동면 편항시장에서 유연성(柳淵成) 등이 주도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치고 헌병주재소를 습격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집행유예 3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유동수
한자명
柳東壽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8 ~ 1983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 1 독립만세 운동(獨立万歲運動)에 족친(族親) 유연기(柳淵琦)와 함께 편항(鞭巷)장날을 기(期)하여 만세 시위(万歲示威)를 감행(敢行)하고 일 주재소(日駐在所) 사택(舍宅) 2동(棟)과 기물(器物) 서류(書類) 등을 파기(破棄)하다 징역1년 집행유예(執行猶豫)3년을 받았으며 1920-1922. 5월까지 임시정부 요인(臨時政府要人)의 비밀 지시(秘密指示)를 받고 군자금 모집(軍資金募集)에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유동수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유동수
한자명
柳東洙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7 ~ 1978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 21 안동군(安東郡) 임동시장(臨東市場) 3.1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에서 주동자(主動者)로서 총지휘(總指揮)하다 피체(被逮)되어 동년(同年) 10. 16 고등법원(高等法院)에서 징역 6년형(年刑)이 확정(確定)되여 복역(服役)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동열
한자명
柳東說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879 ~ 1950
본적
평안북도 박천
포상훈격
대통령장
포상년도
1989년

공적개요

1906년 신민회(新民會)에 가입(加入)한 이래(以來) 임시정부(臨時政府)의 군부 요직(軍部要職)을 두루 거쳤으며 만주(滿洲)에 파견(派遣)되어 무장 항일투쟁(武裝抗日鬪爭)을 지휘(指揮)하다가 1931년 일제(日帝)가 만주(滿洲)를 석권(席捲)하자 다시 임시정부(臨時政府)에 합류(合流)하여 의정원 의원(議政院議員) 국무위원(國務委員) 등으로 활약(活躍)하였고 3당통합운동(黨統合運動)을 벌여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의 중앙집행위원(中央執行委員)으로 임시정부(臨時政府)를 지원(支援)하는 등 현저(顯著)한 활동을 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동창
한자명
柳東暢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8 ~ 1988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안동 편항(安東鞭巷)에서 만세시위에 가담 2년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동하
한자명
劉東夏
운동계열
의열투쟁
생몰년도
1892 ~ 1918
본적
함경남도 덕원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88년

공적개요

1909년 10월 침략(侵略)의 원흉(元兇) 이등박문(伊藤博文)이 꼬꼬흐체프 노국(露國) 재정대신(財政大臣)과 회담(會談)하기 위하여 만주(滿洲) 합이빈(哈爾濱)에 내도(來到)함을 탐지(探知)하여 합이빈(哈爾濱) 역두(驛頭)에서 주살계획(誅殺計劃)을 세운 안중근(安重根)을 동행(同行)하였으며 이등박문(伊藤博文)의 합이빈(哈爾濱) 도착일시(到着日時)를 타전(打電)하고 주살(誅殺) 후에는 조선만세(朝鮮萬歲)를 고창(高唱)하다 피체(被逮)되어 1910. 2. 14 징역 1년 6월형을 받고 만기(滿期) 출옥(出獄)함

인물정보

성명
유동혁
한자명
柳東爀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1 ~ 1920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 3. 21 경북 안동군 임동면 편항(鞭巷)장날에 모인 1,000여 명의 시위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편항주재소(鞭巷駐在所)와 신덕주재소(新德駐在所)를 습격하고 기물을 파괴하는 동시 적경의 총, 칼, 탄환 등을 탈취하며 활동하다 피체되어 징역 2년을 받아 복역 중 옥중사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유돈상

한자명

柳敦相

생몰년도

1894 ~ 1935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3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유돌이

한자명

劉乭伊

생몰년도

1865 ~ 1929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7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청송

자세히 보기

성명

유동렬

한자명

柳東烈

생몰년도

1895 ~ 197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장수

자세히 보기

성명

유동렬

한자명

柳東烈

생몰년도

1896 ~ 195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서산

자세히 보기

성명

유동면

한자명

兪東勉

생몰년도

1877 ~ 1948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훈격

1997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양주

자세히 보기

성명

유동복

한자명

柳東馥

생몰년도

1899 ~ 196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유동수

한자명

柳東壽

생몰년도

1898 ~ 198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유동수

한자명

柳東洙

생몰년도

1887 ~ 1978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유동열

한자명

柳東說

생몰년도

1879 ~ 1950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훈격

1989대통령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박천

자세히 보기

성명

유동창

한자명

柳東暢

생몰년도

1898 ~ 1988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유동하

한자명

劉東夏

생몰년도

1892 ~ 1918

운동계열

의열투쟁

포상훈격

1988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남도 덕원

자세히 보기

성명

유동혁

한자명

柳東爀

생몰년도

1891 ~ 192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