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양봉식
한자명
梁鳳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2 ~ 1950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 4. 3 충북(忠北) 영동군(永同郡) 학산면(鶴山面)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주동하고 오후 4시경 서산리(鋤山里) 장터에 모인 300여 명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장터를 누비고 시위한 후 8시에는 200여 명이 다시 모여 학산면사무소로 몰려가서 가식되어 있는 뽕나무 2만 8천여본을 뽑아 소각하다가 피체되어 징역 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봉원
한자명
梁奉源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0 ~ 미상
본적
경상남도 하동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9년 4월경 경남 하동군 화개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군중들과 함께 만세시위를 벌이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5월, 집행유예 3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양봉이
한자명
梁奉伊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3 ~ 1968
본적
전라남도 무안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26년 1월 전남 무안군 자은면에서 자은소작인회 회원으로 지주들의 부당한 소작료 징수와 이에 항의하는 주민들의 벼 등의 재산에 대한 가차압 에 반대하여 집달리를 억류하고 가차압 표지를 파손하게 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 집행유예 2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양봉제
한자명
梁鳳濟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6 ~ 미상
본적
평안북도 희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3년

공적개요

1922년 평북(平北) 강계군(江界郡)에서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 소속으로 군자금을 모집하다 일본군과 교전하고, 1924년 5~9월 평북(平北) 위원군(渭原郡) 화창면(和昌面)에서 참의부(參議府) 소속으로 경찰관 주재소(警察官駐在所)를 공격했으며, 1928년 10월 참의부(參議府) 중대장대리(中隊長代理)‧소대장(小隊長)으로 활동하다 친일단체 한족동향회(韓族同鄕會)의 밀고로 체포되어 1932년 3월 징역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봉조
한자명
梁奉祚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8 ~ 1951
본적
평안북도 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19. 3. 3 평북 의주군 비현면 체마동에서 군중들과 함께 조선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만세시위를 벌이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사연
한자명
梁士然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8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08. 4. 17 충북(忠北) 일대에서 의병(義兵)으로 활동하던 중 일군(日軍)에 피체(被逮)되자 탈출을 기도(企圖)하다가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상기
한자명
梁相基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3 ~ 1910
본적
전라남도 광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후기 호남도단위 의병장으로 광주(光州), 화순(和順), 담양(潭陽), 남경(南京) 등지에서 일 수비대와 교전하여 전과를 거양하였으며, 의병을 모집하여 창의대장으로 활약하다가 1908. 12월 체포되어 1910. 8. 1 사형이 언도되어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상길
한자명
梁相吉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1 ~ 1920
본적
전라남도 화순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양회일(梁會一)의 창의에 종질 양열묵(梁烈黙)과 뜻을 같이하여 쌍산의소(雙山義所)에서 훈련받아 전남(全南) 능주(綾州) 일본군을 습격하고 광주로 진격한 후, 화순 전투에서 양회일과 함께 체포되어 강진옥(康津獄)에서 구류되었다가 풀려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상옥
한자명
梁相玉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6 ~ 192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7년

공적개요

1920년 10월부터 11월까지의 ‘경신참변(庚申慘變)’ 당시 중국(中國) 화룡현(和龍縣) 무관둔구(茂官屯溝)에 은닉한 소총과 폭탄이 발각되어 동년(同年) 11월 13일 일본군(日本軍)에게 총살당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석두
한자명
梁石斗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57 ~ 미상
본적
황해도 수안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2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일 오관옥으로부터 3월 3일 황해도(黃海道) 수안(遂安)에서의 시위계획을 듣고 찬동한 후 다음날인 3월 3일 오후 수안(遂安) 헌병분대 앞에서 헌병분대장에게 헌병분소의 인도를 요구하며 시위운동을 전개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 3월을 받은 사실(事實)이 확인(確認)됨.

인물정보

성명
양석룡
한자명
楊錫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2 ~ 1942
본적
경상남도 울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19. 4. 4 경남 울산군 하상면 서리(西里)의 일신(日新)학교내에서 조선독립을 목적으로 미리 준비한 독립선언서 및 태극기를 배포하며, 동지를 규합한 후 군중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고 ‘대한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위행진하다 피체되어 징역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양석룡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양석순
한자명
梁石巡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0 ~ 1958
본적
전라남도 완도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33년 2월경 전남 완도군에서 완도운동협의회에 가입하여 농민반원 및 청년반원으로 활동하다 체포되어 목포검사분국으로 송치됨.

양석순의 발자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양봉식

한자명

梁鳳植

생몰년도

1882 ~ 195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영동

자세히 보기

성명

양봉원

한자명

梁奉源

생몰년도

1900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남도 하동

자세히 보기

성명

양봉이

한자명

梁奉伊

생몰년도

1893 ~ 1968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무안

자세히 보기

성명

양봉제

한자명

梁鳳濟

생몰년도

1896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3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희천

자세히 보기

성명

양봉조

한자명

梁奉祚

생몰년도

1888 ~ 195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3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의주

자세히 보기

성명

양사연

한자명

梁士然

생몰년도

미상 ~ 1908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양상기

한자명

梁相基

생몰년도

1883 ~ 1910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광산

자세히 보기

성명

양상길

한자명

梁相吉

생몰년도

1861 ~ 1920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5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화순

자세히 보기

성명

양상옥

한자명

梁相玉

생몰년도

1896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07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양석두

한자명

梁石斗

생몰년도

1857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2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황해도 수안

자세히 보기

성명

양석룡

한자명

楊錫龍

생몰년도

1892 ~ 194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울산

자세히 보기

성명

양석순

한자명

梁石巡

생몰년도

1910 ~ 1958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완도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