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양계갑
한자명
梁癸甲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1 ~ 미상
본적
함경북도 길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6년

공적개요

1924년 음(陰) 2월~ 5월 중국(中國)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용지사(龍智社) 대허문리(大許文里) 서구촌(西溝村), 대문동(大門洞), 동사(同社) 망봉촌(網鳳村), 용하동(龍河洞), 대흥촌(大興村), 태흥촌(泰興村), 장암동(獐岩洞) 삼구촌(三區村), 동성(同省) 화룡현(和龍縣) 덕신사(德信社) 창동(彰洞) 등지에서 군자금 모집(軍資金募集)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10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양계은
한자명
梁啓殷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2 ~ 미상
본적
황해도 수안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1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3일 황해도(黃海道) 수안군(遂安郡) 수안읍내(遂安邑內)에서 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근환
한자명
梁槿煥
운동계열
일본방면
생몰년도
1894 ~ 1950
본적
황해도 연백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80년

공적개요

1921. 2. 26 친일분자 민원식(閔元植)이 일본중의원 선거법 시행(日本衆議院選擧法施行) 청원운동(請願運動)을 위해 일본 동경(日本東京)에 체류중(滯留中)임을 분개 단도(憤慨短刀)로 암살함으로써 피체되어 1921. 7. 2 동경재판소(東京裁判所)에서 무기징역(無期懲役)을 언도받고 옥고하다가 1933. 2. 11 출옥한 현저(顯著)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금동
한자명
梁今童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4 ~ 1979
본적
경기도 이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9년 3월경 경기도 이천군 마장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태 60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양기준
한자명
梁基俊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1976
본적
전라북도 옥구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5일 전북(全北) 옥구군(沃溝郡) 개정면(開井面) 구암리(龜岩里)에서 영명학교(永明學校) 교사(敎師) 박연세(朴淵世)등이 계획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군산부(群山府)까지 태극기를 흔들고 선언서를 배포하며 독립만세를 고창하는 등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양기준
한자명
梁基俊
운동계열
미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50
본적
미상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10년 미국 하와이에서 대한인국민회 리휘지방회 서기, 1914년 하나마루지방회 서기, 1921년 대조선독립단 포와지부 총단 협리부장 등으로 활동하며 의연금 모집과 단원들의 단결을 촉구하는 통지서를 반포함. 1942년 대한인국민회 와히아와지방회 총무와 1944년 재무, 동년 한국독립당 하와이 총지부 고문부 서기 등으로 활동함. 1913∼1945년 여러 차례 공채 구입 및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인물정보

성명
양기탁
한자명
梁起鐸
운동계열
계몽운동
생몰년도
1871 ~ 1938
본적
평안남도 강서
포상훈격
대통령장
포상년도
1962년

공적개요

1. 1905년 을사보호조약(乙巳保護條約)후 고종(高宗)의 후원을 얻어 영인(英人)「벳셀」과 같이「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를 발행하고 안창호(安昌浩)와 신민회(新民會)를 조직하고 그 회장이 됨 2. 1911년 사내총독(寺內總督) 암살하려든 105인사건에 10년 언도를 받었으나 특사(特赦)되어 해외로 망명 독립운동을 하다가 실패하여 완도(莞島)로 유배(流配) 3. 동아일보(東亞日報) 창간과 동시에 고문(顧問)으로 있다가 남만주(南滿洲)로 망명하여 오동진(吳東振)과 협력하여 광복군(光復軍)을 조직하였고 유동열(柳東悅)과 고려혁명당(高麗革命黨)을 조직하였고 상해 임시정부(上海臨時政府)에 가담 독립운동 하다가 1938년 중국에서 병사(病死)

인물정보

성명
양기하
한자명
梁基瑕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78 ~ 1932
본적
충청남도 논산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3년

공적개요

1. 구한말엽(舊韓末葉) 공주군수(公州郡守)를 역임(歷任)하였으며 경술국치(庚戌國恥) 후(後) 만주(滿洲)로 망명하여 한교 교육사업(韓僑敎育事業)에 종사하였으며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 조직(組織) 후(後) 교통부장(交通部長)에 피임(被任)되고 2. 1920년 광복군 사령부(光復軍司令部) 선전부장(宣傳部長), 동 참이부(同參理部) 정보국장(情報局長)에 선임(選任)되고 3. 1922년 상해 법계(上海法界) 맥새이제라로(麥賽爾帝羅路) 24호(號)에서 김구(金九) 등 6인과 한국독립에 필요한 실력양성을 위한 군인 양성 급(軍人養成及) 전비조성(戰費造成)을 목적으로 하는 노병회(勞兵會)를 발기조직할 것을 협의 10월 7일 노병회 기초위원 선정(勞兵會起草委員選定)에 참여. 4. 1927년 임정으로부터 제3행정구 위원장(第三行政區委員長), 교육위원장(敎育委員長)에 임명(任命)됨. 5. 1929년 관전현(寬甸縣)에서 일인(日人)의 습격을 받어 부하 10여인과 공히 피살. (조선민족운동연감(朝鮮民族運動年鑑) p.170, 171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252, 281 항일순국의열사전(抗日殉國義烈士傳) p.133,291)

인물정보

성명
양기형
한자명
梁基亨
운동계열
일본방면
생몰년도
1916 ~ 1947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8년

공적개요

1932년 일본공산청년동맹(日本共産靑年同盟) 중앙집행위원회(中央執行委員會)의 ‘조선독립’(朝鮮獨立)을 지지와 천황제(天皇制) ‘타도(打倒)를 위한 공동투쟁, 조선공산청년동맹(朝鮮共産靑年同盟)의 재건 방침에 따라 1934년 2월 경 일본(日本) 대판(大阪)에서 일본공산청년동맹(日本共産靑年同盟) 산하 관서지방위원회준비회(關西地方委員會準備會)에서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 집행유예(執行猶豫) 5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양기환
한자명
梁箕煥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2 ~ 1957
본적
충청남도 홍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1-2일경 충남(忠南) 홍성군(洪城郡) 홍성시장(洪城市場) 등지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가 일경(日警)에게 피체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양기환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양길웅
한자명
梁吉雄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2 ~ 2007
본적
전라북도 임실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43.5월 일군(日軍) 해군 군속(海軍軍屬)으로 있다가 귀국(歸國)하여 남양군도(南洋群島) 뉴조지아도(島)에서 해군시설공사(海軍施設工事)에 종사(從事)하면서 알고있는 솔로몬도(島) 근역(近域)의 전황(戰況)을 동지(同志)인 원봉운(元奉云)에게「작년(昨年) 5월경(月頃) 미일 해전(美日海戰)에서 미군함(美軍艦) 2척(隻)과 일군(日軍) 측(側) 군함(軍艦) 5척(隻)이 격침(擊沈)되고 다수 전사자(多數戰死者)가 발생(發生)하였는데도 미국군함(美國軍艦) 2척(隻)만 격침(擊沈)된 것으로 신문 보도(新聞報道)된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말하였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남구
한자명
梁南球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2 ~ 1976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8년 9월 김영일 외 7명과 같이 남제주(南濟州) 중문면(面) 주민들을 선동(煽動) 일경(日警) 축출(逐出) 시위(示威) 및 중문주재소(駐在所)를 습격한 사건으로 피체 1919. 2. 5 광주지법목포지청(光州地法木浦支廳)에서 소요죄(騷擾罪)로 징역 4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양계갑

한자명

梁癸甲

생몰년도

1891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6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북도 길주

자세히 보기

성명

양계은

한자명

梁啓殷

생몰년도

1882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1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황해도 수안

자세히 보기

성명

양근환

한자명

梁槿煥

생몰년도

1894 ~ 1950

운동계열

일본방면

포상훈격

1980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연백

자세히 보기

성명

양금동

한자명

梁今童

생몰년도

1894 ~ 197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이천

자세히 보기

성명

양기준

한자명

梁基俊

생몰년도

1896 ~ 197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옥구

자세히 보기

성명

양기준

한자명

梁基俊

생몰년도

미상 ~ 1950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훈격

202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양기탁

한자명

梁起鐸

생몰년도

1871 ~ 1938

운동계열

계몽운동

포상훈격

1962대통령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남도 강서

자세히 보기

성명

양기하

한자명

梁基瑕

생몰년도

1878 ~ 1932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63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논산

자세히 보기

성명

양기형

한자명

梁基亨

생몰년도

1916 ~ 1947

운동계열

일본방면

포상훈격

2018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제주도 제주

자세히 보기

성명

양기환

한자명

梁箕煥

생몰년도

1892 ~ 195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홍성

자세히 보기

성명

양길웅

한자명

梁吉雄

생몰년도

1922 ~ 2007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임실

자세히 보기

성명

양남구

한자명

梁南球

생몰년도

1892 ~ 1976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제주도 제주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