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신창주
한자명
辛昌珠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미상
본적
경상남도 마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19년 3월경 경남 마산부(현 경남 창원시)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군중과 함께 만세시위를 벌이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4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신창진
한자명
愼昌珍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4 ~ 1940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31. 3. 9 제주공립농업학교(濟州公立農業學校)를 졸업시 평소 학교(學校) 당국의 처사에 불만을 품어 오던 중 부당하게 퇴학처분을 당한 김원요(金源堯)가 수감되자 일본인(日本人) 학교장(學校長)의 관사와 교무실(敎務室)을 습격, 기물을 파괴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 집행유예(執行猶豫) 5년을 받았으나 미결(未決)로 1년여(年餘)의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신창진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신창현
한자명
申昌鉉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1 ~ 미상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대한제국군(大韓帝國軍) 기병(騎兵)으로서 군대해산(軍隊解散) 후인 1907년 음력(陰曆) 7월부터 2개월간 경기(京畿) 이천군(利川郡)에서 김봉기(金鳳基) 의병진(義兵陣)에 가담하여 2차에 걸쳐 일본군과 교전하였으며, 같은 해 음력(陰曆) 8월 조인환(曺仁煥) 의병진(義兵陣)에 가담하여 경기(京畿) 광주군(廣州郡) 분원(分院)에서 일본군과 교전(交戰)하고 조인환을 대신하여 의병장(義兵將)이 되어 3백여명의 군사들을 인솔하고 양근(楊根), 광주군(廣州郡) 일대에서 활동, 같은 해 9월 강원(江原) 인제군(麟蹄郡)에서 민긍호(閔肯鎬) 의병진(義兵陣)을 비롯한 제 의병진과 연합하여 여러 차례에 걸쳐 일본군과 교전하였고, 같은 해 10월에도 강원도(江原道) 양양(襄陽), 춘천(春川), 충북(忠北) 쌍호(雙湖), 경북(慶北) 송면장(松面場)에서 일본군과 교전(交戰)하는 등 활동하다가 1908년 음력 5월 피체(被逮)되어 종신(終身) 유형(流刑)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신창화
한자명
申昌和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6 ~ 미상
본적
함경북도 경성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6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9일부터 동월 14일까지 함북(咸北) 경성군(鏡城郡) 용성면(龍城面) 천도교(天道敎) 경성대교구실(鏡城大敎區室)에서 독립만세운동을 계획하고 교도들에게 시위에 참가할 것을 권유하고 그 뜻을 타인에게 전달할 것을 선전하는 등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8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신창희
한자명
申昌熙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877 ~ 1926
본적
외국 중국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21년 5월 중국(中國) 안동현(安東縣)에서 미국에서 개최되는 만국야소교면려총회(萬國耶蘇敎勉勵總會)에 참가하고자 상해(上海)로 도항하고, 동년(同年) 7월 중국(中國) 안동현(安東縣)에서 상해임시정부원으로서 이륭양행과 관계를 가지고 군자금 모금 및 독립운동가들의 편익을 위해 활동하였으며, 1922년 상해임시정부 군의(軍醫), 신한청년당(新韓靑年黨) 당원 등으로 활동하였고, 동년(同年) 4월 대한적십자회 상의원(常議員)으로서 조선인 구제를 위한 의연금(義捐金) 모금 활동 등을 전개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신창희
한자명
申昌喜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906 ~ 1990
본적
충청북도 청원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8년

공적개요

1921년경부터 중국(中國) 상해(上海)에서 민필호(閔弼鎬) 등의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활동을 지원하고, 1943년부터 해방 때까지 중경(重慶)에서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 당원(黨員)으로 활동함.

인물정보

성명
신채호
한자명
申采浩
운동계열
계몽운동
생몰년도
1880 ~ 1936
본적
충청북도 청주
포상훈격
대통령장
포상년도
1962년

공적개요

신채호(1880-1936)는 충청북도 청주 사람으로, 호는 단재(丹齋)이다. 신채호는 1898년에 성균관에 입교했다가, 독립협회(獨立協會)에 가입했고, 만민공동회 운동 때에는 간부급으로 적극적 활동을 전개했으나 그 해 연말에 독립협회가 해산당할 때 일시 투옥되었다. 독립협회 해산 후에는 태어나 자란 문의군으로 돌아와 문동학원(文東學院) 등에서 신교육에 종사하였고, 1904년에는 신규식(申圭植), 신백우(申伯雨) 등과 함께 산동학당(山東學堂)이라는 신식학교를 설립하였다. 1905년에는 장지연(張志淵)의 요청으로 『황성신문(皇城新聞)』의 논설 기자가 되어 활동하였다. 그해 11월 18일에 소위 을사늑약이 강제 체결되고 일제가 이를 비밀에 부치자, 장지연이 1905년 11월 20일 자 『황성신문』에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이라는 논설을 기표하여 이를 폭로 규탄하자 『황성신문』이 무기 정간되었다. 이에 양기탁(梁起鐸)의 요청으로 『대한매일신보(大韓每日申報)』의 논설 기자로 활동하였다. 『대한매일신보』는 발행인이 외국인이어서 일제의 사전 검열을 받지 않았으므로, 신채호는 신문을 통해 일본 제국주의의 침략과 친일파의 매국 행위를 통렬하게 비판하고 국권회복에 온 국민이 성력을 다할 것을 계몽하였다. 1907년 4월에 양기탁, 안창호(安昌浩) 등을 중심으로 국권회복운동의 비밀 결사로서 신민회(新民會)가 창건되자 이에 가입하여 그 주요회원으로 활동하였다. 신채호는 신민회의 이념과 목표를 그의 논설 속에 충실하게 반영하여 국민을 계몽했으며, 신민회의 대변인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였다. 그중 하나로, 신채호가 『대한매일신보』에 연재한 「이십세기 신국민(二十世紀 新國民)」은 신민회의 이념을 국민에게 잘 천명한 대표적 논설이었다. 그 밖에도 합법단체로서의 기호흥학회(畿湖興學會)에 가입하여 『기호흥학회월보』에 애국계몽논설들을 발표했으며, 『대한협회월보(大韓協會月報)』에도 다수의 애국계몽논설들을 발표하였다. 또한 그는 주시경(周時經)과 함께 국문 전용의 여성잡지인 『가영잡지』의 편집인이 되어 부인 층의 계몽에도 노력하였다. 또한 애국계몽운동기에는 『독사신론』 (1908), 『을지문덕(乙支文德)』 (1908), 『수군제일위인 이순신전(水軍第一偉人 李舜臣傳)』 (1908), 『동국거걸 최도통전(東國巨傑 崔都統傳)』 (1909), 『대동사천년사(大東四千年史)』 (1910, 실전) 등을 저술하여 근대민족사학을 수립하는 위대한 업적을 이룩하였다. 당시 문화계에는 존화사관(중국을 세계 문명의 중심으로 생각하여 동경하는 사상)에 젖은 중세유교 사학과 더불어서, 일본 사학자들이 근대사학의 명목하에 『조선사(朝鮮史)』 등을 새로 저술하여 조선이 고대 이래 중국과 일본에 복속했으며 일본은 가야에 임나일본부(任那日本府)를 설치하여 남한을 지배했다는 등의 초기 식민주의사관을 지어내어 퍼뜨리면서 일본제국주의의 한국침략을 위한 정신운동을 전개하고 있었다. 신채호는 국권 회복을 위하여 가장 중요한 원동력인 국민의 애국심을 계발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민족주의적 역사를 저술하여 온 국민에게 읽히는 일이 가장 시급하고 중요함을 통감하였다. 이를 계기로 격렬한 필치로 존화주의에 젖은 중세 사학을 비판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일제의 초기 식민주의사관의 거짓 학설에 학문적 투쟁을 전개하였다. 동시에 새로운 근대 민족주의사관에 의하여 한국 역사를 새로이 체계화하는 위의 저서들을 저술함으로써 한국의 근대민족사학을 확립한 위대한 업적을 이루었다. 1910년 4월에 신민회가 국외 독립군 기지 창건을 위하여 신민회 간부 일부를 망명시키게 되자, 신창호도 함께 국외로 망명하였다. 1911년 12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이상설(李相卨), 최재형(崔在亨), 정재관(鄭在寬) 등이 중심이 되어 교민단체인 권업회(勸業會)를 조직하고 기관지 『권업신문(勸業新聞)』을 창간하게 되자 그 주필로 활동하였다. 신채호는 『권업신문』을 통하여 노령과 만주의 동포들에게 독립사상을 고취하고 교민들의 권익을 옹호하는 문필활동을 하였다. 또한 1912년에는 윤세복(尹世復). 이동휘(李東輝), 이 갑(李甲) 등의 동지들과 함께 광복회(光復會)를 조직하여 그 부회장을 맡아 활동하였다. 광복회는 1910년대의 중요한 독립운동 단체로 국내외에서 1918년까지 활동하였다. 또한 1914년에 윤세복이 경영하는 동창학교(東昌學校)에서 청소년들에게 국사 교육을 시키는 한편 《조선사(朝鮮史)》(失傅)을 저술하였다. 이 시기에 만주 일대의 고구려 유적을 답사하여 그의 민족사학의 실증적 토대를 더욱 발전시키고 북경에 이주하여 국사연구와 문필활동에 종사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1919년에 3.1운동이 일어나자, 북경으로부터 상해로 가서 1919년 4월 10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을 위한 최초의 29인의 모임(임시정부 발기회의)에 참가하였다. 그러나 이 회의에서 성립된 의정원이 이승만을 국무총리로 추대하자, 이승만이 2개월 전에 미국 대통령 윌슨에게 한국에 대한 국제연맹의 위임통치를 청원한 사실이 있음을 들어서 이에 반대하고 퇴장하였다. 제2회 의정원 회의에서 의정원의원으로 선출되었으며, 제5회 의정원 회의에서는 전원위원회(全員委員會) 위원장과 충청도 위원에 선출되었다. 1919년 9월에 상해 임시정부가 노령임시정부(국민의회)와 한성임시정부를 통합하여 통합 임시정부로 발전할 때 이승만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자 분개하여 임시정부와 결별을 선언하고 반(反) 임시정부의 노선을 취하였다. 1919년 10월에 상해에서 『신대한(新大韓)』지를 발행하여 무장투쟁 노선을 지지하는 언론 활동을 했으며, 남형우(南亨祐) 등 동지들과 함께 「신대한동맹단(新大韓同盟團)」을 조직하여 그 부단장으로 활동하였다. 1920년 4월에 『신대한』지의 발행이 중단되자, 북경으로 이주하여 박용만(朴容萬) 등 동지 50여 명과 함께 『제이회보합단(第二回普合團)』을 조직하고 그 내임장(內任長)을 담당하였다. 「제이회보합단」은 독립군단체 「보합단」을 계승한 단체로서 무장군사활동을 유일한 독립운동방략으로 채택한 독립운동단체였다. 1920년 9월에는 박용만, 신 숙(申肅) 등과 함께 「군사통일촉성회(軍事統一促成會)」를 조직하여 분산된 독립군 부대들의 지휘계통과 독립운동 방향의 통일을 추구하였는데, 이때 신채호는 무장투쟁을 통한 독립운동을 주장하였다. 1921년 1월에는 김창숙(金昌淑) 등의 지원을 받아 『천고(天鼓)』 잡지를 창간하여 격렬한 필치의 언론 독립운동을 전개했으며, 1920년 4월에는 54명의 동지들과 함께 위임통치 청원을 규탄하는 「성토문」을 공표하였다. 1923년 1월에는 의열단의 요청을 받고 의열단의 독립운동노선과 투쟁 방법을 천명하는 유명한 「조선혁명선언(朝鮮革命宣言)」을 집필하였다. 1923년 1월에 상해에서 국민대표회의(國民代表會議)가 개최되자, 창조파에 가담하여 상해 임시정부를 해체하고 새로운 임시정부의 수립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국민대표회의가 실패로 끝나자 크게 실망하여 칩거하면서 국사 연구에 종사하였다. 이 시기에 『조선상고문화사(朝鮮上古文化史)』(1931년 서울에서 간행), 『조선사연구초(朝鮮史硏究艸)』(1930년 서울에서 간행)에 실린 논문들을 집필하여 근대민족사학을 확립하는데 박차를 가하였다. 이후 점차 무정부주의 독립운동에 관심을 갖고 1926년 「재중국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在中國朝鮮無政府主義者聯盟)」에 가입했으며, 1927년 9월에는 「무정부주의 동방연맹(無政府主義 東方聯盟)」에 이필현(李弼鉉)과 함께 조선 대표로 참석했으며, 1928년 4월에는 그 스스로 무정부주의 동방연맹 북경회의를 개최했다. 이 회의 결의에 따라 독립운동자금을 염출하려다 일제 관헌에 체포되어 10년 형의 선고를 받고 복역 중 1936년 여순감옥에서 옥사 순국하였다. 신채호의 유해가 돌아오자, 일제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신백우가 고향에 이를 안장하고 묘비를 세웠다.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62년에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인물정보

성명
신철휴
한자명
申喆休
운동계열
의열투쟁
생몰년도
1898 ~ 1980
본적
경상북도 고령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년 11월 길림성(吉林省) 파호문(巴虎門)시에서 의열단(義烈團) 결성에 참여 항일 독립운동을 전개하다가 1920년 6월에 곽재기 등 동지와 같이 체포되어 1921년 5월에 치안유지법위반(治安維持法違反)으로 징역7년형을 언도받고 복역함.

인물정보

성명
신철희
한자명
申喆熙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5 ~ 1965
본적
경상북도 청송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9년

공적개요

1920년 음(陰) 8월 중 경북(慶北) 청송(靑松)에서 흠치교에 가입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면소(免訴)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신철희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신치공
한자명
申致公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8 ~ 1932
본적
충청남도 아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1919년 충남(忠南) 아산군(牙山郡) 송악면(松嶽面)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신치수
한자명
辛致守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3 ~ 미상
본적
전라북도 기타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09년 5월 김준대(金俊大) 이하 14명과 함께 총, 또는 곤봉으로 무장하고 동지 약 200명을 규합하여 거의한 문태서[태수] 의진(文太西[泰洙]義陣)에 합류하여 전북(全北) 장수군(長水郡) 계북면(溪北面) 문성동(文城洞) 뒤의 덕유산에 근거하여 군자금을 모집하면서 의병활동을 하다가 피체(被逮)되어 태(笞) 10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신치수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신태경
한자명
申泰敬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1 ~ 미상
본적
전라북도 기타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8년

공적개요

1909년 8월 7일경 전북(全北) 고부군(古阜郡) 답내면(畓內面)에서 김익삼 의진(金益三義陣)에 참여하여 군자금(軍資金) 등을 모집하며 의병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7년을 받음.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신창주

한자명

辛昌珠

생몰년도

1896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남도 마산

자세히 보기

성명

신창진

한자명

愼昌珍

생몰년도

1914 ~ 1940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1993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제주도 제주

자세히 보기

성명

신창현

한자명

申昌鉉

생몰년도

1881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독립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신창화

한자명

申昌和

생몰년도

1886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6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북도 경성

자세히 보기

성명

신창희

한자명

申昌熙

생몰년도

1877 ~ 1926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훈격

2008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외국 중국

자세히 보기

성명

신창희

한자명

申昌喜

생몰년도

1906 ~ 1990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훈격

2018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청원

자세히 보기

성명

신채호

한자명

申采浩

생몰년도

1880 ~ 1936

운동계열

계몽운동

포상훈격

1962대통령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청주

자세히 보기

성명

신철휴

한자명

申喆休

생몰년도

1898 ~ 1980

운동계열

의열투쟁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고령

자세히 보기

성명

신철희

한자명

申喆熙

생몰년도

1895 ~ 1965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청송

자세히 보기

성명

신치공

한자명

申致公

생몰년도

1878 ~ 193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아산

자세히 보기

성명

신치수

한자명

辛致守

생몰년도

1873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북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신태경

한자명

申泰敬

생몰년도

1881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8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북도 기타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