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송을생
한자명
宋乙生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77 ~ 1975
본적
전라남도 제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18년 10월 전남 제주도 좌면 하원리에서 김연일(金蓮日) 등과 함께 법정사(法井寺) 항일운동에 참여해 활동하다 체포되어 벌금 30원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송의선
한자명
宋義宣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7 ~ 1926
본적
강원도 철원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의병으로 활약하다 1911년 피체되어 징역 5년을 받았으며 그후 1919. 3. 10 수백의 군중과 함께 철원읍내 시위에 가담하여 동월 11일 철원역에서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10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송이균
한자명
宋二均
운동계열
미주방면
생몰년도
1895 ~ 1927
본적
평안남도 기타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6년

공적개요

1915년~1916년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새크라멘토지방회 학무원(學務員), 1920년 윌로우스 비행가양성소 간사, 1921년 새크라멘토지방회 재무, 1922년 맥스웰지방회 재무, 1924년 맥스웰지방회 회원으로 활동함. 1914년부터 1926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인물정보

성명
송익순
한자명
宋益淳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 1922년 4월 대한독립군(大韓獨立軍) 대원(隊員)으로 재등총독(齋藤總督)이 비도환선(飛島丸船)으로 국경 지방(國境地方) 시찰 중(視察中) 임을 습격, 기관조수 부상(機關助手負傷) 2. 참의부 유격대원(參議府遊擊隊員), 1923년 1월 자금 모집(資金募集)으로 민가(民家)에 방화(放火), 가인(家人)을 사살(射殺)(사형관계서류(死刑關係書類))

인물정보

성명
송인덕
한자명
宋仁德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0 ~ 1909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3년

공적개요

1908년 11월 중순부터 안진[안규홍] 의진(安進[安圭洪])義陣에 소속되어 전남(全南) 능주(綾州), 화순(和順) 등지에서 무기 제조 등의 활동을 하던 중 1909년 6월 27일 전남 능주군(綾州郡) 남면(南面)에서 일병(日兵)에게 체포되어 도주하려다가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事實)이 확인(確認)됨.

인물정보

성명
송인수
한자명
宋仁洙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1947
본적
경상북도 상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8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11일 경북(慶北) 문경군(聞慶郡) 산북면(山北面) 금룡리(金龍里) 소재 금룡사(金龍寺) 지방학림(地方學林) 생도(生徒)로 기숙사에서 학생들에게 독립만세운동 참여를 권유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 집행유예(執行猶豫) 2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송인식
한자명
宋寅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4 ~ 1959
본적
충청북도 음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19. 4. 2 충북 음성군 대소면 오류리 마을 뒷산에서 동민 수 십명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고 계속하여 오산리(梧山里) 소재 면사무소를 습격, 시위를 전개하다 피체되어 태(笞) 90도(度), 벌금 20원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송인식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송인영
한자명
宋仁永
운동계열
문화운동
생몰년도
1905 ~ 1994
본적
황해도 해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35년부터 1942년까지 7년 동안 황주농업학교(黃州農業學校) 교사(敎師)로 재직하면서 학생 및 학부형들에게 일제의 침략상 폭로와 민족의식을 고취하다 왜경(倭警)에 피체 3년6월의 징역형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송인집
한자명
宋寅輯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1961
본적
경상북도 성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4. 2 성주군(星州郡) 성주읍내(星州邑內) 장날의 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를 주모(主謀)하고 야소교측(耶蘇敎側)과 파리강화회의(巴里講和會議)에 제출(提出)하기 위(爲)하여 장서(長書) 서명 운동(署名運動)에 활동(活動)하고 있는 유생측(儒生側)과 동거사(同擧事)를 이룩되도록 하여 500여명(余名)의 시위 군중(示威群衆)과 함께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며 시위(示威)하다가 일경(日警)의 검거(檢擧)가 시작(始作)되자 피신(避身), 궐석재판(闕席裁判)으로 징역10월형(月刑)을 받은 사실(事實)과 당해 운동(當該運動)의 주모자(主謀者)로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송인택
한자명
宋仁澤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8 ~ 미상
본적
전라북도 임실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6년

공적개요

1909년 5월 전북(全北) 금구군(金溝郡) 수류면(水流面)에서 한자선 의진(韓子先義陣)에 참여하여 군수품 등을 모집하다 체포되어 징역 10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송일봉
한자명
宋一鳳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3 ~ 미상
본적
함경남도 원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6년

공적개요

1920년 9월 함남(咸南) 원산부(元山府) 북촌동(北村洞), 장촌동(場村洞) 일대에서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고 경찰관파출소(警察官派出所) 및 우편소(郵便所), 일본인 상점 등을 공격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송일성
한자명
宋一成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3 ~ 1960
본적
전라북도 익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 3. 2 천도교(天道敎) 신도(信徒)로서 전북(全北) 이리교구실(裡里敎區室)에서 교구장(敎區長) 이중열(李仲悅)로부터 독립선언서 약 230매를 교부받고 이를 동군(同郡) 함열면(咸悅面) 와리(瓦里) 최재붕(崔在鵬)에게 교부하여 동면(同面) 및 논산(論山)지방에 반포케 하는 등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4월을 받음.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송을생

한자명

宋乙生

생몰년도

1877 ~ 1975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제주

자세히 보기

성명

송의선

한자명

宋義宣

생몰년도

1887 ~ 1926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3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철원

자세히 보기

성명

송이균

한자명

宋二均

생몰년도

1895 ~ 1927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훈격

201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남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송익순

한자명

宋益淳

생몰년도

미상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송인덕

한자명

宋仁德

생몰년도

1880 ~ 1909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3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송인수

한자명

宋仁洙

생몰년도

1896 ~ 194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상주

자세히 보기

성명

송인식

한자명

宋寅植

생몰년도

1884 ~ 195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음성

자세히 보기

성명

송인영

한자명

宋仁永

생몰년도

1905 ~ 1994

운동계열

문화운동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해주

자세히 보기

성명

송인집

한자명

宋寅輯

생몰년도

1896 ~ 196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성주

자세히 보기

성명

송인택

한자명

宋仁澤

생몰년도

1888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6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북도 임실

자세히 보기

성명

송일봉

한자명

宋一鳳

생몰년도

1893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6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원산

자세히 보기

성명

송일성

한자명

宋一成

생몰년도

1893 ~ 196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익산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