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박찬걸
한자명
朴燦杰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3 ~ 1987
본적
전라남도 영암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31년 12월경부터 1932년 5월까지 전남 영암군 군서면에서 구림공립보통학교 야학교사로 학생들에게 신사상과 그에 기반하여 건설된 러시아를 찬양하고 일본의 지배로부터 벗어날 필요성을 강조하다 체포되어 무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박찬계
한자명
朴燦啓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887 ~ 1920
본적
평안북도 구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 7월 독립만세운동이 거사된 후 만주(滿洲)로 들어가서 평북독판부 참사(平北督辦部參事)가 되었으며 만주에서 조직된 광복군 사령부(光復軍司令部) 국내특파원으로 임명되어 국내진공에 주목적을 두고 활동하다가 1920. 1월 상해 임시정부(上海臨時政府)에서 공포한 연통제(聯通制) 조직에 있어서 평북 구성군(龜城郡) 참사(參事)로 임명되어 독립운동을 위하여 의주(義州)로 가던 도중 적경(敵警)과 조우하여 치열한 교전 끝에 전사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박찬규
한자명
朴贊圭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28 ~ 2019
본적
충청북도 청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0년

공적개요

1945. 2월 중국(中國) 북경(北京) 주둔 일본군(日本軍) 제1972부대의 군속(軍屬)으로 근무하던 중 광복군(光復軍) 제3지대 소속으로 북경에서의 지하공작을 위해 일본군 군속으로 위장(僞裝)하여 활동하던 김순근(金順根)의 권유로 독립운동에 투신할 것을 결심하고 부대 관사(官舍)에 잠입하여 지하공작에 필요한 권총 등을 확보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단기(短期) 5년 장기(長期) 7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박찬규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박찬도
한자명
朴贊道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3 ~ 미상
본적
평안남도 성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22년 7월 중국(中國) 임강현(臨江縣)에서 한교민단(韓僑民團) 경호원(警護員)으로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고, 1931년 2월 평북(平北) 강계군(江界郡)에서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하다 체포되어 징역 7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박찬묘
한자명
朴贊妙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2 ~ 미상
본적
전라북도 금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30년 1월 14일 서울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3학년 재학 중 광주학생운동에 호응하는 격문을 필사하고, 다음날 학우들과 함께 만세시위를 하다 체포됨.

인물정보

성명
박찬문
한자명
朴贊文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62
본적
전라북도 전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4일 오후 3시경 전북 전주군 전주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다수의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치며 완산동 완산교 부근에서부터 본동 부근까지 시위행진을 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박찬봉
한자명
朴燦奉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7 ~ 미상
본적
평안북도 초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20년 12월 21일 평북 초산군 동면에서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에 가입한 후 군자금을 모집하고 주재소 및 면사무소를 공격하다 체포되어 징역 3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박찬소
한자명
朴燦韶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5 ~ 1919
본적
평안북도 창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4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평북(平北) 창성군(昌城郡) 창성읍내(昌城邑內)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일 헌병(日憲兵)에게 피살(被殺), 순국(殉國)함.

인물정보

성명
박찬웅
한자명
朴贊雄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9 ~ 1943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0. 1. 대구사범학교(大邱師範學校) 재학중(在學中) 조국(祖國)의 독립(獨立)을 목적으로 「문예부(文藝部)」를 조직 활동하였고 1941. 4. 논산 노성(論山魯城)국민학교교사로 재직중 민족의식 고취 등 활동을 하다가 1941. 7. 왜경(倭警)에 피검(被檢) 대전형무소(大田刑務所)에 수감 중(收監中) 1943. 6.21 미결수(未決囚)로 옥사함.

인물정보

성명
박찬익
한자명
朴贊翊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884 ~ 1949
본적
경기도 파주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3년

공적개요

1. 1904년 관립상공학교(官立商工學校)재학시 독립운동모의로 퇴학 당하고 1906년에는 안창호(安昌浩), 이시영(李始榮)등의 조직체 신민회(組織體新民會)에 가입하다. 2. 1910년 합병이 되자 북만주(北滿洲)로 망명하다. 3. 북간도(北間島)에서 이상설(李相卨), 나철(羅喆), 백순(白純) 등의 지도로 대종교(大倧敎)에 투신하여 교육에 주력하였고 1912년에는 화능현(和能縣) 삼도구(三道溝) 청파동(靑坡洞)에 한인학교를 설립하여 애국사상을 고취시키다. 4. 1912년 2월 상해(上海)의 신규식선생(申圭植先生)의 지령으로 서북간도(西北間島)와 노령(露領)의 동지와 연락하여 동월 27일에는 길림(吉林)에서 조소앙(趙素昻), 여시형(呂時亨), 김좌진(金佐鎭)등 39인명의로 대한독립의용군(大韓獨立義勇軍)을 조직하다. 5. 1917년 북경(北京)에 와서 이시영(李始榮), 이동녕(李東寧), 신규식(申圭植)등 선배와 활동하고 상해(上海)에서 동제사(同濟社) 창립하다. 6. 군자금조달차 국내에 잡입하였다. 7. 상해 임시정부(上海臨時政府)에 들어가 1921년 7월 7일에는 외무부외사국장 겸 외무차장대리(外務部外事局長兼外務次長代理)를 하다.(조선민족운동연감(朝鮮民族運動年鑑) p. 142) 8. 1922년 신규식선생(申圭植先生) 서거로 동제사(同濟社) 이사장(理事長)이 되다. 9. 윤봉길(尹奉吉)의 상해공원 사건(上海公園事件)이 발생하자 김구 선생(金九先生)의 도피를 방조하다. 10. 1933년 5월 김구(金九)와 같이 남경중앙군관학교 구내(南京中央軍官學校構內)에서 장개석(蔣介石)과 면담하여 낙양군관학교내(洛陽軍官學校內)에 한국 독립군 양성(韓國獨立軍養成)을 위하여 특별반(特別班)을 설치하고 군간부를 양성하도록 하다.(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 348) 11. 1940년 9월 임시정부(臨時政府)를 중경(重慶)으로 이전시키고 10월에 국무위원(國務委員)이 되다.(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 353, 375, 377) 12. 1945년 임정주화단(臨政駐華團) 단장(團長)으로 활동하다.

박찬익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박찬하
한자명
朴贊夏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22 ~ 미상
본적
강원도 철원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38년 4월 강원도 춘천군에서 춘천공립농업학교 재학 중 독립을 목적으로 한 비밀결사 독서회에 가입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 집행유예 4년과 퇴학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박찬희
한자명
朴燦熙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2 ~ 1944
본적
함경남도 북청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21년 6월 만주(滿洲)로 망명하여 장백현(長白縣) 독립군비단(獨立軍備團)에 가담하고 통신검사부장(通信檢査部長)으로 활동하였으며 광복단(光復團) 비서부장(秘書部長)으로서 안도현(安圖縣) 만주(滿洲) 12, 13도구(道溝)에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박찬걸

한자명

朴燦杰

생몰년도

1913 ~ 1987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1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영암

자세히 보기

성명

박찬계

한자명

朴燦啓

생몰년도

1887 ~ 1920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구성

자세히 보기

성명

박찬규

한자명

朴贊圭

생몰년도

1928 ~ 2019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200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청주

자세히 보기

성명

박찬도

한자명

朴贊道

생몰년도

1893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5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남도 성천

자세히 보기

성명

박찬묘

한자명

朴贊妙

생몰년도

1912 ~ 미상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2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북도 금산

자세히 보기

성명

박찬문

한자명

朴贊文

생몰년도

1890 ~ 196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전주

자세히 보기

성명

박찬봉

한자명

朴燦奉

생몰년도

1897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초산

자세히 보기

성명

박찬소

한자명

朴燦韶

생몰년도

1875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4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창성

자세히 보기

성명

박찬웅

한자명

朴贊雄

생몰년도

1919 ~ 1943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금산

자세히 보기

성명

박찬익

한자명

朴贊翊

생몰년도

1884 ~ 1949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훈격

1963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파주

자세히 보기

성명

박찬하

한자명

朴贊夏

생몰년도

1922 ~ 미상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21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강원도 철원

자세히 보기

성명

박찬희

한자명

朴燦熙

생몰년도

1902 ~ 1944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남도 북청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