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영균
한자명
金永均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8 ~ 1926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1년

공적개요

1926년 중국(中國) 요녕성(遼寧省) 본계현(本溪縣)에서 독립단원(獨立團員)으로 활동하다가 1926년 1월 5일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근
한자명
金永根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9 ~ 미상
본적
충청북도 보은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07년 9월 초 서울에서 대한제국(大韓帝國) 근위대병(近衛隊兵) 출신으로서 김천복(金千福), 박계문(朴桂文) 등과 함께 의병(義兵)에 합류할 것을 도모하다 체포되어 유형(流刑) 5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영근
한자명
金榮根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23 ~ 2016
본적
강원도 회양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39년 춘천중학교(春川中學校) 여운형(呂運亨)으로부터 독립사상을 감화받고 독서회운동(讀書會運動)을 전개하는 등 항일하다 피체되어 징역 단기 1년, 장기 3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기
한자명
金永琪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8 ~ 미상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0일 전남 광주시내에서 김복현(金福鉉) 등이 주도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군중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고 독립만세를 외치면서 광주시내를 행진하였으며 최병준 등으로부터 교부 받은 독립선언서 및 경고문 등을 광주시내에 배포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영기
한자명
金永琪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1 ~ 1919
본적
경상남도 합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3.20 전일(前日)의 합천(陜川)장날을 기하여 시위군중 500여명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다가 주동자 16명이 검거되었음을 분하게 여겨 12명의 결사대를 조직한 후 태극기를 앞세우고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경찰서로 몰려가서 검거자를 즉시 석방하라고 외치며 투석으로 맞서 싸울때 적경(敵警)의 무자비한 발포로 사살(射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김영기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영기
한자명
金永驥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01 ~ 1984
본적
충청남도 부여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32~1942까지 10년간 대구사범학교(大邱師範學校) 교유(敎諭)로 재직하면서 학생들의 항일 독립투쟁활동에 크게 기여한 사실이 확인됨.

김영기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영길
한자명
金永吉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4 ~ 1962
본적
경상북도 영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 1942. 박기수(朴基秀) 등 6인과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2. 1943. 4 경북 영천신사를 방화. 3. 1943. 4 대구신사를 방화하였으나 실패. 4. 1943. 5 대구 주둔 일군 80연대 맨홀 내에 세균(細菌)을 투입. 5. 1943. 민심교란을 위하여 야간에 대구시내 관공서에 태극기를 게양하고 시내 요소에 일군 패전 전황삐라를 살포. 6. 1943. 일군 24부대 병기고를 폭파케 함. 7. 1944. 군자금 모집 중 발각되어 징역 4년 형을 받음. (복형증명서(服刑證明書) 당시변호인 3인의 입증)

인물정보

성명
김영남
한자명
金永南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6 ~ 2021
본적
전라남도 화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4. 7월 진해(鎭海) 해군(海軍) 해병대(海兵隊)에 입대(入對)하여 동지(同志)를 규합(糾合)하며 병영(兵營)에 방화(放火)하고 무기(武器)를 탈취(奪取)하여 탈출(脫出)을 계획(計劃)하려다 피체(被逮)되어 군법회의(軍法會議)에서 징역1년6월형(月刑)을 받아 복역(服役)하다 광복(光復)으로 출옥(出獄)한 공적(功績)이 사실로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남
한자명
金映男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22 ~ 1950
본적
전라남도 완도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 일본군 학병(日本軍學兵)으로 출정(出征)하였다가 1944년 12월 박종선(朴鍾善) 등 78명을 인솔하여 일본군(日本軍)을 탈출하여 중국(中國) 참전국(參戰國) 충의구국군사령부(忠義救國軍司令部)를 거쳐 아국(我國) 광복군(光復軍) 징모처(徵募處) 삼분처(三分處)에 입대(入隊), 항일 투쟁(抗日鬪爭)에 참가. 2. 6.25 당시(當時) 안동 전투(安東戰鬪)에서 전사(戰死).

인물정보

성명
김영달
한자명
金永達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1 ~ 1967
본적
경기도 용인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3.21 경기도(京畿道) 용인군(龍仁郡) 원삼면(遠三面)에서 황경준(黃敬俊) 등과 같이 주동(主動)이 되어 200여 군중에게 태극기를 배부하며 원삼면사무소(遠三面事務所) 앞에 모여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시위 후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덕
한자명
金永德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1 ~ 1921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1.3.16 만주(滿洲)에서 군정서(軍政署) 지부원(支部員)으로 활동(活動)하다가 관전현(寬甸縣) 대황구(大荒溝)에서 적경(敵警)에게 피체(被逮)되어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도
한자명
金英道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8 ~ 1994
본적
경상북도 대구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임정특파원(臨政特派員)과 연결하여 독립운동에 관한 유인물을 주요 도시에 살포하다가 단기 1년 6월 장기 3년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영균

한자명

金永均

생몰년도

1908 ~ 1926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근

한자명

金永根

생몰년도

1879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5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북도 보은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근

한자명

金榮根

생몰년도

1923 ~ 2016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회양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기

한자명

金永琪

생몰년도

1898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남도 나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기

한자명

金永琪

생몰년도

1871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합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기

한자명

金永驥

생몰년도

1901 ~ 1984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부여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길

한자명

金永吉

생몰년도

1924 ~ 1962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남

한자명

金永南

생몰년도

1926 ~ 2021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화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남

한자명

金映男

생몰년도

1922 ~ 1950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완도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달

한자명

金永達

생몰년도

1901 ~ 196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용인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덕

한자명

金永德

생몰년도

1901 ~ 1921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도

한자명

金英道

생몰년도

1928 ~ 1994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대구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