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종악
한자명
李鍾岳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23 ~ 미상
본적
경상북도 청도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41년 2월 경북 대구사범학교 심상과 5년 재학 중 비밀결사 다혁당(茶革黨) 조직에 참여하여 총무부원 등으로 활동하다 체포되어 옥고를 치르고 퇴학을 당함.

인물정보

성명
이종악
한자명
李鍾岳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7 ~ 1971
본적
경상북도 봉화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9일 오전 1시경 경북(慶北) 안동(安東)에서 약 2,000명의 군중과 함께 ‘대한독립(大韓獨立) 만세(萬歲)를 고창하며 안동경찰서(安東警察署) 및 안동군청(安東郡廳) 앞으로 시위행진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고 옥고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종암
한자명
李鍾巖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896 ~ 1930
본적
경상북도 대구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2년

공적개요

1. 1919년 상해(上海)에서 폭탄(爆彈)제조업을 습득하여 의열단(義烈團)을 조직한 후 단원 최경학(崔敬鶴)에게 폭탄을 가지고 입국케 하여 밀양경찰서(密陽警察署)를 폭파하려다 실패 2. 1920년 의열단 부단장 3 1922년 3월 상해에서 전중의일(田中義一)을 저격하다가 실패 4. 1925년 11월 군자금모집 차 귀국하였다가 대구(大邱)서 피체되어 징역 13년형을 선고받아 옥고를 치르다 1930년 순국하였다.

인물정보

성명
이종엽
한자명
李鍾燁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1959
본적
강원도 양양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4.5~4.6 강원도(水原道) 양양군(襄陽郡) 강현면(降峴面) 물치리(沕淄里) 장터에 모인 수백명(數百名)의 시위 군중(示威群衆)과 함께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며 시위(示威)를 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10월을 받았으나 미결기간(未決期間)을 합산(合算)하여 1년여(年餘)의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종영
한자명
李鍾韺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6 ~ 1926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17년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의 박상진(朴尙鎭),채기중(蔡基中)과 함께 군자금 모집(軍資金募集)에 참여하여 먼저 자신부터 200원의 출금(出金)을 약속한 후, 자신의 집에서 채기중(蔡基中)과 함께 군자금 모집(軍資金募集)에 불응하면서 일경(日警)에 대한광복회(大韓光復會)의 활동(活動)을 밀고하려는 장승원(張承遠) 등의 처단을 협의하고 피체(被逮)될 때까지 자신의 집을 독립운동(獨立運動)의 근거지(根據地)로 제공하는 등의 사실이 확인됨.

이종영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종오
한자명
李鍾旿
운동계열
미주방면
생몰년도
1869 ~ 1946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10년 멕시코 메리다에서 숭무학교(崇武學校) 교수(敎授), 1917년 해동학교(海東學校) 교사(敎師), 1918년 비시앗지방 교사(敎師)로 민족교육을 위해 헌신함. 1911년 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 회장(會長), 1916년 서기(書記), 1924년 재무(財務), 1926년 대의원(代議員), 1927년 재정조사위원(財政調査委員), 1932~1933년 대의원(代議員), 1936~1939년 집행위원장(執行委員長) 등으로 활동함. 1910년부터 1945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인물정보

성명
이종완
한자명
李鍾玩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07 ~ 1989
본적
경상남도 진해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4년 4월 20일 광복군(光復軍) 제 1지대 지대본부(支隊本部)에 입대하여 1945년 8. 15 해방 시(解放時)까지 조국 광복(祖國光復)을 위하여 기여(寄與)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종우
한자명
李鍾禹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0 ~ 1951
본적
강원도 횡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4.12 강원도(水原道) 횡성군(橫城郡) 서원면(書院面) 분일리(分一里)에서 주민 50여명을 규합하여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종우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종욱
한자명
李鍾旭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1966
본적
경상남도 울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향리(鄕里)에서 비밀독립청년회(秘密獨立靑年會)를 조직하고 간부(幹部)로 항일활동을 하였으며 1919. 4. 4 향리의 독립만세시위에서 선봉역할을 하다가 체포되어 2년형을 언도받아 옥고한 사실이 확인됨.

이종욱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종원
한자명
李鍾元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5 ~ 1931
본적
충청북도 영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09년 충북 영동군, 충남 금산군에서 문태수의 부하와 함께 군수품 및 군자금을 모집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5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종원
한자명
李鍾元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26 ~ 2007
본적
충청남도 아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3년

공적개요

1945년 2월 초 전주사범학교 재학 중 비밀결사 우리회 회원으로 민족의식 고양 등의 활동을 하다 일제경찰에 체포되어 구류됨.

인물정보

성명
이종원
한자명
李鍾元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고종 인산(高宗因山)을 계기로 대대적인 독립운동을 전개하고 세칭 오적(五賊) 칠적(七賊)을 암살코자 만주(滿洲)에서 조직된 274결사대원(決死隊員)으로 입국활약하다 실패하자 체포망을 뚫고 만주로 귀환(동지(同志) 8명 피체) (동아일보(東亞日報) 1920. 9. 3)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종악

한자명

李鍾岳

생몰년도

1923 ~ 미상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2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북도 청도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악

한자명

李鍾岳

생몰년도

1897 ~ 197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5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봉화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암

한자명

李鍾巖

생몰년도

1896 ~ 1930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훈격

1962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대구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엽

한자명

李鍾燁

생몰년도

1896 ~ 195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양양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영

한자명

李鍾韺

생몰년도

1886 ~ 1926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3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오

한자명

李鍾旿

생몰년도

1869 ~ 1946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훈격

2015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완

한자명

李鍾玩

생몰년도

1907 ~ 1989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진해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우

한자명

李鍾禹

생몰년도

1880 ~ 195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횡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욱

한자명

李鍾旭

생몰년도

1896 ~ 196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울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원

한자명

李鍾元

생몰년도

1865 ~ 1931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21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영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원

한자명

李鍾元

생몰년도

1926 ~ 2007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2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아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원

한자명

李鍾元

생몰년도

미상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