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시교
한자명
李時敎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48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7일 경북(慶北) 안동군(安東郡) 예안면(禮安面) 예안(禮安)장날에 예안주재소(禮安駐在所) 부근과 구내(構內) 등지에서 1,500여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였으며 동일 6시경에 다시 수천명이 집결하여 검거자의 석방을 요구하며 일경(日警)과 투석으로 맞서 싸우다가 피체되어 징역4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시모
한자명
李時摸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9 ~ 미상
본적
평안북도 용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20년 음력 5월경 평북 용천군(龍川郡)에서 대한민국청년단(大韓民國靑年團)에 가입하고 용천군 일대에서 군자금을 모집하다 체포되어 징역 10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시분
한자명
李時分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3 ~ 미상
본적
미상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경북 대구에서 신명여학교 재학 중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다 체포되어 기소유예 처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시선
한자명
李時先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0 ~ 1908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08년 황해도(黃海道) 장연(長淵) 등지에서 의병활동을 전개하다가 동년 6월 초순 장연군(長淵郡) 순택면(蓴澤面)에서 일본군 수비병에게 체포되어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시연
한자명
李時連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8 ~ 미상
본적
평안북도 후창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19년 5월 중국(中國) 유하현(柳河縣) 삼원포(三源浦)에서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 검찰원(檢察員)으로 군자금을 모집하고 동년 음력 10월 15일 집안현(輯安縣) 이마구(二馬溝) 근처 산중에서 일본(日本) 밀정(密偵)을 처단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15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시열
한자명
李時說
운동계열
계몽운동
생몰년도
1892 ~ 1980
본적
평안북도 정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09년 비밀결사(秘密結社) 대동청년당(大東靑年黨)을 안희제(安熙濟) 김동삼(金東三) 등과 조직하여 활동하였으며 만주(滿洲)로 망명하고 동창학교(東昌學校) 교원(敎員)이 되어 독립군(獨立軍)의 양성과 한족회(漢族會)의 기관지를 발행하며 혁명이론을 전개하고 광한단장(光韓團長)이 되어 군자금과 단원 모집에 활동한 후 1930년 조선혁명당(朝鮮革命黨) 교육부(敎育部) 책임자(責任者)가 되어 1933년 5월까지 20년간에 걸쳐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시영
한자명
李始榮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2 ~ 1919
본적
경상북도 대구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 1914년 북경(北京)으로 망명(亡命) 2. 애국단 사건(愛國團事件)으로 대구(大邱)에서 2년 수형(受刑) 3. ‘광복단’(光復團) 조직(組織) 4. 3.1운동(運動) 획책(劃策)

인물정보

성명
이시영
한자명
李始榮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869 ~ 1953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대한민국장
포상년도
1949년

공적개요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로 체결된 뒤 비밀결사 신민회(新民會)를 조직하고 구국운동을 벌였다. 1910년 경술국치를 당하자 친형 이회영(李會榮) 등의 가족 50여 명을 이끌고 중국 유하현(柳河縣) 추가가(鄒家家)로 망명하였다. 1911년 유하현 삼원보에서 교육진흥과 독립군양성을 목적으로 경학사(耕學社)와 신흥강습소(新興講習所) 설립을 주도하였다. 1912년 통화현(通化縣) 합이하(哈泥河)에서 신흥강습소를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로 발전시켰다. 신흥무관학교는 1920년 폐교될 때까지 3,500여 명의 독립군 간부를 배출했으며, 이들은 청산리독립전쟁(靑山里獨立戰爭)의 주축을 이루었다. 1913년 북경(北京)에서 중국의 원세개총통(元世凱總統)을 통하여 동삼성(東三省)의 한교(韓僑)문제를 원조하는 데 기여하였다. 1919년 4월 상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해 법무총장, 재무총장 등으로 재임하였다. 1929년 한국독립당 감찰위원장, 1933년 가흥(嘉興)에서 임시정부 국무위원 겸 법무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1934년 감시만어(感時漫語)를 저술하여 한국사의 주체성을 고취하였다. 1935년 한국국민당 감사, 1938년부터 임시정부 국무위원, 재무부장, 의정원의원 등을 역임하며 1945년 8월까지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활동하였다.

인물정보

성명
이시용
한자명
李時庸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0 ~ 미상
본적
황해도 수안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천도교 전교사(天道敎傳敎師)로 1919년 3월 3일 200여명의 천도교도들과 함께 황해(黃海) 수안군(遂安郡) 대천면(大千面) 사창리(社倉里)에서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는 등 활동하다가 일경(日警)에 체포(逮捕)되어 금고(禁錮) 6월(미결구류(未決拘留) 450일 산입(算入))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시우
한자명
李時雨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78 ~ 미상
본적
경기도 이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9년

공적개요

1916년 중국(中國)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龍縣)에서 배문의숙(培文義塾)의 교사로 활동하였으며 1919년 3월에는 파리강화회의 파견대표의 기금마련을 위한 위원으로 활동하였고 동년(同年) 9월 안도현(安圖縣)에서 결성된 단지결사대(斷指決死隊) 대장(隊長)으로 군자금 및 군량을 모집하고 1922년 대한광복단 총재로 독립군 등을 모집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시우
한자명
李時雨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1 ~ 1921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20년 재만(在滿) 독립군단(獨立軍團)인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 의용대(義勇隊) 대원(隊員)으로 장백현(長白縣) 13도구(道溝)에서 일경(日警)의 습격을 받고 교전(交戰) 중(中)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시우
한자명
李始雨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4 ~ 1934
본적
충청북도 청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1일 충청북도(忠淸北道) 청주군(淸州郡) 북이면(北二面) 신대리(新垈里) 앞산에서 김호상(金浩相)의 권유로 조선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였다가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시교

한자명

李時敎

생몰년도

1890 ~ 1948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이시모

한자명

李時摸

생몰년도

1899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1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용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시분

한자명

李時分

생몰년도

1903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시선

한자명

李時先

생몰년도

1870 ~ 1908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시연

한자명

李時連

생몰년도

1888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5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후창

자세히 보기

성명

이시열

한자명

李時說

생몰년도

1892 ~ 1980

운동계열

계몽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정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시영

한자명

李始榮

생몰년도

1882 ~ 1919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대구

자세히 보기

성명

이시영

한자명

李始榮

생몰년도

1869 ~ 1953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훈격

1949대한민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이시용

한자명

李時庸

생몰년도

1870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황해도 수안

자세히 보기

성명

이시우

한자명

李時雨

생몰년도

1878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09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기도 이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시우

한자명

李時雨

생몰년도

1901 ~ 1921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시우

한자명

李始雨

생몰년도

1894 ~ 193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청주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