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봉준
한자명
李奉俊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1 ~ 1907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07년 11월 초 충북(忠北) 괴산(槐山)에서 의병으로 활동하다 순검대(巡檢隊)에 체포되었으며 수비대에 인도된 후 탈출을 기도하다가 실패하여 동월 17일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이봉준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봉진
한자명
李鳳珍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04 ~ 1969
본적
평안북도 선천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7년

공적개요

1926년 6월 서울에서 연희전문학교(延禧專門學校) 재학 중 6.10 만세 운동(萬歲運動)을 주도하였다가 퇴학당하였고, 1931년 9월 내용이 알려지지 않은 활동으로 체포되어 징역 2년 집행유예(執行猶豫) 5년(미결구류(未決拘留) 481일 통산(通算))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봉창
한자명
李奉昌
운동계열
의열투쟁
생몰년도
1901 ~ 1932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대통령장
포상년도
1962년

공적개요

1. 10세에 용산(龍山) 문창보통학교 입학(文昌普通學校入學) 4년 후(後) 필학(畢學)하고 2. 1922년에 도일(渡日)하여 목하창장(木下昌藏)으로 변성명(變姓名)하여 왜정(倭情)을 탐지(探知)하고 1931년 1월에 상해(上海)로 건너가 임정 주석(臨政主席) 김구(金九)의 지도로 한인애국단(韓人愛國團)에 가입한 후 왜황 격살(倭皇擊殺)을 선서(宣誓)하고 동년(同年) 12월 17일에 폭탄을 휴대(携帶)하고 도일(渡日), 익년 1월 8일 동경에 있는 좌좌목련병장(佐佐木練兵場)에서 만주(滿洲)의 괴뢰왕인 부의(賻儀)와 친병식(親兵式)을 마치고 돌아가는 왜황(倭皇) 유인(裕仁)에게 폭탄을 던졌으나 불행히도 실패(失敗)함에 의사는 태연히 공중(公衆) 앞에 태극기(太極旗)를 내어들고 대한독립만세(大韓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고 조용히 포박(捕縛)되어 ※동년(同年) 9월 동경대심원(東京大審院)에서 사형선고(死刑宣告)를 받고 3. 동년(同年) 10월 10일 오전 9시 2분 시곡형무소(市谷刑務所)의 형장(刑場)에서 사형(死刑)을 집행 당(執行當)함. 향년 33세

인물정보

성명
이봉채
한자명
李鳳采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18 ~ 미상
본적
강원도 춘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38년 3월 강원도 춘천에서 춘천공립보통학교 3학년 재학 중 조선독립을 목적으로 하는 비밀결사 상록회(常綠會)에 가입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기소유예됨.

인물정보

성명
이봉철
한자명
李奉哲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7 ~ 1927
본적
경기도 장단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3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9일 경기(京畿) 장단군(長湍郡) 진서면(津西面) 면사무소(面事務所)에서 마을 주민 100여 명과 함께 면사무소(面事務所)에 소장되어 있던 일본(日本) 국기(國旗)를 불태우며 대한독립만세(大韓獨立萬歲)를 외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봉철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봉철
한자명
李奉哲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4 ~ 1941
본적
경상남도 기타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 3. 18 경남(慶南) 통영군(統營郡) 통영읍(統營邑) 중앙시장(中央市場)에서 ‘대한독립만세’라고 쓴 기를 흔들고 군중들에게 독립선언서를 배포하면서 독립만세를 고창하다가 피체되어 징역 10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봉춘
한자명
운동계열
노령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1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21년 12월 러시아 연해주 이만에서 대한의용군 2중대 통역으로 일본군의 지원을 받는 러시아 백군(白軍)과 전투를 벌이다 전사 순국함.

인물정보

성명
이봉춘
한자명
李奉春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2 ~ 미상
본적
평안북도 초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22년 음(陰) 1월 중국(中國) 봉천성(奉天省) 관전현(寬甸縣)에 소재한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에 가입하여 평남(平南) 벽동군(碧潼郡) 성면(城面)에서 군자금을 모집하고, 1928년 음(陰) 2월 정의부(正義府) 무등병(無等兵)으로 평북(平北) 초산군(楚山郡)에서 군자금을 모집하다 체포되어 징역 6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봉하
한자명
李奉夏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1 ~ 1969
본적
충청남도 서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8일 충남(忠南) 서산군(瑞山郡) 운산면(雲山面) 용현리(龍賢里) 보현산(普賢山) 위에서 조선독립만세를 부르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봉하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봉하
한자명
李鳳夏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0 ~ 미상
본적
경기도 파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1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7일 서울 종로에서 독립만세를 불렀다가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봉하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봉하
한자명
李鳳夏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7 ~ 1963
본적
강원도 철원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 1909년 12월 20일 철원(鐵原)에서 학무위원(學務委員)으로 계몽사업을 하며 대한매일신보 지사장(大韓每日申報支社長) 조중대(趙重大)와 결합코 합방반대 연설회(合邦反對演說會)를 경성(京城)에서 개최 일진회(一進會) 일파(一派)를 타도하자 결의하고 합방반대결의서(合邦反對結義書)를 작성 면장(面長), 이장(里長)등 200여명의 서명을 받아 재경성 야소교(在京城耶蘇敎) 전도사 전덕기(全德基)에 발송하고 활동하다(애국단 예심종결서(愛國團豫審終結書)) 2. 철원(鐵原)에 봉명학교(鳳鳴學校)를 설립하여 교육에 진력(盡力)하며 독립사상을 고취하다가 일제(日帝)로부터 불온교(不穩校)라 하여 폐쇄(閉鎖)당하다. 3. 3.1운동때 철원에서 만세시위 주도하다 4. 1919. 8. 11 대한독립애국단장 신현구(申鉉九)와 결합하여 철원군단(鐵原郡團)을 조직(組織)코 단장(團長)에 추대(推戴)되어 활동하다(애국단 예심종결서(愛國團豫審終結書)) 5. 1919. 8. 13 전국단장(全國團長) 신현구(申鉉九)로부터 강원도단장(江原道團長)에 임명되고 강원도 일원(江原道一圓)에 걸쳐 군단 조직(郡團組織)할것을 지시받다(애국단 예심종결서(愛國團豫審終結書)) 6. 영월(寧越), 정선(旌善), 울진(蔚珍), 강릉(江陵), 평해(平海), 삼척(三陟), 고성(高城)등지에 군단 조직 활동(郡團組織活動) 군자금모집, 한인 관리 사퇴 운동(韓人官吏辭退運動)등 전개. 임정(臨政)에 보고되어 내무총장(內務總長) 안창호 명의(安昌浩名義)의 표창장 받음. 간부 단원(幹部團員) 전원이 피체(被逮) 3년 6월형 복역(한독사(韓獨史) P.166 예심종결서(豫審終結書)) 7. 출옥 후에도 창씨(創氏)반대, 납세거부 등 항일투쟁타가 광복을 맞음

인물정보

성명
이봉학
한자명
李鳳學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58 ~ 1924
본적
충청남도 예산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895년 12월(음) 충남(忠南) 홍성(洪城)에서 명성황후 시해와 단발령에 항거하여 김복한(金福漢), 박창노(朴昌魯) 등과 함께 거의(擧義)하여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봉준

한자명

李奉俊

생몰년도

1861 ~ 1907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진

한자명

李鳳珍

생몰년도

1904 ~ 1969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07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선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창

한자명

李奉昌

생몰년도

1901 ~ 1932

운동계열

의열투쟁

포상훈격

1962대통령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채

한자명

李鳳采

생몰년도

1918 ~ 미상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2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강원도 춘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철

한자명

李奉哲

생몰년도

1897 ~ 192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3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장단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철

한자명

李奉哲

생몰년도

1884 ~ 194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춘

한자명

생몰년도

미상 ~ 1921

운동계열

노령방면

포상훈격

202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춘

한자명

李奉春

생몰년도

1902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5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초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하

한자명

李奉夏

생몰년도

1891 ~ 196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서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하

한자명

李鳳夏

생몰년도

1880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기도 파주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하

한자명

李鳳夏

생몰년도

1887 ~ 1963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철원

자세히 보기

성명

이봉학

한자명

李鳳學

생몰년도

1858 ~ 1924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8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예산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