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일독립만세운동기념비
사적지 개요
강화중앙교회는 1900년에 창립된 교회로 강화도 지역의 선교 중심교회로서의 역할을 담당했다. 또한 합일학교나 복민의숙 등의 근대 교육을 실시하여 민중교육, 농민교육, 유아교육을 통한 지역사회 교육에 기여했다.
1901년 5월 연회에서 박능일 전도사가 강화읍구역 담임자로 파송되어 1903년 3월 별세할 때까지 시무하며 강화 지역의 선교 거점교회로서의 기틀을 다졌다. 그는 부임 후 1901년 4월 1일 잠두교회 부설 잠두의숙을 설립하고, 숙장으로 취임하여 강화에 신교육기관을 탄생시켰다. 후임의 김우제(金宇濟) 전도사는 기독교 신앙과 민족의식을 조화시키는 목회를 지향하여 민족계몽과 신앙교육을 실시했다. 특히 그의 영향으로 이동휘가 기독교인으로 개종했다는 일화가 있다. 강화도 군민들의 존경을 한 몸에 받고 있었던 이동휘의 기독교 입문은 ‘강화의 바울’이라는 칭호를 얻을 정도로 커다란 영향력을 끼쳤다고 한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잠두교회는 복음전도와 교육을 통한 민족운동에 진력했고, 잠두의숙은 1908년 12월 2일 에 정식 학교가 되면서 ‘사립제일합일학교’라 개칭되었다. 그리고 이듬해인 1909년 4월 9일 잠두교회 내 여자소학교인 ‘제일합일여학교’가 설립되었다. 신교육의 기회가 없었던 강화 지역의 열악한 교육환경에서 교회를 다닌다는 것은 당시 여성들에게 커다란 문화적, 교육적 혜택이었다. 한편 강화읍교회는 한국의 근대사적 사건에도 관여했다. 1907년 8월 1일 정미 7조약에 의거해 대한제국 군인들이 무장해제당하자, 하정도 등의 무기고 습격이 기폭제가 되어 진위대 출신 병사들과 주민들이 합세한 무장 저항운동이 일어났다. 당시 강화읍교회의 교인인 김동수 권사 3형제가 순국했다. 또한 3·1독립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01년 5월 연회에서 박능일 전도사가 강화읍구역 담임자로 파송되어 1903년 3월 별세할 때까지 시무하며 강화 지역의 선교 거점교회로서의 기틀을 다졌다. 그는 부임 후 1901년 4월 1일 잠두교회 부설 잠두의숙을 설립하고, 숙장으로 취임하여 강화에 신교육기관을 탄생시켰다. 후임의 김우제(金宇濟) 전도사는 기독교 신앙과 민족의식을 조화시키는 목회를 지향하여 민족계몽과 신앙교육을 실시했다. 특히 그의 영향으로 이동휘가 기독교인으로 개종했다는 일화가 있다. 강화도 군민들의 존경을 한 몸에 받고 있었던 이동휘의 기독교 입문은 ‘강화의 바울’이라는 칭호를 얻을 정도로 커다란 영향력을 끼쳤다고 한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잠두교회는 복음전도와 교육을 통한 민족운동에 진력했고, 잠두의숙은 1908년 12월 2일 에 정식 학교가 되면서 ‘사립제일합일학교’라 개칭되었다. 그리고 이듬해인 1909년 4월 9일 잠두교회 내 여자소학교인 ‘제일합일여학교’가 설립되었다. 신교육의 기회가 없었던 강화 지역의 열악한 교육환경에서 교회를 다닌다는 것은 당시 여성들에게 커다란 문화적, 교육적 혜택이었다. 한편 강화읍교회는 한국의 근대사적 사건에도 관여했다. 1907년 8월 1일 정미 7조약에 의거해 대한제국 군인들이 무장해제당하자, 하정도 등의 무기고 습격이 기폭제가 되어 진위대 출신 병사들과 주민들이 합세한 무장 저항운동이 일어났다. 당시 강화읍교회의 교인인 김동수 권사 3형제가 순국했다. 또한 3·1독립운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인물정보
- 성명
- 김남수
- 한자명
- 金南洙
- 운동계열
- 국내항일
- 생몰년도
- 1899 ~ 1945
- 본적
- 경상북도 안동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2005
공적개요
1923. 6월 경성고무공장 여공(女工)들의 동맹파업 진상을 알리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벌금 60원형을 받았으며, 1926년 안동에서 경북(慶北) 예천군(醴泉郡) 예천 형평사(醴泉衡平社) 습격사건의 진상을 조사하다가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되었으나 무죄 방면(無罪放免)되었으며, 1926년 김철수(金錣洙) 주도의 제3차 조선공산당(朝鮮共産黨)에 관여, 핵심간부로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1930년 징역 2년을 받았고, 1939년 대구복심법원(大邱覆審法院)에서 사문서위조행사(私文書僞造行使), 공정증권불실기재행사(公正證券不實記載行使), 사기(詐欺)로 징역 10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김남수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김동수
- 한자명
- 金東壽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65 ~ 1931
- 본적
- 경상남도 합천
- 포상훈격
- 건국포장
- 포상년도
- 2010
공적개요
1919년 3월 곽종석(郭鍾錫) 등 유림 137명이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국제평화회의(國際平和會議)에 제출코자 작성한 독립청원서(獨立請願書)(파리장서(巴里長書))에 서명한 사실이 확인됨.
김동수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김유의
- 한자명
- 金有義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69 ~ 1947
- 본적
- 경기도 강화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1992
공적개요
1919. 3. 18 경기도(京畿道) 강화읍(江華邑)에서 유봉진(劉鳳鎭) 목사가 주동한 독립만세시위 운동에 참가하여 강화장터에 모인 10,000여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강화군청(江華郡廳)으로 가서 군수로 하여금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토록 하고 경찰에게 연행되어 있던 유희철(劉熙哲) 조기신(趙基信) 등의 석방을 요구하며 독립만세를 계속하여 고창(高唱) 시위하다가 피체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김유의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박길양
- 한자명
- 朴吉陽
- 운동계열
- 국내항일
- 생몰년도
- 1896 ~ 1928
- 본적
- 경기도 강화
- 포상훈격
- 애국장
- 포상년도
- 1990
공적개요
1921년 이후 경기(京畿) 삼남지방(三南地方)을 순회하면서 군자금을 다수 모집(多數募集)하다 징역 1년 6월 형을 복역하였으며 그 후 사회주의 계열(社會主義系列)에서 활동하다 체포되어 재감중(在監中)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박길양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오영섭
- 한자명
- 吳永燮
- 운동계열
- 학생운동
- 생몰년도
- 1922 ~ 1987
- 본적
- 전라남도 완도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2020
공적개요
1942년 전남 여수공립수산학교 재학중 조선인 학생을 차별하는 일본인 교사를 추방하기 위해 수업 거부 투쟁을 하다 체포됨.
오영섭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유경근
- 한자명
- 劉景根
- 운동계열
- 국내항일
- 생몰년도
- 1877 ~ 1956
- 본적
- 경기도 강화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1990
공적개요
1919. 3월 강화군(江華郡) 부내면(府內面)에서 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를 선도(先導)하고 서울로 피신(避身), 대동단 조직(大同團組織)에 가담(加擔)하여 노령(露領) 이동휘(李東輝)로부터 군대 양성(軍隊養成)을 위하여 국내(國內)에서 지원자(志願者)를 모집(募集)하라는 밀령(密令)를 받고 활동(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고등법원(高等法院)에서 징역 3년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유경근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유봉진
- 한자명
- 劉鳳鎭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86 ~ 1956
- 본적
- 경기도 강화
- 포상훈격
- 애족장
- 포상년도
- 1990
공적개요
1919. 3. 5 강화읍(江華邑) 경찰서(警察署) 앞에서 결사대(決死隊)를 조직하여 지역 책임자(地域責任者)가 되어 군수(郡守) 등 관헌(官憲)들을 강압(强壓)으로 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를 함께 하는 등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 형을 언도받고 주모자(主謀者)로서의 사실이 확인됨.
유봉진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이동휘
- 한자명
- 李東輝
- 운동계열
- 임시정부
- 생몰년도
- 1873 ~ 1935
- 본적
- 함경남도 단천
- 포상훈격
- 대통령장
- 포상년도
- 1995
공적개요
1895년 경성무관학교(京城武官學校)에서 수학하고 1902년 이후 강화진위대장으로 활동한 후 1906년 강화(江華)에 보창학교(普昌學校)를 설립하였고, 1906년 대한자강회(大韓自强會)를 설립하는데 관여 하였으며, 1907년 군대해산 무렵 연기우(延基羽), 김동수(金東洙) 등과 강화도에서 의병항쟁을 하였고, 헤이그밀사사건에 관련하였다는 혐의로 피체(被逮)되어 5, 6개월의 옥고를 치렀으며, 1908년 서북학회(西北學會)를 조직하는데 참여하였고, 1907년 이후 신민회(新民會)의 회원으로 활동하다 피체되어 황해도 무의도에 3년간 유배되었다가 1912년 탈출하여 북간도로 망명 소영자(小營子)에 광성학교(光成學校)를 세워 계봉우와 민족교육을 실시하였고, 1913년 연해주로 건너가 블라디보스톡 신한촌에서 권업회(勸業會)에 가담하여 활동하였으며, 1914년 왕청현(汪淸縣) 라자거우에 대전무관학교(大甸武官學校)를 설립하여 사관의 양성에 주력하였고, 1917년 연해주로 갔다 독일 밀정(密偵)의 혐의로 피체(被逮)되었다가 수 개월의 옥고를 치르고 석방된 후 1918년 하바로브스크에서 ‘한인사회당(韓人社會黨)을 결성하였으며, 1919년 삼일운동 후 블라디보스톡의 대한국민의회(大韓國民議會)에서 선전부장(宣傳部長)에 피임되었고, 동년 8월 상해(上海)로 가서 대한민국(大韓民國) 임시정부(臨時政府)의 국무총리로 활동하였으며,1921년 임정(臨政)에서 이탈하여 상해에서 국민대표회(國民代表會)에 관여하여 1922년 국민(國民)대표회 집행위원, 1924년 국민위원회(國民委員會)의 고문으로 활동하였으며,1922년과 23년에는 꼬르뷰로(고려국(高麗局)) 및 오르그뷰로(조직국(組織局))의 책임자로 활동하였으며,1923년 2월과 3월에 적기단(赤旗團)과 조선공화정부(朝鮮共和政府)를 조직하였으며, 1928년 경 원동변강 모쁘로(국제혁명운동희생자구원회)의 지도원으로 활동(活動)하다 1935년 작고(作故)한 사실이 확인됨.
이동휘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조구원
- 한자명
- 趙龜元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7 ~ 1928
- 본적
- 경기도 강화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2014
공적개요
1919년 3월 20일 경기도(京畿道) 강화군(江華郡) 강화읍(江華邑)에서 동읍내(同邑內)의 경찰서(警察署) 경부(警部) 이해용(李海用)에게 독립만세운동 참가자를 검거․탄압하지 말 것을 촉구하는 편지를 보내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조구원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조기신
- 한자명
- 趙基信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2 ~ 1972
- 본적
- 경기도 강화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1993
공적개요
1919.3.18 경기도(京畿道) 강화군(江華郡) 부내리(府內里) 읍내(邑內)장터에서 만세시위운동을 주도(主導)하여 태극기를 흔들고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장꾼들의 시위참여를 촉발(促發)하다고 피체(被逮)되어 태(笞)90을 받았으며 그의 석방을 요구하며 만세시위가 확산(擴散)되는 등 시위운동의 촉매제(觸媒劑)의 역할을 한 사실이 확인됨.
조기신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주성일
- 한자명
- 朱聖日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899 ~ 1975
- 본적
- 경기도 강화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2022
공적개요
1919년 3월 18일 경기도 강화군 읍내장터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벌금 20원을 받음.
주성일의 발자취
인물정보
- 성명
- 주창일
- 한자명
- 朱昌日
- 운동계열
- 3.1운동
- 생몰년도
- 1901 ~ 미상
- 본적
- 경기도 강화
- 포상훈격
- 대통령표창
- 포상년도
- 2022
공적개요
1919년 3월 20일경 경기도 강화군에서 자유민보 등 수십 종의 유인물을 만들어 강화읍내에 배포한 혐의로 체포되어 무죄를 받음.
주창일의 발자취
3.1운동
사건설명
3.1운동은 우리 민족이 일제의 식민 지배에 항거하여 1919년(기미년) 3월 1일 전후로 일으킨 거족적인 독립 만세운동이다.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일본 도쿄의 2.8 독립선언, 고종의 인산일 등을 계기로 계획되어, 마침내 3월 1일 서울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33인에 의한 독립선언서 낭독과 더불어 탑골공원에서 학생들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만세 시위행진을 벌이며 거행되었다. 이날의 거사는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만주, 북미 등 해외 등지에서도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이를 계기로 세계에 우리 민족의 실상을 알림과 동시에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자주 독립사상 고취 등의 의의를 거두었으나, 동시에 일제가 민족 분열을 위해 무단통치 방법을 문화통치로 바꾸는 원인이 되었다.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자결주의, 일본 도쿄의 2.8 독립선언, 고종의 인산일 등을 계기로 계획되어, 마침내 3월 1일 서울 태화관에서 민족대표 33인에 의한 독립선언서 낭독과 더불어 탑골공원에서 학생들이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만세 시위행진을 벌이며 거행되었다. 이날의 거사는 전국으로 확산되었고 만주, 북미 등 해외 등지에서도 만세운동이 일어났다. 이를 계기로 세계에 우리 민족의 실상을 알림과 동시에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자주 독립사상 고취 등의 의의를 거두었으나, 동시에 일제가 민족 분열을 위해 무단통치 방법을 문화통치로 바꾸는 원인이 되었다.
애국계몽운동
사건설명
애국계몽운동은 교육과 산업, 언론 진흥을 통해 민족의 실력을 키워 국권을 수호하려는 운동으로, 지식인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였다.
대표적인 단체로는 대한자강회, 대한협회, 신민회가 있다.
이와 같은 애국계몽단체의 활동으로는 <제국신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등 신문과 <대한자강회월보>, <대한협회회보> 등 기관지 또는 학회지 발간을 통한 민중계몽운동이 있다. 또한 보광학교, 한남학교 등 학교 설립과 <보통교과동국역사>, <동국사략>, <대동역사략> 등 교과서 편찬을 통한 교육계몽운동, 그리고 국채보상운동 등의 경제구국운동 등을 펼치며 국력을 키우고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애국계몽단체의 활동으로는 <제국신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등 신문과 <대한자강회월보>, <대한협회회보> 등 기관지 또는 학회지 발간을 통한 민중계몽운동이 있다. 또한 보광학교, 한남학교 등 학교 설립과 <보통교과동국역사>, <동국사략>, <대동역사략> 등 교과서 편찬을 통한 교육계몽운동, 그리고 국채보상운동 등의 경제구국운동 등을 펼치며 국력을 키우고 민족의 실력을 양성하고자 하였다.
한국 광복군
사건설명
한국광복군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정규 군대로, 1919년부터 군사조직법
제정을 통해 임시정부의 군대를 창설하려는 노력이 존재했으나 마침내 임시정부가 중국 충칭에 정착하면서
김구 등의 주도하에 1940년 창설되었다. 총사령에 지대형, 참모장에 이범석, 총무처장에 최용덕 등이 임명되었다.
창설 당시 병력은 30여 명에 불과했으나 병력 모집에 몰두하고 1942년 조선의용대의 편입을 거쳐 1945년 4월경에는 564명으로 확대되었다.
1945년, 임시정부의 주석이던 김구는 미국전략사무국 책임자와 공동작전을 협의하여 한국광복군을 국내에 침투시키는 국내진공작전을 계획하였다.
그러나 실행에 옮기기 전, 일본이 항복을 선언하며 한국광복군의 진공작전은 무산되었고, 1946년 해체되었다.
한말 의병운동
사건설명
항일의병운동에는 을미의병, 을사의병, 정미의병이 있다.
1895~1896년의 을미의병은 조선 말기 최초의 대규모 항일의병으로, 을미사변 후 왕후폐위조칙 발표, 단발령 시행을 계기로 일어났다.
전국 각지에서 봉기하여 대개 그 지방의 유명한 유생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대표적으로 유인석, 이필희, 서상렬을 비롯하여 춘천의 이소응, 이천과 여수의 박준영과 김하락, 강릉 여주의 민용호 등이 활약하였다.
1905~1906년의 을사의병은 러일전쟁 발발, 한일의정서 체결 등으로 고조된 항일의식이 1905년 을사늑약 강제 체결을 계기로 폭발한 구국항일의병이다.
대표적으로 최익현 의병진, 신돌석 의병진과 더불어 민종식과 안병찬 등이 주축이 된 홍주의병, 그리고 정환직, 정용기 부자의 산남의진 등이 있다.
1907~1910년의 정미의병은 고종의 강제 퇴위, 정미7조약 체결, 대한제국군대 강제해산 등을 계기로 발생하였다. 특히 1907년 8월 강제로 해산된 군인들의 대일항전에서 비롯되었고, 1906년 후반으로 접어들며 기세가 누그러졌던 을사의병이 이를 계기로 하여 거국적으로 확대 및 발전하였다. 원주진위대 해산군인 민긍호와 박준성, 경상북도의 이강년과 신돌석, 경기도의 허위와 연기우, 장성의 기삼연, 함평의 김태원과 심남일, 무주의 문태수, 임실의 이석용 등이 활약하였다.
1895~1896년의 을미의병은 조선 말기 최초의 대규모 항일의병으로, 을미사변 후 왕후폐위조칙 발표, 단발령 시행을 계기로 일어났다.
전국 각지에서 봉기하여 대개 그 지방의 유명한 유생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고, 대표적으로 유인석, 이필희, 서상렬을 비롯하여 춘천의 이소응, 이천과 여수의 박준영과 김하락, 강릉 여주의 민용호 등이 활약하였다.
1905~1906년의 을사의병은 러일전쟁 발발, 한일의정서 체결 등으로 고조된 항일의식이 1905년 을사늑약 강제 체결을 계기로 폭발한 구국항일의병이다.
대표적으로 최익현 의병진, 신돌석 의병진과 더불어 민종식과 안병찬 등이 주축이 된 홍주의병, 그리고 정환직, 정용기 부자의 산남의진 등이 있다.
1907~1910년의 정미의병은 고종의 강제 퇴위, 정미7조약 체결, 대한제국군대 강제해산 등을 계기로 발생하였다. 특히 1907년 8월 강제로 해산된 군인들의 대일항전에서 비롯되었고, 1906년 후반으로 접어들며 기세가 누그러졌던 을사의병이 이를 계기로 하여 거국적으로 확대 및 발전하였다. 원주진위대 해산군인 민긍호와 박준성, 경상북도의 이강년과 신돌석, 경기도의 허위와 연기우, 장성의 기삼연, 함평의 김태원과 심남일, 무주의 문태수, 임실의 이석용 등이 활약하였다.
의열단/의열투쟁
사건설명
의열투쟁이란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일제를 상대로 벌인 무력 투쟁을 일컫는다. 1920년대부터 1930년대까지 이어졌고,
한국 독립운동사의 매우 중요한 항일 투쟁 방식 중 하나이다.
의열단은 의열투쟁을 전개한 대표적인 단체이다. 1919년 만주에서 조직된 항일 무력독립운동 단체로, 김원봉, 윤세주, 황상규 등이 활동하였다. 1919년의 거족적인 3.1운동을 겪은 뒤, 해외로 독립운동기지를 옮긴 애국지사들은 강력한 일제의 무력에 대항해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서는 보다 조직적이고 강력한 독립운동단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계기로 1919년 11월 의열단이 조직되어 1920년대에 활발히 활동하였으며, 조국 독립을 위해 과격한 적극 투쟁과 희생정신을 강조하였다.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조선총독부 투탄의거, 종로경찰서 폭탄누척의거 등이 있다.
의열단은 의열투쟁을 전개한 대표적인 단체이다. 1919년 만주에서 조직된 항일 무력독립운동 단체로, 김원봉, 윤세주, 황상규 등이 활동하였다. 1919년의 거족적인 3.1운동을 겪은 뒤, 해외로 독립운동기지를 옮긴 애국지사들은 강력한 일제의 무력에 대항해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서는 보다 조직적이고 강력한 독립운동단체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를 계기로 1919년 11월 의열단이 조직되어 1920년대에 활발히 활동하였으며, 조국 독립을 위해 과격한 적극 투쟁과 희생정신을 강조하였다. 대표적인 활동으로는 조선총독부 투탄의거, 종로경찰서 폭탄누척의거 등이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사건설명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19년부터 1945년까지 민주공화제의 독립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주권 자치를 실현하였던 임시정부이다. 한일병합조약이 체결되기 전부터 임시정부 수립에 대한 요구가 존재했으나, 3.1운동과 동시에 임시정부 수립 운동이 일어나면서 마침내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 수립되었다. 각료에는 임시의정원 의장 이동녕, 국무총리 이승만, 내무총장 안창호, 외무총장 김규식, 법무총장 이시영, 재무총장 최재형, 군무총장 이동휘, 교통총장 문창범 등이 임명되었다. 대한민국임시정부는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을 파견하는 등 외교활동과 더불어 이봉창과 윤봉길의 의거와 같은 의열투쟁, 육군무관학교 및 비행사양성소 설립, 한국광복군 창설 등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학생독립운동
사건설명
우리 민족이 1945년 독립을 이루기까지 학생들은 조국 독립을 위해 여러 투쟁을 계속하였다.
구한말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여 학생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국권 수호를 위한 투쟁의 선봉에 섰으며, 농촌계몽 및 야학 등의 활동으로 국민의 자주 의식을 고취했다. 1919년 2월 8일에는 일본 도쿄에서 유학생들이 모여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고, 그 영향을 받은 3.1운동 또한 유관순, 어윤희 등 학생들을 주체 세력으로 전개되었다. 1926년에는 학생 중심의 6.10만세운동이 전개되었는데, 전문학교 학생 이병립, 이병호, 이천진, 박두종 등과 중앙고보와 중동학교 학생 박용규, 곽대형, 김재문 등의 학생들이 주도하여 전개되었다. 1929년 10월에는 나주역에서 일본인 학생들이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학생 박기옥, 이금자, 이광춘 등을 희롱하는 사건을 계기로 광주학생항일운동이 일어났고, 이것이 확산되어 대구, 부산 등 주변 지역에서도 학생항일운동이 전개되었다. 그 밖에도 부산의 노다이사건, 대구사범학교 왜관사건 등 학생들이 주도하여 일어난 여러 항일운동으로 하여금 학생들의 조선독립정신은 지속되어 왔다.
구한말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여 학생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국권 수호를 위한 투쟁의 선봉에 섰으며, 농촌계몽 및 야학 등의 활동으로 국민의 자주 의식을 고취했다. 1919년 2월 8일에는 일본 도쿄에서 유학생들이 모여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고, 그 영향을 받은 3.1운동 또한 유관순, 어윤희 등 학생들을 주체 세력으로 전개되었다. 1926년에는 학생 중심의 6.10만세운동이 전개되었는데, 전문학교 학생 이병립, 이병호, 이천진, 박두종 등과 중앙고보와 중동학교 학생 박용규, 곽대형, 김재문 등의 학생들이 주도하여 전개되었다. 1929년 10월에는 나주역에서 일본인 학생들이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학생 박기옥, 이금자, 이광춘 등을 희롱하는 사건을 계기로 광주학생항일운동이 일어났고, 이것이 확산되어 대구, 부산 등 주변 지역에서도 학생항일운동이 전개되었다. 그 밖에도 부산의 노다이사건, 대구사범학교 왜관사건 등 학생들이 주도하여 일어난 여러 항일운동으로 하여금 학생들의 조선독립정신은 지속되어 왔다.
동학농민혁명
사건설명
동학농민혁명은 최제우가 창시한 동학에 기초를 둔 반봉건, 반외세적 성격의 농민민중항쟁이다. 1894년에 전라도 고부의 동학 접주 전봉준을 지도자로 동학교도와 농민들이 합세하여 일으켰다. 총 2차에 걸쳐 전개되었는데, 1차 봉기는 전라도 고부 지방의 관리 조병갑의 횡포와 동학교도 탄압에 대항하여 발생하였고, 이후 동학군의 해산에도 불구하고 일제가 내정간섭, 청일전쟁, 갑오개혁 등을 강행하자 반외세를 외치며 2차로 봉기하였다. 그러나 결국 우금치전투에서 관군과 일본군에 패하고 1895년 1월 전봉준에 이어 손화중 등 동학농민 지도부 대부분이 체포되고 교수형에 처해지면서 동학농민혁명은 실패로 막을 내리게 되었다. 그러나 동학농민군은 후에 일어난 항일의병항쟁의 중심 세력이 되었다.
국내 항일 운동
사건설명
조선 땅에 잔혹한 일제의 지배가 드리워진 암울한 시기에도 우리 민족은 독립을 목적으로 주력하기를 그치지 않았다. 독립지사들은 국내 독립운동을 위한 여러 단체를 조직하였는데, 기독교 등 종교와 결합하거나 농민이 중심이 되어 활동하는 등 성격이 다양했다. 그들은 친일부호를 처단하고 독립군을 양성함과 동시에 3.1운동의 계획을 세우거나 군자금을 모집하여 국내 독립운동단체의 존속을 지원하였다. 더불어 선전물을 배포하고 야학을 설치하여 식민지 수탈의 실상과 독립 달성을 역설하며 민족의식을 고취하였다.
해외 항일 운동
사건설명
독립운동을 위한 열망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들끓었다. 우리 민족은 구주(유럽), 노령(러시아의 시베리아 일대), 만주, 미주,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등에서 활동하며, 위치한 곳과 상관없이 오직 조국 독립의 목적을 위해 몸과 마음을 바쳐 독립운동에 매진하였다.
독립지사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항일의식교육을 펼치고 독립군 양성을 도모하였다. 또한 프랑스의 파리강화회의에 독립청원서를 보내고 유럽 등지에 우리 민족의 참혹한 실상을 알리는 등, 여러 방면에서 조국의 독립을 호소하였다.
독립지사들은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항일의식교육을 펼치고 독립군 양성을 도모하였다. 또한 프랑스의 파리강화회의에 독립청원서를 보내고 유럽 등지에 우리 민족의 참혹한 실상을 알리는 등, 여러 방면에서 조국의 독립을 호소하였다.
기타
사건설명
1894년 동학농민운동을 시작으로 1945년 광복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은 오직 정의롭고 자주적인 국가를 위해 힘써왔다. 우리는 그 과정에서 목숨을 바쳐 투쟁하고 희생된 애국지사들의 넋을 기리고 그 흔적을 기억해야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