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유흥주
한자명
柳興柱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0 ~ 1952
본적
전라남도 순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 12 낙안독립만세시위운동을 주도하다 체포되어 1919. 6. 30 대구복심법원에서 징역 1년6월형을 확정받은 공적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희상
한자명
柳熙庠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1 ~ 미상
본적
경기도 양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1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31일 경기도(京畿道) 양주군(楊州郡) 진접면(榛接面) 부평리(富坪里)에서 주민들과 함께 광릉천(光陵川)강가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전개하다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유희상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유희선
한자명
劉熙善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미상 ~ 1919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0년

공적개요

1919. 3. 7. 평북(平北) 철산군(鐵山郡)에서 안태영(安泰英) 등이 주도하는 독립만세 시위 운동(獨立萬歲示威運動)에 참여하여 활동하다가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희순
한자명
兪熙淳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6 ~ 1960
본적
전라북도 군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 6 군산(群山) 독립만세시위를 모의하고 독립선언문(獨立宣言文)을 제작 배포(製作配布)하며 시위운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어 1919. 4. 30 대구복심법원(大邱覆審法院)에서 징역 1년 6월형을 언도 받고 동년(同年) 6월 12일 상고(上告)하였으나 기각(棄却) 확정(確定)된 사실이 확인됨.

유희순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유희영
한자명
柳熙永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3 ~ 1969
본적
전라북도 고창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ㆍ1919년 철원애국단원(鐵原愛國團員)으로 활약 피검 조선병합사(朝鮮倂合史) p.479~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160 항일순국의열사전(抗日殉國義烈士傳) p. ㆍ1920.11.23 징역8개월 언도 매일신보(每日申報) 4673호

인물정보

성명
유희준
한자명
柳熙俊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0 ~ 1944
본적
충청남도 서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29. 11. 8 군자금모집을 위하여 한우석(韓禹錫) 등과 같이 대전군(大田郡) 기성면(杞城面) 용촌리(龍村里), 정순학 가(鄭淳學家)에 들어갔다 일경에 체포되어 경성복심법원에서 7년형을 언도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희찬
한자명
劉熙贊
운동계열
미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7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19년 미국 워싱턴주 야키마에서 파출소 위원, 1921년 대한인국민회 야키마 지방회 부회장, 1922년 동회 회장으로 활동함. 1920년 3월 야키마 지방회의 독립선언 제2주년 행사에서 축사를 하고, 1921년 1월 식민지 한국의 참상과 독립운동의 절박함을 주제로 강연한 케불 목사 환영회에 참석해 답사를 함. 1919년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인물정보

성명
유희철
한자명
劉熙哲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3 ~ 1942
본적
경기도 강화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 18 강화군(江華郡) 부내면(府內面)으 3.1운동계획에 참가하여 태극기와 독립선언문을 작성하여 시위군중에게 배부하면서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활동하다가 피체되어 징역 10월을 받았으나 미결기간을 합산하여 1년여의 옥고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희탁
한자명
劉熺倬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5 ~ 1965
본적
경상남도 거창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 4. 8. 경남(慶南) 거창군(居昌郡) 위천면(渭川面) 남천리(南川里)에서 동지(同志) 정대필(鄭大弼) 이형준(李衡俊)과 함께 위천(渭川) 장날에 독립만세시위 거사(擧事)를 전개(展開)하기로 결정하고 위천(渭川) 마리(馬利) 북상(北上) 3개면(個面) 유림(儒林)을 통하여 동지(同志)를 규합하다가 이날 장터 중앙(中央)에 나아가 독립만세를 선창(先唱)하므로써 시위군중이 일제(一齊)히 화창(和唱)하자 일경(日警)이 총검(銃劒)으로 탄압하므로 일 헌병주재소(日憲兵駐在所)를 습격하고 계속(繼續)시위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육동백
한자명
陸東百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08 ~ 2007
본적
충청북도 옥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26.6 비밀결사(秘密結社) 건아단(健兒團) 조직에 참여하여 농민 계발(農民啓發)로서 신사회(新社會) 실현을 위하여 활동하다 일경(日警)에 피체되어 퇴교(退校)를 당하고 예심(豫審) 18개월 옥고 후 면소(免訴) 석방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육창주
한자명
陸昌柱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6 ~ 1950
본적
충청북도 옥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충북(忠北) 옥천(沃川)에서 허상기(許相基) 등과 함께 만세운동을 모의하고 준비하여 동월(同月) 27일 동군(同郡) 이원시장(伊院市場)에서 독립만세 시위를 주도하다가 이원헌병주재소(伊院憲兵駐在所)의 헌병에게 연행되었으나 탈출하여 다시 만세시위를 지휘하고 주재소에 투석하는 등의 항거를 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육학림
한자명
陸學林
운동계열
일본방면
생몰년도
1901 ~ 1945
본적
함경북도 길주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25년 내용 미상의 제령(制令) 제7호(號) 위반 사건으로 징역 8월(미통(未通) 90일)을 받고 청진형무소(淸津刑務所)에서 복역하였고, 1926년에는 간도(間島)에서 동만청년총연맹(東滿靑年總聯盟) 위원장(委員長) 겸 집행위원(執行委員)으로 활동하였으며, 1929년 4월 중순경 일본(日本) 동경(東京)에서 인정식(印貞植)의 권유로 고려공산청년회(高麗共産靑年會) 일본부(日本部)에 입회하여 동청년회 동경구역국(東京區域局) 선전부 책임자로 지명되어 원산노동쟁의(元山勞働爭議)에 대한 선전인쇄물의 발행을 책임졌고 「레닌주의」 제1호 역문 등을 이용하여 회원 후보자들에게 마르크스주의 이론을 교양하기도 하였으며, 조직의 확장을 위해 동경(東京) 조선노동조합(朝鮮勞働組合)의 프랙션, 대기(大崎)야체이카 책임자로 활동하다가 동년 5월 중순 이후 시작된 대검거 당시 체포된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유흥주

한자명

柳興柱

생몰년도

1870 ~ 195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순천

자세히 보기

성명

유희상

한자명

柳熙庠

생몰년도

1881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기도 양주

자세히 보기

성명

유희선

한자명

劉熙善

생몰년도

미상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유희순

한자명

兪熙淳

생몰년도

1876 ~ 196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군산

자세히 보기

성명

유희영

한자명

柳熙永

생몰년도

1893 ~ 1969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고창

자세히 보기

성명

유희준

한자명

柳熙俊

생몰년도

1880 ~ 1944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서천

자세히 보기

성명

유희찬

한자명

劉熙贊

생몰년도

미상 ~ 1927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훈격

202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유희철

한자명

劉熙哲

생몰년도

1893 ~ 194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강화

자세히 보기

성명

유희탁

한자명

劉熺倬

생몰년도

1885 ~ 196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거창

자세히 보기

성명

육동백

한자명

陸東百

생몰년도

1908 ~ 2007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옥천

자세히 보기

성명

육창주

한자명

陸昌柱

생몰년도

1886 ~ 195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옥천

자세히 보기

성명

육학림

한자명

陸學林

생몰년도

1901 ~ 1945

운동계열

일본방면

포상훈격

2005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북도 길주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