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유복만
한자명
柳福萬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미상
본적
경기도 안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경기도 안성군 양성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다 체포되어 태 60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유복섭
한자명
劉福燮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5 ~ 1949
본적
전라북도 옥구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 3. 5 전북(全北) 옥구(沃溝)에서 영명학교(永明學校)에 재학중 군산(群山)장날인 3월 6일을 기(期)해 독립만세운동을 펴기로 계획하였으나 일경의 탐지로 동지들이 연행되자 학생 예수교신자 부근주민 등 500여명의 군중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며 군산시내를 시위행진하고 구속자 석방을 요구하는 등 만세시위를 전개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복영
한자명
柳福永
운동계열
문화운동
생몰년도
1887 ~ 1937
본적
충청남도 대전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법원입회서기(法院立會書記) 근무시(勤務時)부터 그후 변호사(辯護士)로 종사(從事)할때까지 왜관헌(倭官憲)들의 불법행위(不法行爲)에 대항(對抗) 투쟁(鬪爭) 하였으며 특히 광주학생사건(光州學生事件) 당시 구속학생(拘束學生)들의 무료변론(無料辯論)을 위하여 헌신(獻身)함.

인물정보

성명
유복윤
한자명
柳福潤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4 ~ 1940
본적
충청남도 부여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30년 2월경 충남 부여군에서 조선일보 지국원으로 부여농업보습학교 항일격문사건 관계자로 체포되어 불기소 처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유봉기
한자명
柳奉基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1 ~ 1978
본적
전라남도 영광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 3. 26 전남(全南) 영광군(靈光郡) 영광면(靈光面)에서 서순채(徐淳彩) 등과 함께 독립사상을 고취하고자 "유년필독(幼年必讀)"에 게재된 문구를 초출(抄出), 약 20매를 작성하여 나누어 가졌으며, 동일(同日) 밤에는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계획하고 태극기를 수매 제작하여 부근 학생 등을 규합, 3월 27일 군중 5백여명과 함께 만세시위를 전개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봉목
한자명
兪鳳穆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8 ~ 1945
본적
전라남도 여수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8 경성(京城) 체재중 독립운동에 관한 신문기사를 읽고 감명을 받아 자신도 독립운동을 전개하여야 겠다고 결심하고 전남(全南) 여수(麗水)에 귀향하여 이선우(李善雨) 등과 태극기를 제작하며 사전 계획을 하다 실패하자 군수에게 협박장을 송부하는 등 활동을 하다 피체되어 징역 10월(미결구류 30일 본형산입)을 받았으나 미결기간을 합산하여 11월간의 옥고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유봉목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유봉석
한자명
柳鳳錫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57 ~ 1909
본적
강원도 기타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896년 1월 충북(忠北) 제천(堤川)에서 유인석(柳麟錫) 김경원(金敬遠) 유중락(柳重洛)과 함께 의병(義兵)을 일으켜 항쟁(抗爭)하였으며 1907년 7월 경춘도계(京春道界)에서 다시 의병(義兵) 활동(活動)을 한 사실이 확인됨.

유봉석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유봉승
한자명
柳琫承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1 ~ 1956
본적
경상남도 남해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남해(南海) 설천(雪川) 여수(麗水) 삼일 독립만세 시위 운동(三一獨立萬歲示威運動)에 가담(加擔) 활약(活躍)하고 징역 2년형(年刑)을 언도(言渡)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봉영
한자명
柳鳳榮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58 ~ 1896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4년

공적개요

1896년 경북(慶北) 안동(安東), 영양(英陽) 등에서 의병운동에 가담하였다가 1896년 8월 피살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봉영
한자명
劉鳳榮
운동계열
문화운동
생몰년도
1897 ~ 미상
본적
평안북도 철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3.1운동(運動) 당시(當時) 철산(鐵山)에서 주동(主動), 활약(活躍)하였으며 그후(後) 상해(上海), 만주(滿洲)로 왕래(往來)하면서 독립운동(獨立運動)에 가담 활동(加擔活動)하다가 1935년부터는 조선일보사(朝鮮日報社)에서 언론 창달(言論暢達)과 민족 사상 고취(民族史想鼓吹)를 위하여 주력(注力)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봉우
한자명
劉奉祐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61 ~ 1947
본적
전라북도 익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19. 3. 2. 전북(全北) 익산군(益山郡) 웅포면(熊浦面)에서 천도교(天道敎) 이리교구(裡里敎區)의 신자(信者)로서 동 신자(同信者)인 최재붕(崔在鵬)으로부터 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를 배부받아 담당구역인 웅포면(熊浦面)에 배포하였으며, 교주(敎主) 최제우(崔濟愚) 순도(殉道) 기념일인 3월 10일 여러 동지들과 함께 시위운동을 전개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4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유봉진
한자명
劉鳳鎭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6 ~ 1956
본적
경기도 강화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 5 강화읍(江華邑) 경찰서(警察署) 앞에서 결사대(決死隊)를 조직하여 지역 책임자(地域責任者)가 되어 군수(郡守) 등 관헌(官憲)들을 강압(强壓)으로 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를 함께 하는 등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 형을 언도받고 주모자(主謀者)로서의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유복만

한자명

柳福萬

생몰년도

1896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기도 안성

자세히 보기

성명

유복섭

한자명

劉福燮

생몰년도

1895 ~ 194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옥구

자세히 보기

성명

유복영

한자명

柳福永

생몰년도

1887 ~ 1937

운동계열

문화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대전

자세히 보기

성명

유복윤

한자명

柳福潤

생몰년도

1914 ~ 1940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부여

자세히 보기

성명

유봉기

한자명

柳奉基

생몰년도

1901 ~ 1978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영광

자세히 보기

성명

유봉목

한자명

兪鳳穆

생몰년도

1898 ~ 194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여수

자세히 보기

성명

유봉석

한자명

柳鳳錫

생몰년도

1857 ~ 1909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유봉승

한자명

柳琫承

생몰년도

1901 ~ 195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남해

자세히 보기

성명

유봉영

한자명

柳鳳榮

생몰년도

1858 ~ 1896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4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유봉영

한자명

劉鳳榮

생몰년도

1897 ~ 미상

운동계열

문화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철산

자세히 보기

성명

유봉우

한자명

劉奉祐

생몰년도

1861 ~ 194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익산

자세히 보기

성명

유봉진

한자명

劉鳳鎭

생몰년도

1886 ~ 195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강화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