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엄주태
한자명
嚴柱泰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0 ~ 1928
본적
경상남도 양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 27 경남(慶南) 양산군(梁山郡) 양산(梁山)장날에 운집(雲集)한 3,000여명(餘名)의 군중(群衆)을 규합(糾合)하여 미리 준비(準備)된 독립선언문(獨立宣言文)과 경고문(警告文)등을 배부(配付)하며 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를 주동(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2년 6월형(月刑)을 받아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엄주필
한자명
嚴柱弼
운동계열
노령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0
본적
함경북도 미상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0년 노령(露領) 해삼위(海蔘威)로 망명하여 최재형(崔在亨)과 함께 기의(起義)하였고, 1918년 동지(同地)에서 제3회 민단장(民團長)으로 선출되어 독립운동(獨立運動)의 지도자(指導者)로 활동하였고 1920. 4월 노령(露領) 니꼴스크에 파견(派遣)된 일본(日本) 군대(軍隊)에 대항하는 반일 활동(反日活動)을 벌인 혐의(嫌疑)로 피체(被逮)되었다가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엄주현
한자명
嚴柱賢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0 ~ 1984
본적
강원도 회양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3년

공적개요

1935년 3월 강원(江原) 회양군(淮陽郡)에서 함용환(咸用煥)을 교주(敎主)로 하는 삼도교(三道敎)에 가입하여, 이듬해 12월, 1937년 3월 서울에서 천도교(天道敎) 신도이자 삼도교 신도로서 천도교와 삼도교의 독립운동 제휴를 모색하였고, 동년(同年) 3월 9일 동지(同地)에서 함용환 등과 함께 조선총독부 앞 광장에서 독립만세운동을 할 것을 계획하여, 동월(同月) 8일 시위에 필요한 물품을 준비하고 익(翌) 9일 시위에 참가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엄준
한자명
嚴俊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5 ~ 1919
본적
경상남도 울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 4. 4 경남(慶南) 울산군(蔚山郡) 하상면(下廂面) 병영리(兵營里)의 독립만세 거사를 위하여 태극기 500여매를 만들고 「대한독립만세」라고 쓴 큰 기(旗)를 만들어 시위군중이 대한독립만세를 고창하는 가운데 일군(日軍)에게 덤벼들어 총기와 대도(帶刀) 등을 탈취하려다가 일군수비대의 무차별 발포로 사살 순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엄준섭
한자명
嚴俊燮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4 ~ 미상
본적
함경남도 장진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2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함경남도(咸鏡南道) 장진군(長津郡) 신남면(新南面) 고토리(古土里)에서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엄진영
한자명
嚴進永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9 ~ 1947
본적
경상남도 부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3.1운동시 동래에서 독립만세시위를 하고 항일독립운동을 계속하여 2년징역의 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엄창권
한자명
嚴昌權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32
본적
황해도 안악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3.28 황해도(黃海道) 안악군(安岳郡) 안악읍(安岳邑) 장날에 이용삼(李龍參) 김기형(金基瀅) 등이 발의한 독립만세시위거사에 이명교(李明敎) 김태섭(金泰燮) 김원익(金元翊)등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고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위하다가 피체되어 징역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엄창근
한자명
嚴昌根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1 ~ 미상
본적
충청남도 당진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1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서울 봉래정(蓬萊町) 공터 및 의주통(義州通) 방면에서 군중들과 함께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엄창섭
한자명
嚴昌燮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2 ~ 1973
본적
전라북도 익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3.10 강경읍내(江景邑內) 3.1운동에 태극기 등을 주민에게 배포하면서 시위운동을 주도하다가 체포되어 징역2년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엄창수
한자명
嚴昌樹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3 ~ 1989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0.5 금산시장(錦山市場) 친우계(親友稧)를 조직하고 조선인 지원병(朝鮮人志願兵) 불합격(不合格) 자초 방안(自招方案)을 모의하며 진락산(進樂山) 암석(岩石)에 태극기(太極旗)와 조선독립만세 목탑(朝鮮獨立萬歲木塔)을 세워 항일심(抗日心)을 환기하다 징역1년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엄창수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엄청득
한자명
嚴淸得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8 ~ 1970
본적
경상남도 밀양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3일 경남 밀양군 밀양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군중과 함께 만세시위를 벌이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태 90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엄춘섭
한자명
嚴春燮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883 ~ 1933
본적
함경북도 경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년 8월 함북(咸北) 경성군(鏡城郡) 주남면(朱南面) 연통제(聯通制) 삼향동(三鄕洞) 사감(司監)에 선임(選任)되어 상해 임정(上海臨政)을 지원(支援)하기 위한 군자금(軍資金) 모집(募集)과 군대(軍隊)의 이동상황(移動狀況)등을 파악(把握)하며 활동(活動)하다가 1919 년12월 피체(被逮)되어 징역 8월을 받았으나 미결기간(未決期間)을 합산(合算)하여 1년 4월여간(月餘間)의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엄주태

한자명

嚴柱泰

생몰년도

1900 ~ 1928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양산

자세히 보기

성명

엄주필

한자명

嚴柱弼

생몰년도

미상 ~ 1920

운동계열

노령방면

포상훈격

1995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북도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엄주현

한자명

嚴柱賢

생몰년도

1900 ~ 1984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3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회양

자세히 보기

성명

엄준

한자명

嚴俊

생몰년도

1885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울산

자세히 보기

성명

엄준섭

한자명

嚴俊燮

생몰년도

1874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2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장진

자세히 보기

성명

엄진영

한자명

嚴進永

생몰년도

1899 ~ 194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부산

자세히 보기

성명

엄창권

한자명

嚴昌權

생몰년도

1890 ~ 193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안악

자세히 보기

성명

엄창근

한자명

嚴昌根

생몰년도

1881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1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당진

자세히 보기

성명

엄창섭

한자명

嚴昌燮

생몰년도

1892 ~ 197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익산

자세히 보기

성명

엄창수

한자명

嚴昌樹

생몰년도

1923 ~ 1989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금산

자세히 보기

성명

엄청득

한자명

嚴淸得

생몰년도

1898 ~ 197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밀양

자세히 보기

성명

엄춘섭

한자명

嚴春燮

생몰년도

1883 ~ 1933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북도 경성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