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양영준
한자명
梁永俊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2 ~ 1951
본적
전라북도 순창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09. 8. 24. 김인성 의진(金仁成義陣)에서 동지 수인(同志數人)과 같이 「칼」을 휴대(携帶)하고 순창군(淳昌郡) 팔등면(八等面) 월곡리(月谷里) 이장(里長)으로부터 군자금(軍資金)을 모집(募集)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7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영택
한자명
梁永澤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7 ~ 1982
본적
전라남도 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신간회(新幹會) 나주지회(羅州支會)의 총무(總務)로 1929. 11월 나주(羅州) 장날 광주학생운동(光州學生運動)에 동조하여 박공근(朴恭根) 및 학생들과 함께 나주지역에서 구속학생 석방요구 전단을 살포하며 만세시위를 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10월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르던 중 다시 상해죄(傷害罪)로 징역 4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영호
한자명
梁永浩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0 ~ 1921
본적
평안북도 초산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2년

공적개요

1921년 중국(中國) 집안현(輯安縣) 차잠동(車岑洞)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연통제 초산군청 군감으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왕석
한자명
梁旺錫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0 ~ 1967
본적
경상남도 김해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8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10일 경남(慶南) 김해군(金海郡) 명지면(鳴旨面) 중리(中里) 명호시장(鳴湖市場)에서 태극기를 들고 군중 50여 명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치고, 이튿날인 4월 11일 동면(同面)에서 군중 30여 명과 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를 벌이다 체포되어 징역 6월, 집행유예(執行猶豫) 2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양용태
한자명
梁龍台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1 ~ 미상
본적
평안북도 초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19년 중국(中國) 집안현(輯安縣) 마제구(馬蹄溝)에서 독립단(獨立團) 검찰(檢察)로 독립단(獨立團) 반대자를 처단하려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2년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양용호
한자명
楊用浩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0 ~ 미상
본적
경상북도 대구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07년 9월경부터 11월 초까지 경기도 양근군에서 김영준 의진(金永俊義陣)에 참여하여 십 수 명과 함께 의병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3년을 받고 옥고를 치르던 중 탈옥을 시도했다가 다시 체포되어 징역 7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양용환
한자명
梁用桓
운동계열
문화운동
생몰년도
1904 ~ 1943
본적
전라남도 구례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기독교 목사로서 구례 고흥 등지에서 신도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고 신사참배 반대운동을 전개하는 등 약 4년 동안 항일운동을 계속한 사실이 확인됨.

양용환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양우조
한자명
楊宇朝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897 ~ 1964
본적
평안남도 강서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3년

공적개요

1. 1915년에 중국(中國) 상해(上海)로 망명하였다가 2. 1919년에 도미(渡美) 3. 1921년에 재미 흥사단(在美興士團)에 입단 (단번호(團番號) 199) 4. 1929년 상해(上海)에 도착하여 독립운동에 협력하고 문화사업으로 혁신사(革新社)를 창립 5. 1937년 임시정부(臨時政府) 재무부 차장(財務部次長)을 역임 6. 1937년 한독당(韓獨黨)을 재조직 강화(再組織强化) 당중앙상무간사(黨中央常務幹事) 중앙훈련부(中央訓練部), 조직부(組織部), 재무부(財務部) 등의 부장(部長) 역임 7. 1941년 임시정부(臨時政府)의 생계부 차장(生計部次長)에 피임되어 전시(戰時) 중국에 산재한 교포(僑胞)를 보호, 동년에 광복군총사령부 참사(光復軍總司令部參事), 정훈처장(政訓處長) 8. 1944년 재중경 기독교 청년회(在重慶基督敎靑年會) 이사(理事) 겸(兼) 덕육(德育) 및 지육부장(智育部長)에 피선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인물정보

성명
양운경
한자명
梁雲京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2 ~ 미상
본적
전라북도 기타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1909년 정성현 의진(鄭聖鉉義陣)에 속하여 전북(全北) 태인군(泰仁郡)에서 활동하다가 동년 10월 17일 체포되어 태(笞) 10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운성
한자명
梁雲聖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3 ~ 미상
본적
전라북도 전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31년 7월 전북 전주에서 조선공산당 재건을 위한 비밀결사에 가입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4월, 집행유예 4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양운칠
한자명
梁云七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7 ~ 1941
본적
충청남도 홍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1일 밤 충남(忠南) 홍성군(洪城郡) 금마면(金馬面) 가산리(佳山里) 임시 연극 흥행장에서 대한독립만세를 고창하고, 다음날 홍성시장에 나가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만세시위에 참여하다 체포되어 태(笞) 90도(度)를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원모
한자명
梁遠謨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58 ~ 1942
본적
전라남도 곡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05년 을사조약이후 은밀히 의병을 지원하였으며, 전남(全南) 곡성군(谷城郡) 촌동면 방장(면장)으로 1909년 동면 선주산에 주둔한 조규하 의진의 군량 등을 지원하던 중, 구례 헌병대가 출동하여 조규하의병장이 순국하고 의병이 흩어진 후 일병출동전 의병에게 사살된 적 수색대원 7명의 시체가 발견되어 일군이 주민들을 해치려 할 때 이에 저항하고 방장으로 이를 보고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피체되어 혹독한 고문으로 거의 죽음에 이르자 적들은 사망으로 간주하고 철수하여 가까스로 소생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양영준

한자명

梁永俊

생몰년도

1882 ~ 1951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순창

자세히 보기

성명

양영택

한자명

梁永澤

생몰년도

1907 ~ 1982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나주

자세히 보기

성명

양영호

한자명

梁永浩

생몰년도

1890 ~ 1921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2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초산

자세히 보기

성명

양왕석

한자명

梁旺錫

생몰년도

1900 ~ 196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김해

자세히 보기

성명

양용태

한자명

梁龍台

생몰년도

1881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5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초산

자세히 보기

성명

양용호

한자명

楊用浩

생몰년도

1880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21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북도 대구

자세히 보기

성명

양용환

한자명

梁用桓

생몰년도

1904 ~ 1943

운동계열

문화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구례

자세히 보기

성명

양우조

한자명

楊宇朝

생몰년도

1897 ~ 1964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훈격

1963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남도 강서

자세히 보기

성명

양운경

한자명

梁雲京

생몰년도

1862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북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양운성

한자명

梁雲聖

생몰년도

1913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북도 전주

자세히 보기

성명

양운칠

한자명

梁云七

생몰년도

1887 ~ 194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홍성

자세히 보기

성명

양원모

한자명

梁遠謨

생몰년도

1858 ~ 1942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곡성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