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양만섭
한자명
운동계열
노령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1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21년 12월 4일 러시아 연해주 이만에서 대한의용군 2중대 중대원으로 일본군의 지원을 받는 러시아 백군(白軍)과 전투를 벌이다 전사 순국함.

인물정보

성명
양만우
한자명
梁萬佑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7 ~ 1968
본적
경상남도 양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1920년 불교청년회(佛敎靑年會)에 가입하여 1922년 3월 서울에서 친일(親日)승려로 알려진 용주사(龍珠寺) 주지(住持) 강대련(姜大蓮)을 교단에서 쫓아내는 ‘명고축출(鳴鼓逐出)’사건을 주동하여 징역 4월 집행유예(執行猶豫) 3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명
한자명
梁明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902 ~ 미상
본적
경상남도 통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7년

공적개요

1924년 중국(中國) 북경(北京)에서 한교동지회원(韓僑同志會員)으로 활동하였고 1926년 12월 제3차 고려공산청년회 책임비서, 1928년 3월 조직된 제4차 조선공산당 중앙간부 및 정치부 위원, 상해야체이카 p책임위원 등으로 활동하였으며 1929년부터 상해(上海)에서 조선공산당 ML파 기관지『계급투쟁(階級鬪爭)』을 발간하였고 동년(同年) 5월 조선공산당 재조직대회에서 중앙간부로 선임되어 한위건(韓偉鍵) 등과 함께 일본(日本) 동경(東京)과 국내에 RS협의회와 같은 비밀결사의 조직을 지도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명복
한자명
梁命福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21 ~ 미상
본적
경상남도 통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대구사범학교(大邱師範學校) 학생(學生), 졸업(卒業)에 긍(亘)하여 비밀결사(秘密結社)를 조직(組織)하여 독립(獨立), 민족 문화 육성(民族文化育成)의 주동자(主動者)가 되기 위(爲)하여 활약(活躍)하고 졸업(卒業) 후(後)엔 교원직(敎員職)을 통하여 동지(同志)를 규합(糾合)코 학생(學生)과 학부형(學父兄)에게 민족의식(民族意識)을 고취(鼓吹)하며 문화(文化)를 통(通)한 독립운동(獨立運動)을 전개(展開)타가 피검(被檢)되어 치안유지법(治安維持法)을 적용(適用), 다음과 여(如)히 처형(處刑)됨.(통칭(通稱) 대구사범교(大邱師範校) 사건(事件)) 1941. 8 사건 발생(事件發生) 1942. 1 예심회부(豫審回附) 1943. 2 예심종결(豫審終結) 공판회부(公判回附) 1944. 2 징역 2년 6개월(個月) 언도(言渡) 1945. 8 복역(服役) 중 해방(解放) 출옥(出獄)

인물정보

성명
양명수
한자명
梁明守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6 ~ 1946
본적
경상남도 창원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3년

공적개요

1919년 6월 3·1독립만세운동으로 징역5월을 받았고, 1920년 조선청년회연합회에 창원군 남산청년회의 부대표로 참석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문순
한자명
梁文淳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2 ~ 1927
본적
전라북도 남원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9년

공적개요

1907년 전북(全北) 남원(南原)에서 양한규(梁漢奎), 박재홍(朴在洪)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양한규(梁漢奎)를 의병장(義兵將)으로 추대하고 진용을 갖춘후 남원읍(南原邑)을 점령하는 등 항일의병 활동(抗日義兵活動)을 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진도(珍島)에 유배(流配)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방매
한자명
梁芳梅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90 ~ 1986
본적
전라남도 영암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08년 심남일 의진(沈南一義陣)의 부장(部將)인 강무경(姜武景)의 부인으로 강무경(姜武景)과 함께 의진(義陣)에 참여하였다가 1909년 10월 9일 일군(日軍)에 체포(逮捕)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병선
한자명
楊柄善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19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만주(滿洲)에서 독립당원(獨立黨員)으로 활동하였고, 상해(上海)로 이동하여 활동하다가 1919. 8. 24. 남경(南京)에서 병사(病死)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병시
한자명
梁秉時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5 ~ 1949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33년 6월 제주도 한림면에서 신사상에 입각한 비밀결사 조직에 참여해 활동하고 동년 10월 제주도 비합법 농민조합 조직 건설을 위해 활동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2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양병칠
한자명
梁柄七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2 ~ 192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0.10.17 만주(滿洲) 대황구(大荒溝)에서 군자금(軍資金)을 모집(募集)하여 독립군(獨立軍)에게 조달중(調達中) 일군(日軍)에게 피체(被逮)되어 총살(銃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양봉
한자명
梁鳳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1 ~ 미상
본적
전라남도 제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18년 10월 전남 제주도 좌면에서 법정사 항일운동에 참여해 활동하다 벌금 30원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양봉규
한자명
梁鳳奎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함경남도 삼수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함남(咸南) 삼수(三水)지역의 군인출신으로 1907년 대한제국(大韓帝國) 군대(軍隊) 강제 해산(解散) 후 거의(擧義)하여 의병장(義兵將)으로서 수십명의 군사를 인솔하고 함남(咸南) 삼수(三水), 갑산(甲山), 장진(長津), 후창(厚昌) 등지를 무대로 친일파를 처단하고 일군수비대를 습격하는 등 항일활동(抗日活動)을 한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양만섭

한자명

생몰년도

미상 ~ 1921

운동계열

노령방면

포상훈격

202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양만우

한자명

梁萬佑

생몰년도

1897 ~ 1968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양산

자세히 보기

성명

양명

한자명

梁明

생몰년도

1902 ~ 미상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훈격

2007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남도 통영

자세히 보기

성명

양명복

한자명

梁命福

생몰년도

1921 ~ 미상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남도 통영

자세히 보기

성명

양명수

한자명

梁明守

생몰년도

1896 ~ 1946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3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창원

자세히 보기

성명

양문순

한자명

梁文淳

생몰년도

1862 ~ 1927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9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남원

자세히 보기

성명

양방매

한자명

梁芳梅

생몰년도

1890 ~ 1986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5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영암

자세히 보기

성명

양병선

한자명

楊柄善

생몰년도

미상 ~ 1919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양병시

한자명

梁秉時

생몰년도

1915 ~ 1949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9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제주도 제주

자세히 보기

성명

양병칠

한자명

梁柄七

생몰년도

1882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양봉

한자명

梁鳳

생몰년도

1891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남도 제주

자세히 보기

성명

양봉규

한자명

梁鳳奎

생몰년도

미상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삼수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