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안홍
한자명
安鴻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9 ~ 1930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3년

공적개요

1922년 중국(中國) 남만주(南滿洲)에서 광복군총영(光復軍總營) 모험대장(冒險隊長), 1923년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 호위대장(護衛隊長), 1924ㆍ25년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 제5중대장(中隊長)ㆍ헌병대장(憲兵隊長), 1926~28년 정의부(正義府) 제6중대장(中隊長)ㆍ헌병대장(憲兵隊長), 1929ㆍ30년 국민부(國民府) 외무부(外務部) 집행위원(執行委員) 및 중앙검리(中央檢理)ㆍ조선혁명군(朝鮮革命軍) 제4대장 등으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홍갑
한자명
安洪甲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7 ~ 1924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1924년 1월 중국(中國) 길림성(吉林省) 장백현(長白縣) 팔도구(八道溝)에서 독립단(獨立團) 혐의로 체포(逮捕)되어 총살(銃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홍근
한자명
安洪根
운동계열
노령방면
생몰년도
1881 ~ 1928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1918년 4월 러시아 하바로프스크에서 ‘한인사회당(韓人社會黨) 조직에 참가하였고, 동년 8월말 독립운동단체의 일원으로 적위군(赤衛軍)과 함께 이만전투에 참여하여 일본군과 교전하였으며, 1922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수청촌(水淸村)에서 독립군자금을 모금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화여
한자명
安化如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6 ~ 미상
본적
전라북도 기타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6년

공적개요

1908년 음(陰) 9월 전북(全北) 무장(茂長)‧고창군(高敞郡)에서 김참봉 의진(金參奉義陣)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징역 8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안화종
한자명
安和鍾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8 ~ 1965
본적
경상북도 영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 3. 22 경북(慶北) 영일군(迎日郡) 청하면(淸河面) 덕성리(德城里)에서 독립만세거사 계획을 주동(主動)한 윤영복(尹永福) 오용우(吳用于)와 함께 덕성리(德城里) 시장군중을 모아 태극기를 흔들고 독립만세를 고창(高唱)하며 주도적(主導的)으로 활동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화중
한자명
安華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2 ~ 1921
본적
경상남도 동래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4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9일 경남(慶南) 동래군(東萊郡) 구포면(龜浦面) 구포시장(龜浦市場)에서 천여 명의 군중과 시장 상인들의 독립만세운동 참여를 지휘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확
한자명
安廓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6 ~ 1946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10년대 경남(慶南) 마산(馬山) 소재 창신학교(昌信學校)의 교사로 재직하며 항일 민족교육(抗日民族敎育)을 실사하였고 1915. 1. 15(음력) 경북(慶北) 달성군 수성면(達城郡壽城面) 안일암(安逸庵)에서 결성된 조선국권회복단(朝鮮國權恢復團) 중앙총부(中央總部)의 마산지부장(馬山支部長)으로 활동하고 1920. 12. 조선청년회연합회(朝鮮靑年會聯合會)를 조직, 집행위원(執行委員)으로 교무부(敎務部)를 맡아 잡지「아성(我聲)」을 발간하여 청년 계몽운동(靑年啓蒙運動)에 힘썼으며 국학 연구(國學硏究)를 통해 민족문화의 보존, 발전에 기여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효봉
한자명
安孝奉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2 ~ 미상
본적
충청남도 홍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9년 4월경 충남 홍성군 홍동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태 30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안효제
한자명
安孝濟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50 ~ 1916
본적
경상남도 의령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895. 8월 명성황후(明成皇后) 살해(殺害)와 폐출(廢黜)됨을 통분(痛憤)하고 즉시(卽時) 상경(上京)하여 최익현(崔益鉉)과 국권 회복(國權恢復)을 논(論)하고 1910년 한일합병(韓日合倂)이 늑체(勒締)됨에 입산불출(入山不出)하다 일제(日帝)의 회유(懷柔)로 소위(所謂) 은사금(恩賜金)을 준다는 소식(消息)을 듣고 아(我)는 대한왕(大韓王)의 신(臣)임을 천명(闡明)하며 거절(拒絶)하고 피수(被囚)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효준
한자명
安孝俊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0년 국내(國內)에서 광복군 사령부(光復軍司令部) 제3영(第三營) 제1대원(第一隊員)으로 활동(活動) 중 일군(日軍)과 교전(交戰)하다가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효중
한자명
安孝中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3 ~ 1950
본적
경상남도 함안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 3. 17 경남(慶南) 함안군(咸安郡) 대산면(代山面) 평림리(平林里)에서 주민들과 같이 독립만세시위를 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안효진
한자명
安孝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4 ~ 1946
본적
경상남도 김해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19. 3월 파리 강화회의에 한국독립을 호소하기 위하여 김창숙(金昌淑) 등이 유림대표(儒林代表)가 되어 작성한 독립청원서에 유림(儒林)의 한 사람으로 서명(署名)한 특수 공적(特殊功績) 사실이 확인됨.

안효진의 발자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안홍

한자명

安鴻

생몰년도

1889 ~ 193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3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안홍갑

한자명

安洪甲

생몰년도

1897 ~ 1924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안홍근

한자명

安洪根

생몰년도

1881 ~ 1928

운동계열

노령방면

포상훈격

201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안화여

한자명

安化如

생몰년도

1876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북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안화종

한자명

安和鍾

생몰년도

1888 ~ 196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일

자세히 보기

성명

안화중

한자명

安華重

생몰년도

1882 ~ 192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4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동래

자세히 보기

성명

안확

한자명

安廓

생몰년도

1886 ~ 1946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3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안효봉

한자명

安孝奉

생몰년도

1892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홍성

자세히 보기

성명

안효제

한자명

安孝濟

생몰년도

1850 ~ 1916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의령

자세히 보기

성명

안효준

한자명

安孝俊

생몰년도

미상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안효중

한자명

安孝中

생몰년도

1893 ~ 195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함안

자세히 보기

성명

안효진

한자명

安孝珍

생몰년도

1874 ~ 194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6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김해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