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윤경
한자명
金允經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9 ~ 미상
본적
함경남도 영흥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31.9.21 함남(咸南) 영흥(永興)에서 채수철(蔡洙轍) 등이 조직한 농민조합(農民組合)에 가입하여 동지를 규합하는 등 활동을 전개하다가 피체되어 징역4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윤경
한자명
金允京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69 ~ 1945
본적
경기도 양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19. 3. 15 경기(京畿) 양주군(楊州郡) 와부면(瓦阜面) 송촌리(松村里)에서 이정성(李正成) 등 약 100명의 군중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고 독립만세(獨立萬歲)를 절규하면서 동면 덕소리(德沼里)를 향하여 시위행진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김윤경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윤경
한자명
金允經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911 ~ 1945
본적
황해도 안악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중국(中國)에 거주하면서 임정 산하(臨政傘下)에서 여성청년동맹단체(女性靑年同盟團體)를 조직하고 위원장으로 항일독립운동을 하여온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윤경
한자명
金允經
운동계열
문화운동
생몰년도
1894 ~ 1969
본적
경기도 경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조선어학연구회(朝鮮語學硏究會) 창립위원(創立委員) 등을 역임하여 국어(國語), 국문 연구(國文硏究)에 전력을 다하고 1931년 이후는 여름방학을 이용하여 전국을 순회하면서 강습회(講習會)에 참여한 외에 1937년 6월부터 수양동지회 사건(修養同志會事件)으로 4년 4개월간 옥고를 겪은 후 1942년 10월부터 조선어학회 사건(朝鮮語學會事件)으로 2년간 옥고를 겪은 사실이 확인됨.

김윤경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윤구
한자명
金崙求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3 ~ 1950
본적
경기도 양평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30일 경기도(京畿道) 양평군(楊平郡) 용문면(龍門面) 광탄리(廣灘里)에서 조영호(趙瑛鎬)·신순근(辛淳根)과 함께 만세시위를 주도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고 옥고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윤국
한자명
金允國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4 ~ 미상
본적
평안북도 벽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19년 음력 4월 중국(中國) 길림성(吉林省) 집안현(輯安縣)에서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 검찰(檢察), 같은해 7월 도검찰(都檢察)을 맡아 일본 밀정을 처단하고 군자금을 모집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윤국
한자명
金潤國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65 ~ 1946
본적
충청남도 청양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8년

공적개요

1921년 음력 4월경 충남(忠南) 일대에서 길림군정부(吉林軍政府) 김좌진(金佐鎭)에게 제공하기 위해 김영진(金瑛鎭) 등 20여 명과 함께 독립운동 군자금 모집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윤권
한자명
金潤權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6 ~ 1944
본적
경상남도 진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19. 미상 월일(月日)에 경남 진양군 미천면 곽복금(郭福金) 집에서 박봉제(朴奉濟) 등 11인(人)과 회합하여 독립의우회(獨立義友會)를 조직. 감찰부서를 책임맡고 문서에 서명한후 3·1운동(運動) 소식에 고무되어 박봉제를 회장(會長)으로 한 독립의우회(獨立義友會)를 회원(會員)들과 함께 협의, 동년 3월 20일로 거사 일자(擧事日字)를 정하고 당일에 약속장소 동매(東梅)에 모인 700여명의 군중과 함께 시위 행진(示威行進)을 전개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김윤권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윤규
한자명
金允圭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4 ~ 1962
본적
경기도 수원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 4. 1 경기도(京畿道) 부천군(富川郡) 대부면(大阜面)에서 노병상(盧秉相) 홍원표(洪元杓)등과 독립만세 거사(擧事)를 협의하고 자기집에 동지를 모이게 한 후 포목(布木)으로 태극기를 제작하여 10수명의 시위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10월을 받았으나 미결기간(未決期間)을 합산(合算)하여 11월 17일간의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윤길
한자명
金潤吉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9 ~ 1931
본적
경상남도 동래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경남(慶南) 동래군(東萊郡) 구포면(龜浦面) 구포시장(龜浦市場)에서 독립만세 시위 운동(獨立萬歲示威運動)을 전개하였다가 체포(逮捕)되어 징역 10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김윤길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윤덕
한자명
金潤德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8 ~ 1952
본적
경상북도 대구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19. 3. 10 오후 4시 30분 경 대구(大邱) 동부(東部) 덕산(德山) 시장에서 백여명의 군중과 함께 ‘한국 독립 만세’ 라고 쓴 태극기(太極旗)를 휘두르며 독립만세를 고창하면서 시위 행진을 벌이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윤모
한자명
金潤模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47 ~ 1897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895년 12월 호계서원(虎溪書院)의 재유사(齋有司)로 거의(擧義)를 종용하는 통문 발의에 참여했으며, 권세연(權世淵)이 이끄는 안동의진(安東義陣)에서 종사관(從事官)에 선임되어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윤경

한자명

金允經

생몰년도

1909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6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영흥

자세히 보기

성명

김윤경

한자명

金允京

생몰년도

1869 ~ 194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양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윤경

한자명

金允經

생몰년도

1911 ~ 1945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안악

자세히 보기

성명

김윤경

한자명

金允經

생몰년도

1894 ~ 1969

운동계열

문화운동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경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윤구

한자명

金崙求

생몰년도

1893 ~ 195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양평

자세히 보기

성명

김윤국

한자명

金允國

생몰년도

1894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5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벽동

자세히 보기

성명

김윤국

한자명

金潤國

생몰년도

1865 ~ 1946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청양

자세히 보기

성명

김윤권

한자명

金潤權

생몰년도

1876 ~ 194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진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윤규

한자명

金允圭

생몰년도

1894 ~ 196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수원

자세히 보기

성명

김윤길

한자명

金潤吉

생몰년도

1889 ~ 193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8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동래

자세히 보기

성명

김윤덕

한자명

金潤德

생몰년도

1888 ~ 195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대구

자세히 보기

성명

김윤모

한자명

金潤模

생몰년도

1847 ~ 1897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8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