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원식
한자명
金元植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58 ~ 1907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3년

공적개요

1907. 12월 충남(忠南) 공주(公州)에서 의병(義兵)으로서 군자금 모집과 군사(軍士) 소모(召募)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되자 탈출을 기도하다가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원식
한자명
金遠植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885 ~ 미상
본적
충청북도 충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4년

공적개요

1920년 4~9월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내무부(內務部) 참사(參事), 1921년 2월~1922년 2월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 충청도(忠淸道) 의원(議員)으로 활동하고, 1921년 11월경 임시의정원(臨時議政院) 의원(議員) 자격으로 태평양회의에 발송하는 독립청원서에 연서(連署)함.

인물정보

성명
김원식
한자명
金元植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8
본적
미상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의병장(義兵將)으로서 강원도(江原道) 일대(一帶)에서 활동하다가 1908년 6월 강원도(江原道) 금성(金城) 부근에서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원식
한자명
金元植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9 ~ 1940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8년

공적개요

1. 1919 봉천성(奉天省) 망명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 가입 2. 1919 안동(安東)지방에서 만세시위를 주도하다가 도만(渡滿)하여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에서 군자금 모집 교포 및 동지의 원호에 전력 하였음. 3. 1921 독변(督辨) 이상룡(李相龍)의 지령을 휴대하고 잠입국 경도(京都) 각지에 연락 군자금 모집 다시 중국으로 방대 4. 1922 일 주구기관 숙청 대열(日走拘機關肅淸隊列)의 중심 참모로 활약.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에 가입하여 동북면(東北面) 군사연락위원(軍事連絡委員)으로 북경(北京)에 주재하여 활약하였음. 5. 통의부(統義府), 참의부(參議府), 군정서(軍政署)를 통합 정의부(正義府) 조직할 때 김동삼(金東三), 오동진(吳東振), 현익철(玄益哲), 이청천(李靑天), 김상덕(金相德), 이규사(李圭四)와 같이 중앙집행위원(中央執行委員)에 병출(항일순국의열사전(抗日殉國義烈士傳) p.279) 6. 1922년 임정(臨政) 지령으로 이규사(李圭四)와 같이 동북군사연락위원(東北軍事連絡委員)으로 북경(北京)에 상주하여 60여명의 학생을 남경(南京) 등지에 유학시킴. 7. 중국군 참모장(中國軍參謀長) 희흡(熙洽)과 군사동맹 체결시 72명 한국측 대표 병출. 8. 만주사변(滿洲事變) 후 동북군사위원(東北軍事委員)으로 활동 중 밀고로 피체 간도형무소(間島刑務所)에서 2년간 예심에 회부. 국내에 이감되어 다시 길림(吉林)에 추방 당함. 9. 1927년 농민호조소(農民互助所)를 발기 설립하여 활약(무운사(武運史) p.144) 10. 1928 삼부(三府) 합작시 정의부(正義府) 대표로 김동삼(金東三)과 같이 통합에 진력하다. 11. 만주 사변후 동북군사위원(東北軍事委員)으로 활동 중 밀고로 일경에 피체되어 간도(間島)의 형무소에서 2년간 예심 끝에 국내로 이감되어 옥고를 겪다가 석방 후 길림(吉林)에 와서 계속 활동하다가 길림성(吉林省) 강동촌(江東村)에서 독사(毒死)하였다.(항일순국의열사전(抗日殉國義烈士傳) p.279)

김원식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원영
한자명
金元英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919 ~ 1945
본적
황해도 장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1년

공적개요

1935년 2월 중국(中國) 남경(南京)에서 김구(金九)가 운영하던 특무대 예비훈련소에 들어가 훈련받았고, 동년 8월 하순 동지회(同志會)에 들어가 남경(南京)에서 활동하였으며, 1938년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의 대원으로 활동하였고, 이후 중국의 항공위원회에서 항공훈련을 받은 후 1945년 중미혼합단(中美混合團)에 소속되어 대일 작전(對日作戰)을 전개하다동년 3월 24일 애기(愛機)와 함께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원용
한자명
金元容
운동계열
미주방면
생몰년도
1896 ~ 1976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7. 5. 10 미국(美國)으로 망명하여 활동하면서 1923. 4월 미국 중서부와 동부지방에서 독립운동 후원을 위한 조직을 결성하였고, 1930. 6월 하와이에서 개최된 재미대표회(在美代表會)에서 대표로 임명되어 각 단체의 연락활동을 하였으며, 1933. 1월 하와이에서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총무(總務)를 역임하였고, 1936. 1월 동지(同地)에서 『국민보(國民報)』주필(主筆)로 활동하였으며, 1941-1945년 하와이와 워싱턴에서 재미한족연합위원회(在美韓族聯合委員會)의 의사부 위원 겸 행정위원,외교사무소 총무, 의사부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고, 1944년 주미외교위원부의 위원에 임명되었고 1945. 3월 임정에서 연합국회의에 파견할 대표로 선임되었고 동년(同年) 10월에는 재미한족국내파견대표단(在美韓族國內派遣代表團)의 부단장(副團長)으로 귀국하여 과도입법위원(過渡立法委員)을 역임하였으며, 『재미한인(在美韓人)50년사(年史)』를 집필하는 등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원익
한자명
金元翊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미상
본적
황해도 신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19년 3, 4월경 황해도 안악군에서 독립만세운동을 위해 태극기를 제작하고 시위에 참여하여 독립만세를 부르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원일
한자명
金元日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7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1년

공적개요

1907년 강원(江原) 정선군(旌善郡)에서 이도총(李都摠)(성명 미상)이 인솔하는 의진(義陣)의 부장(部將)으로 동년 12월 정선군(旌善郡) 남면(南面) 증산리(甑山里) 도사동(道士洞)에서 일본군 ‘토벌대’와 전투 도중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원정
한자명
金元貞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5 ~ 1920
본적
황해도 장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4.11 황해도(黃海道) 장연군(長淵郡) 후남면(候南面) 남호리(南湖里)장터에서 최동석(崔東錫)등과 같이 수(數)많은 주민(住民)을 규합(糾合)하고 독립만세 시위(獨立萬歲示威)를 주동(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1년6월을 받아 옥고(獄苦)를 치르던 중른 옥고(獄苦)로 인(因)한 병보석(病保釋)되어 치료중(治療中) 형기 내(刑期內)에 순사(殉死)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원조
한자명
金遠祚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4 ~ 1922
본적
경기도 이천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3년

공적개요

3.1운동때 이천(利川)에서 만세시위 참가. 만주군정부(滿洲軍政府)의 연락기관을 서울에 설치하기 위한 군자금모집을 모의 실행타가 1920년 음(陰) 12월 28일에 피체기소 되어 미결2년(서대문형무소(西大門刑務所) 옥중엽서(獄中葉書)) 10년 복역하고 옥중사(獄中死)(피살되었다고 전함). (매일신보(每日新報) 1921.3.9, 독립신문 단기 4278년 11월 11일, 공적서 633)

인물정보

성명
김원주
한자명
金源柱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1 ~ 미상
본적
전라북도 전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41년 2월부터 9월까지 전남(全南) 광양광업소(光陽鑛業所)에 근무중 김채룡(金彩龍), 전호영(田浩榮)등과 함께 일본(日本)의 내선일체 사상(內鮮一體思想)의 허위성을 지적하고 독립을 위해 초석이 될 것을 맹서한 후 그 구체적 방안으로 한국문학(韓國文學)을 연구하여 이를 매개로 민족의식(民族意識)을 고취할 것을 결의, 동 광업소 직원을 대상으로 활동(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2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원준
한자명
金元準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1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 6월 만주(滿洲) 관전현(寬甸縣) 우모오(牛毛塢)에서 독립운동 단체인 한교공회(韓僑公會)의 회원(會員)을 모집하였고 1921년 광복군(光復軍) 사령부원(司令部員)으로서 신의주(新義州)의 이형련(李瀅璉)과 협의하여 안동현(安東縣)에 기관을 조직하고 내외(內外)에 연락을 도모하다가 일경(日警)에게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원식

한자명

金元植

생몰년도

1858 ~ 1907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3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원식

한자명

金遠植

생몰년도

1885 ~ 미상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훈격

2014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북도 충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원식

한자명

金元植

생몰년도

미상 ~ 1908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원식

한자명

金元植

생몰년도

1889 ~ 194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68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김원영

한자명

金元英

생몰년도

1919 ~ 1945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훈격

200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장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원용

한자명

金元容

생몰년도

1896 ~ 1976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김원익

한자명

金元翊

생몰년도

1890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1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황해도 신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원일

한자명

金元日

생몰년도

미상 ~ 1907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원정

한자명

金元貞

생몰년도

1885 ~ 192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장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원조

한자명

金遠祚

생몰년도

1884 ~ 1922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63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이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원주

한자명

金源柱

생몰년도

1921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북도 전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원준

한자명

金元準

생몰년도

미상 ~ 1921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