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원국
한자명
金元國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3 ~ 1928
본적
평안북도 벽동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년 3ㆍ1운동 후에 중국 운남군관학교(雲南軍官學校)를 졸업하고 1925년 경부터 남만(南滿)에서 정의부(正義府) 6중대 2소대장으로 있으면서 1926.9.8 통화현(通化縣) 쾌대모자(快大帽子) 등지에서 친일파 신한철(申漢哲) 등을 사살하고 친일단체인 상조계(相助契)를 토벌한 후 1926.9.14 대원 서상진(徐尙眞).김용호(金龍浩).심영준(沈永俊) 등과 함께 중국 경(警)(보(保))갑대(甲隊)에 체포되어 1927.3.9 대련지방법원(大連地方法院)에서 사형(死刑)을 받고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원국
한자명
金元國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0 ~ 1910
본적
전라남도 광주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3년

공적개요

1. 1905년 9월 전남(全南) 광산(光山) 송정읍(松汀邑)에서 왜병타살 후 피신함. 2. 1906년 3월 실(實) 제(弟) 김원범(金元範)과 함께 광주시(光州市) 교외 무등촌(無等村)에서 의병을 일으켜 일병과 교전. 3. 1907년 12월 김태원(金泰元)과 합세하여 부하 300여명으로 일 광주(光州) 수비대와 교전, 일병 40여명을 사살함. 4. 1908년 4월 9일 함평군(咸平郡)의 적양면(赤良面), 여황면(艅艎面), 오산면(鰲山面) 등을 근거지로 하여 왜병과 교전 중 광주(光州) 교외에서 소위 삼국대장이라고 하던 길전(吉田)을 사살함. 5. 1909년 3월 장성군(長城郡) 남일면(南一面)에서 부하 150명으로 왜적과 교전. 3월 18일 부하 80명으로 왜적과 나주에서 교전. 5월 19일 불갑산(佛甲山)에서 왜적과 교전. 6일 광주(光州) 우산면(牛山面)에서 왜군과 교전중 피체(被逮)되어 목포(木浦)로 호송 도중(護送途中) 왜병을 타살(打殺)하고 함평군하(咸平郡下) 먹굴산으로 피신(避身)함.(6월 11일) 6. 1909년 6월 이후 조경환(曺京煥)의 선봉장(先鋒將)으로서 활약했으나 조경(曺京)의 전사(戰死)로 말미암아 그의 군사(軍士)를 인계(引繼)받아 스스로 의병대장(義兵大將)이 되고 곽진일(郭鎭一)을 선봉장(先鋒將), 오덕신(吳德信)을 중군장(中軍將), 김재연(金在淵)을 후군장(後軍將)으로 하여 의병(義兵) 500여명으로 광주(光州), 나주(羅州), 능주(綾州), 동복(同福), 창평(昌平), 담양(潭陽), 장성(長城), 영광(靈光) 등지에서 활동을 계속함. 7. 1909년 12월 5일 영광 불갑산(佛甲山)으로 이동중 왜군과 교전, 여기에서 피체(被逮)되어 광주 감옥(光州監獄)으로 호송(護送), 다시 대구감옥(大邱監獄)으로 이송되어 총살(銃殺)당함.

인물정보

성명
김원길
한자명
金元吉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0 ~ 1909
본적
전라남도 함평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08. 8월 의병진(義兵陣)(진명미상(陣名未詳))에 가담한 이래 전남(全南) 함평(咸平) 광주(光州) 등지에서 활동하였으며 1909. 4월 전(全) 광주(光州)에서 교전 중 체포(逮捕)되자 호송 도중 탈주하다가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원려
한자명
金元麗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6 ~ 미상
본적
황해도 송화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6년

공적개요

1920년 7월 황해(黃海) 장연군(長淵郡)에서 대한적십자사(大韓赤十字社) 및 의용단(義勇團)에 가입하여 장연(長淵), 송화(松禾), 옹진(甕津), 해주(海州) 등지에서 단원(團員)과 군자금을 모집하고, 친일파와 밀정 처단을 계획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원룡
한자명
金源龍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7 ~ 192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0.11.1 만주(滿洲) 흔춘현(琿春縣)에서 노령방면(露領方面)으로 출동(出動)하여 군자금(軍資金) 모집(募集)등의 활동(活動)을 하다가 일군(日軍)에게 오도구(五道溝) 남방(南方) 2km 산중(山中)에서 참살(斬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원만
한자명
金元滿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79 ~ 192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0.10.26 만주(滿洲) 사도구(四道溝) 병영(兵營)에서 약(約) 6개월간(個月間) 군사 훈련(軍事訓練)을 받고 최경천(崔慶天)의 부하(部下)로 군자금(軍資金) 모집(募集) 등의 활동(活動)을 하다가 일군(日軍)에게 피체(被逮)되어 양진구(陽進溝)에서 참살(斬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원묵
한자명
金元默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1 ~ 1972
본적
충청남도 예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7. 8월 광복회에 가입(加入)하고 국권(國權)을 회복(恢復)하며, 독립 목적(獨立目的)을 달성(達成)하기 위한 군자금(軍資金) 모집(募集)등에 활동(活動)하며 친일 면장(親日面長) 박용하(朴容夏) 살해시(殺害時) 사용(使用)한 권총(拳銃)을 보관(保管)하는 등 활동(活動)하다 체포(逮捕)되어 공주지방법원(公州地方法院)에서 징역 6월형(月刑)을 언도(言渡)받아 2년 1개월(個月)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김원묵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원발
한자명
金源發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0 ~ 1956
본적
경상북도 영덕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 18 영덕(盈德) 영해(寧海) 3.1운동사건에 참가, 1919. 9. 30 대구복심법원(大邱覆審法院)에서 징역 2년을 언도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원배
한자명
金元培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충청남도 아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2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1일 충남(忠南) 아산군(牙山郡) 신창면(新昌面) 학성산(鶴城山) 위에서 횃불을 올리고 동민 약 2백명과 독립만세를 고창하였고 면사무소, 주재소, 보통학교 등을 습격 하며 시위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원배
한자명
金元培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7 ~ 1939
본적
경상북도 김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 8 김천읍(金泉邑) 황금동(黃金洞) 교회(敎會)에서 김충한(金忠漢) 김수길(金秀吉) 동지(同志)등과 주동(主動)하여 독립만세 거사 계획(獨立萬歲擧事計劃)을 세우고 태극기 제작 임무(太極旗製作任務)를 맡아 김천공립보통학교(金泉公立普通學校) 학생(學生)인 석동준(石東俊)등에게 나누어 주고, 동년(同年) 3월 11일거사(日擧事)하기로 준비 중(準備中) 체포되어 징역 10월을 받고 11개월(個月) 24일간의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원배
한자명
金元培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9 ~ 미상
본적
경기도 용인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9년 3월경 경기도 용인군 수지면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태 90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원범
한자명
金元範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6 ~ 1909
본적
전라남도 광주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8년

공적개요

1. 1906년 3월 광주(光州)교외 무등산(無等山)에서 김원국(金元局)과 거의(擧義)하여 의병(義兵) 300을 규합코 선봉장으로 활동 일병과 수차 교전. 2. 1907년 12월 김태원 부대(金泰元部隊)와 합세하여 장성(長城)에서 교전 의병 300을 영솔하고 광주수비대(光州守備隊)와 교전 일병 40여를 사살. 3. 1908년 1월 호남의병대장(湖南義兵大將) 조경환(曺京煥)과 합세 김원국(金元局)은 선봉장에 김원범(金元範)은 도포장(都砲將)에 임명되어 일길전(日吉田)부대와 격전 길전(吉田)을 사살하고 함평 오산(咸平鰲山)을 근거지로 하여 항전하다(김원국 조사서(金元局調査書)) 4. 1909년 1월 조대장(曺大將)이 전사하자 전해산(全海山)과 합세하여 대동창의단(大同倡義團)을 조직하고 전해산(全海山)은 대장(大將)에 추대되고 김원범(金元範)은 중군장(中軍將)에 추대됨. 광주(光州), 나주(羅州), 담양(潭陽), 장성(長城) 등지에서 활동하다(해산(海山), 창의록(倡義錄)) 5. 1909년 9월 2일 무등산(無等山)에서 교전중 체포되어 광주수비대(光州守備隊)에서 취조 중 설단을 끊고 자결하다(폭도토벌지(暴徒討伐誌) 49호)(호남절의사(湖南節義史) p.469)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원국

한자명

金元國

생몰년도

1903 ~ 1928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벽동

자세히 보기

성명

김원국

한자명

金元國

생몰년도

1870 ~ 1910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63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광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원길

한자명

金元吉

생몰년도

1880 ~ 1909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6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함평

자세히 보기

성명

김원려

한자명

金元麗

생몰년도

1886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6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황해도 송화

자세히 보기

성명

김원룡

한자명

金源龍

생몰년도

1887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원만

한자명

金元滿

생몰년도

1879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원묵

한자명

金元默

생몰년도

1891 ~ 1972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예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원발

한자명

金源發

생몰년도

1870 ~ 195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덕

자세히 보기

성명

김원배

한자명

金元培

생몰년도

미상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아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원배

한자명

金元培

생몰년도

1897 ~ 193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김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원배

한자명

金元培

생몰년도

1889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기도 용인

자세히 보기

성명

김원범

한자명

金元範

생몰년도

1886 ~ 1909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68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광주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