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영엽
한자명
金永燁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9 ~ 1910
본적
전라남도 장흥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06년 정석면(鄭錫冕)과 창의(倡義)를 모의(謀議)하고 1908 심남일(沈南一) 의병진(義兵陣)에서 활동한 바 있으며 1910 백양사(白羊寺)에서 우해(遇害)된 사실이 확인됨.

김영엽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영오
한자명
金永五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20 ~ 1993
본적
경기도 평택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44. 11월 중국 북경에서 화북지구(華北地區) 공작책인 김광언(金光彦)과 접선되어 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하고 북경 지하공작원으로 임명되어 반정 공작(反正工作) 전개활동한 사실이 광복군 제3지대장 김학규(金學奎)의 친필 확인서로서 인정됨.

김영오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영옥
한자명
金英玉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미상
본적
평안북도 용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4일 평북 용천군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를 부르며 만세시위를 벌이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영옥
한자명
金永玉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68 ~ 1924
본적
강원도 기타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4.1. 강원(江原) 홍천군(洪川郡) 홍천면(洪川面)의 독립만세 운동(獨立萬歲運動)은 기독교인(基督敎人)과 천도교인(天道敎人)의 합세(合勢)로 이루워졌으며 이날은 홍천(洪川)과 인제간(麟蹄間)의 도로 공사(道路工事)에 다수 주민(多數住民)이 동원(動員)되는 것을 이용(利用)하여 거사(擧事)하기로 결정(決定)하고 태극기(太極旗)와 큰 기(旗)를 만들어 200여명(餘名)의 시위 군중(示威群衆)에게 나눠주면서 독립만세(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며 행진 시위(行進示威)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옥
한자명
金永玉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24 ~ 1958
본적
경상북도 군위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82년

공적개요

1945. 2. 15 광복군(光復軍) 제1지대에 입대(入隊)하여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완
한자명
金永玩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1919
본적
전라북도 고창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3.1 고종황제(高宗皇帝) 인산(因山)에 참예(參詣)하고자 서울에 상경하였다가 서울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운동에 참가한 후 귀향하여 무장면(茂長面)의 거사를 준비하다가 1919.3.15 무장(茂長)장터에 모인 수많은 군중에게 태극기와 독립선언서를 배부하여 주면서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시위하다가 피체되어 징역1년6월을 받고 복역하다 옥중사(獄中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김영완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영우
한자명
金永祐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5 ~ 1926
본적
경상북도 대구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군자금모집을 위하여 활동하다가 일경에 피체되어 제령 7호 총포화약류 취급령 위반으로 3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우
한자명
金永佑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2 ~ 1983
본적
전라남도 무안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학생의 신분으로 서울 만세운동에 참가하고, 선언문을 지참, 귀향하여 동지들을 규합하고 무안군내(務安郡內)의 독립만세시위의 주모자로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김영우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영운
한자명
金泳運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68 ~ 미상
본적
강원도 화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3일 강원도(江原道) 화천군(華川郡) 하남면(下南面) 논미리(論味里) 천도교구실에서 고용모(高用模) 등과 회합중 최기호(崔己浩)로부터 독립선언서 80매를 교부받고 마을 주민들을 규합하여 그 취지를 설명하고 김연건(金然健) 외 수 명에게 선언서를 교부하고, 면내 각 요소에 첩부하게 하는 등의 활동을 벌이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원
한자명
金榮遠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51 ~ 1924
본적
전라북도 임실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3.2 천도교(天道敎) 임실군(任實郡) 전도교사직(傳道敎師職)에 있으면서 독립선언서 20여매를 운암면(雲岩面) 각리(各里)에 붙이고 독립만세운동의식을 고취하다 피체되어 징역1년을 받아 복역 중 고문의 여독으로 옥중사(獄中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윤
한자명
金永胤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893 ~ 1947
본적
평안남도 평양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8.9 북경(北京)에서 김규식(金奎植)과 대한청년당(大韓靑年黨)을 조직하고 파리평화회의(巴里平和會義)에 독립청원 대표(獨立請願代表)로 송출(送出)되었던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이
한자명
金榮伊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24 ~ 1945
본적
경상북도 상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4. 11 상순 경 일군 탈출 중국군 제 4군단 유격대에 합류, 대적활동을 하다가 1945. 4 광복군(光復軍) 제 1지대 제 3구대에 입대, 복무 중 1945. 8 상순 경 유격작전 중 전사한 사실이 확인됨.

김영이의 발자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영엽

한자명

金永燁

생몰년도

1869 ~ 1910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장흥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오

한자명

金永五

생몰년도

1920 ~ 1993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1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평택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옥

한자명

金英玉

생몰년도

1896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1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용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옥

한자명

金永玉

생몰년도

1868 ~ 192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옥

한자명

金永玉

생몰년도

1924 ~ 1958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8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군위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완

한자명

金永玩

생몰년도

1896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고창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우

한자명

金永祐

생몰년도

1895 ~ 1926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대구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우

한자명

金永佑

생몰년도

1902 ~ 198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무안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운

한자명

金泳運

생몰년도

1868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6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강원도 화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원

한자명

金榮遠

생몰년도

1851 ~ 192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임실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윤

한자명

金永胤

생몰년도

1893 ~ 1947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남도 평양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이

한자명

金榮伊

생몰년도

1924 ~ 1945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상주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