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영선
한자명
金榮璿
운동계열
임시정부
생몰년도
1878 ~ 1944
본적
경기도 장단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년월일미상(年月日未詳)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를 수료(修了)한 후(後) 1917년에는 중국(中國) 동삼성(東三省)에서 대종교(大倧敎)를 포교(布敎)하면서 독립의식(獨立意識)을 고취(鼓吹) 활동(活動)하다가 1919.4월 중국상해(中國上海)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가 수립(樹立)되자 군무부위원(軍務部委員)으로 선출(選出)되어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성
한자명
金泳成
운동계열
미주방면
생몰년도
1866 ~ 미상
본적
평안남도 평양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05년 멕시코로 이주하여 1911년 대한인국민회 멕시코 메리다지방회에 가입하고 1918년부터 1944년까지 대한인국민회 메리다지방회 평의원(1917), 대의원(1924~1927), 학무(1928~1935), 인구조사원(1929), 대한인국민회 제4·5·8차 대표대회 메리다 대표(1939·1940·1943) 등으로 활동함. 1912년부터 1945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함.

인물정보

성명
김영성
한자명
金永聲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3 ~ 1959
본적
전라남도 고흥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09. 3월 휘하 의병(麾下義兵) 30여명(余名)과 함께 총기(銃器)를 휴대(携帶)하고 흥양군(興陽郡) 대강면(大江面), 남양면(南陽面), 서면(西面), 남면(南面) 등지(等地)를 중심(中心)으로 군자금(軍資金)을 모집(募集)하고 활동(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10년형(年刑)을 받은 상당(相當)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손
한자명
金榮愻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1 ~ 1958
본적
충청남도 아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8년

공적개요

1919년 4월경(月頃) 충남(忠南) 아산군(牙山郡) 선장면(仙掌面)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태(笞) 40도(度)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영수
한자명
金榮守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1 ~ 미상
본적
미상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3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함북(咸北) 성진군(城津郡) 성진면(城津面)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다 체포되어 징역 6월, 벌금(罰金) 30원(圓), 노역(勞役) 30일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김영수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영수
한자명
金永洙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8 ~ 미상
본적
전라북도 기타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08년 음력 3월부터 4월까지 전북(全北) 고창(高敞), 무장(茂長), 흥덕군(興德郡)과 전남(全南) 영광군(靈光郡) 등지에서 박도경 의진(朴道京義陣)에 참여하여 군수품을 모집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5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영수
한자명
金永壽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4 ~ 1944
본적
전라북도 고창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40. 12. 17 전북(全北) 정읍(井邑)에서 비밀결사인 구국결사단(救國決死團)을 조직하고 김제군(金堤郡)내의 일본헌병대와 경찰서 습격 계획을 추진하려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고 옥고 중에 순국하였다고 함.

인물정보

성명
김영수
한자명
金英樹
운동계열
일본방면
생몰년도
1915 ~ 1945
본적
경상남도 진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년월일 미상 일국(日國) 동경의 입교대학에 재학시 징병제를 반대하고 한국역사에 관한 서적을 간행 배부하며 동포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하였으며 귀국하여 활동을 계속하다가 1944. 6월경 피체되어 징역 1년을 받고 복역 중 순국하였다고 함.

인물정보

성명
김영수
한자명
金永洙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3 ~ 1940
본적
전라남도 강진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1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전남 강진군 강진면 자신의 집에서 김안식(金安植) 등과 함께 같은 달 25일 강진장날을 이용하여 독립만세운동을 일으킬 것을 계획하고 강진군청 뒷산에서 독립선언서를 기초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무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영수
한자명
金永秀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4 ~ 미상
본적
함경남도 단천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21년 음력 9월 함남 단천에서 광복단에 가입하여 군자금 모집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10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영숙
한자명
金永淑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6 ~ 1952
본적
경상남도 산청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경남(慶南) 산청(山淸)지방의 덕망 높은 한학자로서 서울의 3.1만세운동소식을 전해 듣고 시위운동을 계획하여 1919.3.18 밤 각 부락에 통지하고 1919.3.19 아들 김상준(金相峻)등 5명이 일경에 피검되자 정태륜(鄭泰侖)등과 함께 재거의할 것을 약정하고 1919.3.20 오후 2시 산청군(山淸郡) 신등면(新等面) 단계리(丹溪里) 시장에 모인 6백~7백여명의 군중과 더불어 태극기를 앞세우고 독립만세를 고창하면서 단성군(丹城郡) 성내리(城內里) 시장으로 시위행진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5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김영숙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영숙
한자명
金永肅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6 ~ 1955
본적
충청남도 논산
포상훈격
독립장
포상년도
1963년

공적개요

1. 1942년 11월 19일 대종교 사건(大倧敎事件)으로 목단강검찰청(牧丹江檢察廳)에 피수(被囚)되어 15년 언도(言渡)를 받고 복역 중 8. 15해방(解放)으로 출옥하다.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86)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영선

한자명

金榮璿

생몰년도

1878 ~ 1944

운동계열

임시정부

포상훈격

1992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장단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성

한자명

金泳成

생몰년도

1866 ~ 미상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훈격

2020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남도 평양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성

한자명

金永聲

생몰년도

1863 ~ 1959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고흥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손

한자명

金榮愻

생몰년도

1881 ~ 1958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아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수

한자명

金榮守

생몰년도

1881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수

한자명

金永洙

생몰년도

1888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15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북도 기타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수

한자명

金永壽

생몰년도

1914 ~ 1944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1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고창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수

한자명

金英樹

생몰년도

1915 ~ 1945

운동계열

일본방면

포상훈격

1991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진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수

한자명

金永洙

생몰년도

1893 ~ 194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1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강진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수

한자명

金永秀

생몰년도

1894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2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단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숙

한자명

金永淑

생몰년도

1876 ~ 195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산청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숙

한자명

金永肅

생몰년도

1886 ~ 1955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63독립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논산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