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영산홍
한자명
金映山紅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1 ~ 미상
본적
경상남도 통영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2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경남 통영군에서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다 체포되어 기소유예 처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영상
한자명
金永祥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20 ~ 1973
본적
경상북도 영천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일본(日本) 중앙대학(中央大學) 1학년에 재학 중 수업 정지(授業停止)로 귀국(歸國)하였다가 1943년 말(末) 학병(學兵)에 징집(徵集)되어 평남(平南) 평양사단(平壤師團)에서 훈련 중 1944년 6월부터 동지들과 함께 탈출을 모의(謀議)하고 만주지역(滿洲地域)의 독립군(獨立軍)과 합류하여 항일독립운동(抗日獨立運動)을 전개하려는 목적으로 무명 단체(無名團體)를 조직(組織)하여 활동하다가 체포(逮捕)되어 징역 4년 6월을 받고 광복(光復)으로 석방(釋放)될 때까지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김영상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영상
한자명
金泳相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4 ~ 1907
본적
경상북도 예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70년 중추원(中樞院) 의관(議官) 재직시 국운이 기울어지자 충분(忠憤)을 이기지 못하여 고향인 경북 예천으로 돌아와 이강년 의진에 합류하여 좌종사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상
한자명
金永相
운동계열
계몽운동
생몰년도
1836 ~ 1911
본적
전라북도 정읍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0.10.24 국권을 침탈한 일제가 소위 은사금(恩賜金)을 준다고 할 때「대한신민(大韓臣民)이 어찌 원수의「돈」을 받겠는가」하고 수차에 걸쳐 협박하는 것을 거절하다 일 헌병대(日憲兵隊)에 피체되어 군산(群山)으로 이송될 때 만경강(萬頃江)에 투신하였으나 일헌병이 구조하여 군산감옥(群山監獄)에 수감시키자 9일간을 절식하여 옥중사(獄中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상
한자명
金永祥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6 ~ 미상
본적
전라북도 군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9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5일 전북(全北) 군산(群山)에서 김성은(金聖恩), 유희순(兪熙淳)의 권유로 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태극기를 흔들며 만세를 부르다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서
한자명
金永瑞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2 ~ 1975
본적
경상남도 부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대구삼일운동(大邱三一運動) 독립만세 시위 운동 주동자(獨立萬歲示威運動主動者)로서 가담 활약(加擔活躍)하고 1919.4.18 대구지방법원(大邱地方法院)에서 징역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김영서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영서
한자명
金永西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9 ~ 1959
본적
경기도 안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양성면(陽城面) 3.1만세운동을 주도하여 경성복심법원(京城覆審法院)에서 7년형을 언도받어 복역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석
한자명
金英石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64 ~ 192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2년

공적개요

1920년 중국(中國) 길림성(吉林省) 화룡현(和龍縣) 사대사(四對社) 서래동(西來洞)에서 제2국민학교(國民學校) 교사로 독립군 양성과 독립군 모연(募捐)에 주력하다가 동년 10월 23일 일본의 성전(成田) 중좌(中佐)가 지휘하는 군대에게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석
한자명
金永石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2 ~ 1951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8일 오후 경북(慶北) 안동(安東)의 안동시장(安東市場)에서 다수의 군중과 함께 ‘조선독립 만세(朝鮮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며 시위를 전개하다 체포(逮捕)되어 징역 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영선
한자명
金永善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2 ~ 미상
본적
평안남도 맹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4년

공적개요

1920년 겨울 평남(平南) 맹산군(孟山郡)에서 대한독립청년단연합회(大韓獨立靑年團聯合會)에 이원보(李元甫)의 권유(勸誘)로 가입(加入)하여 1921년 1월 6일 동군(同郡)에서 독립군자금(獨立軍資金) 150원을 모금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미결구류(未決拘留) 90일)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김영선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영선
한자명
金榮善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3 ~ 1962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19년 3.1운동 이후 항일독립을 목적으로 동지 유기원(柳基元) 등과 협의하여「혁신공보(革新公報)」등의 인쇄물을 등사 배포하고 상해(上海)의 임시정부에서 우송되어온「독립신문(獨立新聞)」「신대한(新大韓)」「혁신공보(革新公報)」「신한청년(新韓靑年)」등 항일정신을 고취하는 인쇄물을 서울시내 각처에 배포하다 피체되어 징역 3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영산홍

한자명

金映山紅

생몰년도

1901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2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남도 통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상

한자명

金永祥

생몰년도

1920 ~ 1973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5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영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상

한자명

金泳相

생몰년도

1864 ~ 1907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3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예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상

한자명

金永相

생몰년도

1836 ~ 1911

운동계열

계몽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정읍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상

한자명

金永祥

생몰년도

1876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전라북도 군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서

한자명

金永瑞

생몰년도

1882 ~ 1975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부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서

한자명

金永西

생몰년도

1889 ~ 195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안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석

한자명

金英石

생몰년도

1864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02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석

한자명

金永石

생몰년도

1872 ~ 195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석

한자명

金英石

생몰년도

1895 ~ 193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용인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선

한자명

金永善

생몰년도

1882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4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남도 맹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영선

한자명

金榮善

생몰년도

1893 ~ 1962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