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여집
한자명
金汝集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5 ~ 1908
본적
전라북도 임실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07.9.12 전북(全北) 진안군(鎭安郡) 마이산(馬耳山)에서 이석용(李錫庸)이 고천제(告天祭)를 지내고 거의(擧義)할 때 참진(參陣)하여 활동하다 적군의 총탄에 맞아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여찬
한자명
金麗贊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4 ~ 1941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8년

공적개요

1932년 제주도(濟州道) 북제주군(北濟州郡)에서 해녀들의 시위와 관련하여 항일투쟁을 지도했던 비밀결사 민중운동자협의회(民衆運動者協議會)에 연루, 체포되어 기소유예(起訴猶豫) 처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여학
한자명
金麗鶴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9 ~ 미상
본적
함경남도 정평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9년 2월 28일 함남 함흥군 함흥면 중하리 교회에 모여 3월 3일 장날을 기해 독립만세운동을 하기로 계획하고 준비위원을 선임하여 동지를 규합하도록 하고 운동자금을 제공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8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여형
한자명
金汝衡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5 ~ 미상
본적
경기도 개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1일 경기도(京畿道) 개성군(開城郡)에서 허내삼(許迺三)이 지휘하는 조선독립시위운동에 가담하여 만세를 부르면서 행진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연건
한자명
金然健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8 ~ 미상
본적
강원도 화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18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3일 강원도(江原道) 화천군(華川郡)에서 천도교 교구장 김준모(金俊模)에게 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를 받아 동군(同郡) 화천면(華川面) 일대에 배포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8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연군
한자명
金演君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9 ~ 1943
본적
평안남도 성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년 3·1운동(運動) 이후 1919. 4월 동만주(東滿洲) 왕청(汪淸)에서 방우룡(方雨龍)을 단장(團長)으로 의민단(義民團)을 조직하고 서무부장(庶務部長), 부단장(副團長)으로 3백여명의 대원과 함께 활동하였으며 1920. 10월 대한민국(大韓民國) 임시정부(臨時政府) 방침에 따라 간도(間島) 대한국민회(大韓國民會) 등과 연합하여 북로사령부(北路司令部)를 설치하고 그 산하의 간북(墾北) 남부총판부(南部總辦府)에서 참사(參事)로 활동(活動)하였으며 1927년 간도(間島) 용정(龍井)에서 한인 중심(韓人中心)의 중정회(中正會)를 조직하여 위원장(委員長)으로 민족 자립(民族自立)을 위해 활동(活動)하였으며 이후 용정(龍井) 해성학교(海星學校) 교원으로 활동(活動)하였고, 1930년 이후 만주(滿洲)에서 교민(僑民)들의 권익보호(權益保護)를 위하여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연근
한자명
金演根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4 ~ 미상
본적
함경남도 원산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20년 9월 23일 함남 원산에서 수백 명의 군중과 함께 독립만세시위에 참여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8월, 집행유예 3년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연길
한자명
金連吉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1 ~ 미상
본적
함경북도 명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3년

공적개요

1924년 7월부터 10월까지 중국(中國) 길림성(吉林省) 연길현(延吉縣), 왕청현(汪淸縣) 등지에서 신대한독립단원(新大韓獨立團員)으로서 군자금 모집을 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6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연방
한자명
金然昉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1 ~ 1919
본적
경기도 화성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대한제국의 시종원(侍從院) 시어(侍御) 출신으로 1919년 4월 3일 경기(京畿) 화성군(華城郡) 소재 우정면사무소(雨汀面事務所)가 시위대에 의해 습격된 직후인 4월 13일 사망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연배
한자명
金年培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1923
본적
제주도 제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19. 3. 23 제주 신좌면 조천리에서 독립을 목적으로 백응선(白膺善), 이문천(李文千) 등과 함께 운집한 다수의 군중을 주도하여 독립만세를 고창하였으며 그 이튿날 24일에도 함덕리(咸德里)시장에서 같은 시위 활동을 하다 피체되어 징역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연성
한자명
金演性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0 ~ 1909
본적
경기도 양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07년 9∼12월 경기(京畿) 양주(楊州)·적성군(積城郡) 등지에서 부하 30~40명을 이끌고 의병활동을 벌이고, 1908년 1월경 일본군과 전투를 벌인 후 퇴각하여 충북(忠北) 단양군(丹陽郡) 용소동(龍沼洞)에서 이강년 의진(李康秊義陣)과 합류하여 활동하였으며, 동년 가을 경 황순일(黃順一)의 권유에 따라 의병 소모관(義兵召募官)으로 활동하고, 1909년 1월 경기(京畿) 포천(抱川)·영평(永平)·양주군(楊州郡), 강원(江原) 김화군(金化郡)에서 부하 30여 명을 이끌고 이은찬 의진(李殷贊義陣) 등과 함께 양주군(楊州郡) 이담면(伊淡面)에 소재한 유산리 헌병 분견소(杻山里憲兵分遣所)를 습격할 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이 지역 한인(韓人) 헌병보조원(憲兵補助員)들을 회유하는 활동을 펼쳤으며, 동년 3월 황해(黃海) 장단(長湍)·토산군(兎山郡), 경기(京畿) 삭녕(朔寧)·포천군(抱川郡)에서 부하 약 15명을 이끌고 이은찬 의진(李殷贊義陣) 등과 활동하고, 동월 양주군내(楊州郡內) 4개면에서 군자금 모집을 권유하였으며, 4월 경기(京畿) 양주(楊州)·마전군(麻田郡)에서 부하 10여 명을 이끌고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연수
한자명
金延洙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4 ~ 1928
본적
강원도 양양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년 철원애국단원(鐵原愛國團員)으로 활약타가 피검(被檢), 경성지방법원(京城地方法院) 재판(裁判)회부. 조선병합십년사(朝鮮倂合十年史) p.479~492 항일순국의열사전(抗日殉國義烈士傳) p.67 한국독립운동사(韓國獨立運動史) p.166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여집

한자명

金汝集

생몰년도

1875 ~ 1908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임실

자세히 보기

성명

김여찬

한자명

金麗贊

생몰년도

1904 ~ 1941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제주도 제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여학

한자명

金麗鶴

생몰년도

1889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정평

자세히 보기

성명

김여형

한자명

金汝衡

생몰년도

1875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8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기도 개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연건

한자명

金然健

생몰년도

1888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8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강원도 화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연군

한자명

金演君

생몰년도

1889 ~ 1943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남도 성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연근

한자명

金演根

생몰년도

1904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남도 원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연길

한자명

金連吉

생몰년도

1891 ~ 미상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3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북도 명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연방

한자명

金然昉

생몰년도

1881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화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연배

한자명

金年培

생몰년도

1896 ~ 192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제주도 제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연성

한자명

金演性

생몰년도

1870 ~ 1909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8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양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연수

한자명

金延洙

생몰년도

1894 ~ 1928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양양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