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세용
한자명
金世用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07 ~ 1966
본적
평안북도 용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0년 4월 중국(中國) 협서성(陜西省) 서안(西安)에서 한국청년전지공작대(韓國靑年戰地工作隊)에 입대하여 1940.9 광복군(光復軍)으로 개편되므로 광복군(光復軍)의 일원이 된 후 1945년 OSS훈련을 받는 등 활동함.

김세용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세용
한자명
金世龍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901 ~ 1943
본적
평안북도 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3.1 파고다공원에서 독립만세시위에 가담하고 시위선두대열에서 활약하다가 체포되어 징역1년형을 언도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세원
한자명
金世元
운동계열
미주방면
생몰년도
1870 ~ 1949
본적
경기도 강화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5년

공적개요

1909년 공립협회(共立協會) 회원, 1918~1921년 멕시코에서 대한인국민회(大韓人國民會) 프론테라지방회장, 1922년 쿠바에서 대한인국민회 마나티지방회장, 마탄사스지방회장, 1924~1930년 카르데나스지방회장, 1930~1942년 동회(同會) 대의원(代議員), 학무(學務) 등을 역임하였으며, 1909년부터 1940년까지 여러 차례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함.

인물정보

성명
김세조
한자명
金世祚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11 ~ 미상
본적
평안북도 의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32.4 위화도(威化島) 소요사건(騷擾事件)으로 징역1년형을 언도받은 공적과 1943.12 광복군(光復軍) 현지 공작원(現地工作員)으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세종
한자명
金世鍾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3
본적
경상북도 경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9년

공적개요

1919년 3.1운동 후 중국(中國) 봉천성(奉天省) 유하현(柳河縣)으로 망명하여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를 졸업하고 서로군정서(西路軍政署)의 중위(中尉)로 임관되어 1923년경 독립군(獨立軍) 부대와 함께 노령(露領) ‘이만’으로 이동하던 중 혹독한 추위와 굶주림으로 인해 동사(凍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세준
한자명
金世晙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897 ~ 1961
본적
강원도 철원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8년

공적개요

1917년 운남강무당(雲南講武堂)(군관학교(軍官學校))를 졸업한 후 1921. 4월 북경(北京)에서 개최된 군사통일회(軍事統一會)에 미령 포왜국민군(美領布哇國民軍) 대표로 참가하여 군사통일 방안을 협의하는 한편 이승만(李承晩)의 위임통치 청원(委任統治請願) 사실을 비난하고 임시의정원의 해산을 요구하는 결의를 하였으며 1924년 국민대표회의의 결렬후 창조파(創造派)에 속하여 국민위원회 집행위원에 선임되었고 1925년 북경(北京)에서 선두자사(先頭者社) 동인(同人)으로서 항일투쟁에 중국민족과 연대하자는 성명서를 발표하였고 동년 중국군벌 마옥상(中國軍閥溤玉祥)이 설립한 서북군(西北軍) 간부학교에 입학하는 등 활동사실이 확인됨.

김세준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세중
한자명
金世中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4 ~ 1922
본적
경상북도 봉화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09년 7월-8월 권완준 의진(權完俊義陣)에 가담하여 의병 10여 명과 총기로 무장하고 경북(慶北) 봉화군(奉化郡)에서 활동(活動)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세지
한자명
金世智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66 ~ 미상
본적
평안남도 평양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20년 10월 평남 평양에서 대한애국부인회의 간부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독립운동자금을 지원하는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옥고를 치름.

인물정보

성명
김세진
한자명
金世珍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0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0년 광복군 사령부(光復軍司令部) 제3영(第三營) 제1대원(第一隊員)으로서 국내(國內)에서 독립운동(獨立運動)을 하던중 일군(日軍)에게 피체(被逮)되어 피살(被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세진
한자명
金世鎭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미상 ~ 1922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22년 만주(滿洲) 등지(地)에서 대한광복군총영(大韓光復軍總營)의 기관원(機關員)으로 활동(活動)하다가 일군(日軍)에게 피살(被殺)되어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세탁
한자명
金世鐸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74 ~ 1920
본적
평안북도 정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1~1920년까지 105인(人) 사건으로 징역 5년을 받아 3년간 복역한 사실을 비롯하여 만주로 망명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의 재건(再建) 사양여학교(思養女學校)의 설립 시 독립운동에 활약하는 한편 한족회(韓族會) 구정직(區正職)을 맡아 활동하다 왜 헌병(倭憲兵)의 대학살(大虐殺)(경신년(庚申年) 대학살(大虐殺)) 때 참수(斬首) 당함.

인물정보

성명
김세학
한자명
金世學
운동계열
일본방면
생몰년도
1919 ~ 미상
본적
평안북도 의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39년 일본 동경전수대학(日本東京專修大學)에 유학중 동지학생들을 규합하여 항일운동에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형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세용

한자명

金世用

생몰년도

1907 ~ 1966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용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세용

한자명

金世龍

생몰년도

1901 ~ 194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의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세원

한자명

金世元

생몰년도

1870 ~ 1949

운동계열

미주방면

포상훈격

2015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기도 강화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세조

한자명

金世祚

생몰년도

1911 ~ 미상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의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세종

한자명

金世鍾

생몰년도

미상 ~ 1923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9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경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세준

한자명

金世晙

생몰년도

1897 ~ 1961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훈격

1998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철원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세중

한자명

金世中

생몰년도

1874 ~ 1922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봉화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세지

한자명

金世智

생몰년도

1866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남도 평양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세진

한자명

金世珍

생몰년도

미상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세진

한자명

金世鎭

생몰년도

미상 ~ 1922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세탁

한자명

金世鐸

생몰년도

1874 ~ 192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정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세학

한자명

金世學

생몰년도

1919 ~ 미상

운동계열

일본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북도 의주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