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성두
한자명
金成斗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85 ~ 1952
본적
경상남도 밀양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독립의군부(獨立義軍部) 정위(正尉)로 경상남도(慶尙南道) 소모관(召募官)을 역임하였으며 일시 만주(滿洲)로 망명하였다가 다시 국내에서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성득
한자명
金盛得
운동계열
일본방면
생몰년도
1923 ~ 1983
본적
경상남도 김해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3년

공적개요

1942. 10월부터 일본 명고옥시(名古屋市)에서 노동을 하며 하합고등보습학교 야간부(河合高等補習學校夜間部)에 통학하던 중 일본생활에서 한국인에 대한(大韓) 차별대우를 겪으면서 우리민족의 자유화 행복은 독립국가를 건설하는 것 외에 다른 길이 없음을 확신하고 그 목적달성을 위해 동지 3인(人)과 함께 와룡회(臥龍會)를 결성하여 1943. 7월까지 여러 차례의 모임을 갖고 민족독립의식을 고취하며 활동(活動)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2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성련
한자명
金聖鍊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70 ~ 1942
본적
평안남도 개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00년 유인석(柳麟錫)이 거의(擧義)하자 개천(价川) 안주(安州) 박천(博川)등지(地)에서 의병(義兵)을 초모(招募)하고 김두운(金斗運) 김정업(金鼎業)등과 군자금(軍資金)을 모집 지원(募集支援) 하였으며 유인석(柳麟錫)이 패전(敗戰)하여 재 입료시(再入遼時) 지방관속(地方官屬)들의 방해 공작(妨害工作)을 물리치게하고 만주(滿洲)까지 수행(隨行)하여 독립운동(獨立運動)을 위한 정착 기지(定着基地) 마련을 위하여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성렬
한자명
金聖烈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미상 ~ 1909
본적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09년 경남(慶南) 양산군(梁山郡)과 의령군(宜寧郡) 일대에서 서병희(徐炳熙) 의병진(義兵陣)의 차지(次知)로서 활동하다가 의령군 신반시장(新反市場)에서 사망 순국(死亡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성로
한자명
金聲魯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85 ~ 1922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6 전후하여 항일투쟁을 하여왔으며 만주로 망명하여 부민단을 조직하고 군자금모집에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5년형을 받아 복역 중 옥사함

김성로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성로
한자명
金成魯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896 ~ 1936
본적
경상북도 안동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07년 대한제국군인 부위(大韓帝國軍人副尉)로서 군대해산(軍隊解散)을 당(當)하자 국권 회복(國權恢復)을 목적(目的)하여 1912. 3월 만주(滿洲)로 망명(亡命)한 후(後) 통화현(通化縣) 합니하소재(哈泥河所在)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를 수료(修了)한 후(後) 1919년에는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 교관(敎官)으로 임명(任命)되어 3.1운동후(運動後) 국권 회복(國權恢復)을 목적(目的)으로 만주(滿洲)로 망명(亡命)하여 오는 많은 애국 청년(愛國靑年)들을 규합(糾合)하여 독립군(獨立軍)으로 양성(養成)하는데 주력(注力)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성로
한자명
金成魯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3 ~ 1909
본적
전라남도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09. 10. 25 호남(湖南)에서 기의(起義)하여 의병장(義兵將)으로 활약중(活躍中) 부하(部下) 15명을 이끌고 함평(咸平) 강진(江津) 율치(栗峙)에서 일 토벌대(日討伐隊)와 전투중(戰鬪中)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성룡
한자명
金成龍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20 ~ 2007
본적
평안북도 철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44. 10월 중국(中國) 천진(天津)에서 광복군 지하공작책인 조동린(趙東麟)과 접선 초모(招募)되어 현지에서 활동하다가 광복군 제3지대 제1구대에 입대한 바 있어 종전 무렵의 대한민국임시정부 국군으로서 특수임무를 수행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성룡
한자명
金成龍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3 ~ 미상
본적
황해도 해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7년

공적개요

1914년 11월 경성고등보통학교(京城高等普通學校) 부속(附屬) 교원양성소(敎員養成所) 재학 중 이시복(李時馥)과 함께 민족의식과 항일사상을 담은 감상문 모음집을 제작하기로 계획하여 학생 20여 명으로부터 감상문을 받아 『동유지(東遊誌)』를 인쇄‧배포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성륙
한자명
金成六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3 ~ 1908
본적
경상북도 대구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908.1월 의병장(義兵將)으로서 충남(忠南) 공주(公州) 등지에서 군사를 소모(召募)하는 등 활동하던 중 공주(公州)경찰서 일경(日警)과 교전하다 전사(戰死)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성률
한자명
金聖律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67 ~ 미상
본적
황해도 황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일 황해도(黃海道) 황주군(黃州郡) 남천시장에서 마을 주민들과 함께 조선독립만세를 부르며 시위운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성률
한자명
金聲律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20 ~ 1943
본적
황해도 연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41. 1. 1 한국청년전지공작대(韓國靑年戰地工作隊)에서 활동하다가 나월환(羅月煥) 대장과 함께 광복군 제5지대로 편입되고 1942. 6월 중국 중앙전시간부훈련(中央戰時幹部訓練) 제4단 특수총대학원대(特殊總大學員隊) 청년반(靑年班)에 입대 수료한 후 광복군 제2지대에 편성되어 활동하다가 전사 순국하였다 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성두

한자명

金成斗

생몰년도

1885 ~ 1952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밀양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득

한자명

金盛得

생몰년도

1923 ~ 1983

운동계열

일본방면

포상훈격

1993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김해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련

한자명

金聖鍊

생몰년도

1870 ~ 1942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남도 개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렬

한자명

金聖烈

생몰년도

미상 ~ 1909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로

한자명

金聲魯

생몰년도

1885 ~ 1922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로

한자명

金成魯

생몰년도

1896 ~ 1936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안동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로

한자명

金成魯

생몰년도

1863 ~ 1909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룡

한자명

金成龍

생몰년도

1920 ~ 2007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1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철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룡

한자명

金成龍

생몰년도

1893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7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황해도 해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륙

한자명

金成六

생몰년도

1863 ~ 1908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6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대구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률

한자명

金聖律

생몰년도

1867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6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황해도 황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성률

한자명

金聲律

생몰년도

1920 ~ 1943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1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황해도 연백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