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상한
한자명
金商翰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42 ~ 1917
본적
충청북도 제천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05년 11월 기의동지(起義同志)를 규합하여 이운강(李雲崗)을 대장(大將)으로 추대하고 그의 휘하 좌익장(左翼將)으로서 문경지방 전투(聞慶地方戰鬪)에 참가한 후 1907. 3. 1 경북지방(慶北地方)의 의병장(義兵將)이 되어 조령(凋零)에서 교전(交戰) 전과 거양(戰果擧揚)하였으며 1908년 9월까지 전후 4차의 전투에 참가 활동하였고 동년(同年) 10월 공격 실패(攻擊失敗)로 재기(再起) 도모(圖謀) 중 1917년 10월에 사망한 사실이 확인됨.

김상한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상헌
한자명
金祥憲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3 ~ 1945
본적
경상남도 양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3.1운동을 전후(前後)하여 불교계(佛敎界) 대표인 한용운(韓龍雲)을 보좌(補佐) 활동하고 철원애국단(鐵原愛國團)에 가입하여 군자금(軍資金) 모집에 계속 활동하다 징역 3년형을 받음.

김상헌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상헌
한자명
金尙憲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3 ~ 1919
본적
충청남도 천안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19.4.1 충남(忠南) 천안군(天安郡) 갈전면(葛田面) 병천(竝川)장터에서「대한독립(大韓獨立)」이라고 쓴 큰 깃발을 세운 후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장터를 누비고 시위할 때 일군(日軍)들의 야만적 기총 난사(機銃亂射)로 총살(銃殺)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김상헌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상호
한자명
金相顥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01 ~ 미상
본적
경상남도 통영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27년 3월 경남 통영군에서 도평의원 김기정(金淇正)의 친일발언을 규탄하는 징토시민대회의 집행위원으로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4월, 집행유예 3년을 받았으며, 1929년 신간회 통영지회, 통영노동당에서 활동하다 노동당 파업사건에 연루되어 구류됨.

인물정보

성명
김상호
한자명
金相浩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0 ~ 1947
본적
경상남도 산청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 3. 20 오후 2시 경남(慶南) 산청군(山淸郡) 신등면(新等面) 단계리(丹溪里) 시장에 모인 6-7백명의 군중과 더불어 독립만세를 고창하다 피체(被逮)되어 징역 7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상호
한자명
金相浩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미상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63년

공적개요

1945. 6월 광복군(光復軍) 제 3지대에 입대(入隊)하여 활동함.

인물정보

성명
김상환
한자명
金相奐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09 ~ 1977
본적
전라남도 광양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 1926년 11월 광주학생 중심으로 한국독립 및 사회과학연구를 위하여 성진회(醒進會)를 조직에 참가 하였다가 1927년 동회를 형식상 해산하고 2. 1929년 6월 「광주학생독서회(光州學生讀書會)」를 조직하여 주도하였음(동아일보 1930. 10. 10) 3. 1929년 11월 3일 광주학생사건이 발생되자 광주고보 선두에서 시위활약(항일운동사 p112) 하다가 체포되여 금고 4월형을 받음(판결등본제출) 4. 1930년 복역 중 「광주학생독서회(光州學生讀書會)」사건의 발각으로 동회를 주도하였다하여 최고형인 4년 형을 받았음(판결등본, 동아일보 1930. 10. 11, 10. 19)

인물정보

성명
김상후
한자명
金尙厚
운동계열
광복군
생몰년도
1922 ~ 1999
본적
평안북도 철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5. 5. 한국광복군(韓國光復軍) 제3지대(第三支隊)에 입대 1945. 6. 국내(國內) 정진교육훈련반(挺進敎育訓練班)에 편입

인물정보

성명
김상후
한자명
金商厚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69 ~ 1944
본적
전라남도 광양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2년

공적개요

1919. 4. 1 전남(全南) 광양군(光陽郡) 광양읍내(光陽邑內) 장터에서 독립만세시위 참가자에 대한 일헌병의 검색에 반대하고 30 여 군중에게 독립만세운동의 당위성과 독립사상을 고취하다 피체되어 징역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상훈
한자명
金相勳
운동계열
학생운동
생몰년도
1928 ~ 2015
본적
경상남도 산청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0년

공적개요

1944년 경남(慶南) 진주공립중학교(晋州公立中學校) 재학 중 강필진(姜必鎭) 등과 광명회(光明會)를 조직하여 ‘조선의 역사를 공부하고 토론하며 졸업 후 독립군에 가입하자’는 결의를 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동년(同年) 9월 23일 진해비행장 건설공사 강제노역 중 체포(逮捕)되어 1945년 6월 7일 기소 결정(起訴決定)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상훈
한자명
金相勛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9 ~ 미상
본적
함경북도 명천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7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15일 함북(咸北) 명천군(明川郡) 화대시장(花臺市場)에서 1천여 명의 군중과 함께 태극기를 흔들며 대한독립 만세(大韓獨立萬歲)를 고창(高唱)하고 동군(同郡) 하가면사무소(下加面事務所)로 몰려가 면장에게 같이 만세를 고창(高唱)할 부를 것을 권유하다 체포(逮捕)되어 징역 10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상훈
한자명
金相壎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8 ~ 1967
본적
경상남도 통영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20년

공적개요

1927년 5월 경남 통영군에서 조선인 보통교육 반대 등을 주창한 도평의원 김기정(金淇正)을 성토하는 시위에 참여하여 김기정의 고소로 체포된 이들의 석방을 요구하고, 김기정의 집을 공격하다 체포되어 징역 10월을 받음.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상한

한자명

金商翰

생몰년도

1842 ~ 1917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제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헌

한자명

金祥憲

생몰년도

1893 ~ 1945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양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헌

한자명

金尙憲

생몰년도

1893 ~ 1919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천안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호

한자명

金相顥

생몰년도

1901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상남도 통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호

한자명

金相浩

생몰년도

1880 ~ 1947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산청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호

한자명

金相浩

생몰년도

미상 ~ 미상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63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환

한자명

金相奐

생몰년도

1909 ~ 1977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광양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후

한자명

金尙厚

생몰년도

1922 ~ 1999

운동계열

광복군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철산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후

한자명

金商厚

생몰년도

1869 ~ 194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광양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훈

한자명

金相勳

생몰년도

1928 ~ 2015

운동계열

학생운동

포상훈격

2010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산청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훈

한자명

金相勛

생몰년도

1879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7건국포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함경북도 명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상훈

한자명

金相壎

생몰년도

1898 ~ 1967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2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통영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