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김사봉
한자명
金思鳳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1943
본적
강원도 원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9일 강원도(江原道) 원주군(原州郡) 지정면(地正面) 안창리(安昌里) 후방의 산중에서 수명의 리민(里民)과 함께 조선독립만세를 고창하였다가 체포되어 징역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사용
한자명
金思容
운동계열
계몽운동
생몰년도
1883 ~ 1941
본적
경상북도 상주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1년

공적개요

1909년 안희제(安熙濟) 김동삼(金東三) 이원직(李元稙) 등과 대동청년당(大同靑年黨)을 조직하고 1919년 서울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피체되어 면소(免訴)되었으며 1923.3월 의열단원(義烈團員)인 김시현(金始顯)이 중국(中國) 상해(上海) 천진(天津) 등지에서 조선총독부(朝鮮總督府) 요로(要路) 고관(高官)과 일제 기관(日帝機關) 등의 파괴용 살인용 폭탄을 반입하는 거사에 참여한 사실이 확인됨.

김사용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사용
한자명
金四用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6 ~ 1960
본적
경상남도 의령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3.16 경남(慶南) 의령군(宜寧郡) 지정면(芝正面) 두곡리(杜谷里) 장날에 운집한 군중과 같이 독립만세를 고창하다 피체되어 징역1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김사용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사응
한자명
金思應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3 ~ 1922
본적
충청남도 홍성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9년 4월경 충남 홍성군 홍동면의 독립만세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태 30도를 받음.

김사응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사정
한자명
金思鼎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7 ~ 1942
본적
강원도 원주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6년

공적개요

1895년 11월(음) 안승우(安承禹), 이춘영(李春永)이 원주(原州)에서 의병을 일으켰을 때 총독 소모장(總督召募將)으로 임명되었고, 1896년에는 유인석(柳麟錫)에게 거의(擧義)에 대한 명분(名分)과 방법(方法)을 헌책(獻策)하였으며, 동년(同年) 2월 4일 원주(原州)에서 군사(軍士)를 소모(召募)해서 제천(堤川)으로 돌아왔고 3월 26일에는 별모장(別募將) 이필희(李弼熙)가 모은 포수(砲手)와 영동(嶺東)에서 온 군사를 거두어 진중(陣中)으로 돌아왔고, 4월 11일에는 황석촌(黃石村)에서 선봉(先鋒) 손영국(孫永國)과 함께 적군(敵軍)을 맞아 싸운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사진
한자명
金泗振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63 ~ 미상
본적
평안남도 덕천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6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5일 평남(平南) 덕천군(德川郡) 풍덕면(豊德面) 신덕리(新德里)에서 마을 주민 수십명과 함께 독립만세를 고창하고 독립선언서 100매를 시장 등지에 살포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사집
한자명
金思潗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886 ~ 1936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5년 북경(北京)에서 신채호(申采浩)와 같이 문필(文筆)로 활동하다 항주(杭州) 상해(上海) 등지에서 한국독립당(韓國獨立黨)을 조직하여 ‘진광(震光)’지(紙)를 발간(發刊) 편집(編輯) 기고(寄稿)하며 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사현
한자명
金士賢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88 ~ 미상
본적
충청남도 공주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19년 3월 24일 충남 공주군 공주면 영명학교(永明學校)에서 현석칠(玄錫七), 이규상(李圭尙) 등과 함께 같은 해 4월 1일 공주시장 장날을 이용하여 독립만세운동을 계획하고 운동에 참여하여 활동하다 체포되어 무죄를 받음.

인물정보

성명
김사홍
한자명
金仕홍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83 ~ 1945
본적
전라남도 완도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05년 국권침탈 후(國權侵奪後) 일제(日帝)는 토지 수탈(土地收奪)의 방법(方法)으로 토지 조사(土地調査)를 실시(實施)하고 소안면 토지소유권(所安面土地所有權)을 왕실(王室)인 이기용(李琦鎔)에게 귀속(歸屬)시킨바 있는데 면민대표(面民代表) 4인중 1인(人)이 되어 반환청구소(返還請求訴)를 제기(提起)하고 13년에 걸친 일제(日帝)와의 투쟁(鬪爭)끝에 승소(勝訴)한 주동자(主動者)로서 활동(活動)하였으며 승소 기념(勝訴紀念)으로 의연금(義捐金) 10,400원(圓)을 모집(募集)하여 소안학교(所安學校)를 설립(設立)하고 동교 교장(同校校長)으로 취임(就任)하여 인재양성(人材養成)을 위하여 주력(注力)하다가 이 학교(學校)를 일제(日帝)가 강제 폐교(强制廢校)시키자 이에 강력(强力)하게 항의(抗議)한 사실이 확인됨.

김사홍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김산
한자명
金山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8 ~ 1984
본적
함경북도 종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년 3.1운동으로 징역6월형을 받고 1919.10.6 형집행정지(刑執行停止)로 출옥하였으나 그 후 계속된 활동으로 재체포(再逮捕)되어 잔형(殘刑)을 집행받아 1920.12.1 출옥된바 있어 통산 1년6월형을 활동하였으며 수 차에 걸친 기독교 강연으로 민족의식을 고취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김산륜
한자명
金山倫
운동계열
중국방면
생몰년도
1919 ~ 1943
본적
평안북도 미상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01년

공적개요

1939년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에 참가(參加)하여 활동(活動)하였으며, 1942년 이후 조선의용군(朝鮮義勇軍)에 속(屬)하여 1943년 4월 진서북군구(晉西北軍區)에서 일본군(日本軍)과 전투 중 전사 순국(戰死殉國)한 사실(事實)이 확인(確認)됨.

인물정보

성명
김산해
한자명
金山海
운동계열
만주방면
생몰년도
1900 ~ 1970
본적
함경북도 부령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17년

공적개요

1926년 1월 중국(中國) 연길현(延吉縣)에서 동진청년회(東震靑年會) 부회장 겸 교육부장, 1928년 1월 재동만조선청년총동맹(在東滿朝鮮靑年總同盟) 중앙집행위원(中央執行委員)을 역임하고, 동년(同年) 5월 고려공산청년회(高麗共産靑年會) 만주총국(滿洲總局) 동만도(東滿道)에 들어가 용정군(龍井郡) 동성용(東盛湧) 세포원으로 활동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을 받음.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김사봉

한자명

金思鳳

생몰년도

1896 ~ 194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원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사용

한자명

金思容

생몰년도

1883 ~ 1941

운동계열

계몽운동

포상훈격

199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상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사용

한자명

金四用

생몰년도

1896 ~ 1960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의령

자세히 보기

성명

김사응

한자명

金思應

생몰년도

1883 ~ 1922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홍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사정

한자명

金思鼎

생몰년도

1867 ~ 1942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1996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강원도 원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사진

한자명

金泗振

생몰년도

1863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6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평안남도 덕천

자세히 보기

성명

김사집

한자명

金思潗

생몰년도

1886 ~ 1936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김사현

한자명

金士賢

생몰년도

1888 ~ 미상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19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공주

자세히 보기

성명

김사홍

한자명

金仕홍

생몰년도

1883 ~ 1945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완도

자세히 보기

성명

김산

한자명

金山

생몰년도

1898 ~ 1984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북도 종성

자세히 보기

성명

김산륜

한자명

金山倫

생몰년도

1919 ~ 1943

운동계열

중국방면

포상훈격

2001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평안북도 미상

자세히 보기

성명

김산해

한자명

金山海

생몰년도

1900 ~ 1970

운동계열

만주방면

포상훈격

2017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함경북도 부령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