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산아카데미 역사기록 백과사전

인물별 검색

TOTAL. 17,824

인물정보

성명
이종춘
한자명
李鍾春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57 ~ 1931
본적
서울 서울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2007년

공적개요

1919년 11월 서울에서 대동단원(大同團員) 이신애(李信愛)의 권유로 김상설(金商說), 김익하(金益夏)와 함께 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의 노인대표자(老人代表者)로 서명하고 체포(逮捕)되어 징역 8월에 집행유예(執行猶豫) 2년(미결구류(未決拘留) 200일 통산(通算))을 받고 옥고(獄苦)를 치른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종춘
한자명
李鍾春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54 ~ 1931
본적
전라남도 구례
포상훈격
건국포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 3월 파리강화회의에 한국독립을 호소하기 위하여 김창숙(金昌淑) 등이 유림대표(儒林代表)가 되어 작성한 독립청원서에 유림(儒林)의 한 사람으로 서명(署名)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종출
한자명
李鍾出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0 ~ 1966
본적
경상북도 의성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 3. 15 의성군(義城郡) 거사계획을 모의하며 주동적인 시위독립운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형을 받았으며, 인도공의소(人道公議所)에 가입하여 군자금모집 등 항일활동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종칠
한자명
李鍾七
운동계열
의병
생몰년도
1864 ~ 미상
본적
충청남도 천안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2008년

공적개요

1909년 음력(陰曆) 8월 충북(忠北) 청주(淸州)에서 한봉서 의진(韓鳳瑞義陣)에 가담하여 일군(日軍) 밀정(密偵)을 처단하는 등 활동하다가 체포(逮捕)되어 징역 5년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종태
한자명
李鍾泰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6 ~ 2000
본적
경상북도 경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44. 7월 일제(日帝)의 징용(徵用) 징병제도(徵兵制度)를 반대(反對)하여 29명(名)의 동지(同志)들과 함께 대왕산(大王山)에 입산 집결(入山集結)하여 죽창(竹槍)과 투석(投石)으로 무장(武裝)하고 집단 항거(集團抗拒)하다 피체(被逮)되어 옥고(獄苦)를 치른 일제 말기(日帝末期)의 집단(集團) 의거(義擧)로서 특별(特別) 공적(功績)이 인정(認定)됨.

이종태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종택
한자명
李鍾澤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896 ~ 1963
본적
전라북도 고창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0년

공적개요

1919년 고창군(高敞郡) 성내면(星內面) 3.1독립만세 운동(獨立萬歲運動)에 참여(參與)하고 독립선언서(獨立宣言書)와 취지서 등(趣旨書等)을 인쇄(印刷) 살포(撒布)하여 전북독립운동감독부(全北獨立運動監督府) 재무책(財務責)으로 상해 임시정부(上海臨時政府) 군자금 모집(軍資金募集)에 활동(活動)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종필
한자명
李鍾弼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98 ~ 1968
본적
경상남도 울산
포상훈격
애족장
포상년도
1994년

공적개요

1919. 4. 4~5일에 걸쳐 경남 울산군 병영면(兵營面)에서 이현우(李鉉禹), 이종근(李鍾根), 이문조(李文祚) 외 여러 동지들과 함께 독립만세시위운동을 일으킬 것을 계획, 일신학교 부근에 모여 ‘대한독립만세’라고 쓴 깃발을 흔들고 독립만세를 고창하며 큰 길과 성둑으로 행진하다가 피체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종필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종필
한자명
李鍾弼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1914 ~ 미상
본적
경기도 진위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2019년

공적개요

1932년 5월 평남 평양사범학교를 중심으로 조선공산청년학생회를 조직하여 반일선전문을 작성·배포하고, 같은 해 9월 경기도 평택에서 평택노농협의회를 조직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 체포되어 징역 1년 6월을 받았으며, 1937년 8월 최웅진(崔雄鎭) 등과 중일전쟁과 일본의 패전을 언급하여 민족의식을 고취하다 체포되어 징역 2년 6월을 받음.

인물정보

성명
이종하
한자명
李鍾夏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5 ~ 1948
본적
충청북도 진천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05년

공적개요

1919년 4월 2일 충북(忠北) 진천군(鎭川郡) 백곡면(栢谷面) 성대리(城大里)의 자택에서 공시삼(孔時三)의 권유에 따라 석현리(石峴里) 시장에서 마을 주민들을 선동하여 선전물 등을 준비케하고 대한독립만세를 고창하는 등의 활동을 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8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종학
한자명
李鍾學
운동계열
의열투쟁
생몰년도
1869 ~ 1907
본적
충청남도 금산
포상훈격
애국장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을사조약 후 1907년 나인영(羅寅永) 등과 함께 을사5적을 주살하기 위해 활동(活動)하다가 피체(被逮)되어 교형(絞刑) 순국(殉國)한 사실이 확인됨.

인물정보

성명
이종학
한자명
李鍾學
운동계열
3.1운동
생몰년도
1879 ~ 1943
본적
경상북도 청도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1995년

공적개요

1919. 5. 7 경북(慶北) 청도군(淸道郡) 대성면(大城面) 유호동(楡湖洞)에서 이종현(李鍾鉉)이 일본인에게 부상당하는 일이 발생하자 300여명의 군중과 함께 일본인 3명을 구타하는 등 활동(活動)하다가 피체(被逮)되어 징역 4월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이종학의 발자취

인물정보

성명
이종한
한자명
李琮漢
운동계열
국내항일
생몰년도
미상 ~ 미상
본적
미상
포상훈격
대통령표창
포상년도
2012년

공적개요

1920년 음력(陰曆) 11월경 서울에서 정인호(鄭寅琥) 등이 조직한 구국단(救國團)에 가입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에 제공할 군자금 모집을 촉구하는 문서를 인쇄하다가 체포되어 징역 8월(미결구류(未決拘留) 90일 산입(算入))을 받은 사실이 확인됨.
성명 한자명 생몰년도 운동계열 포상훈격 생존여부 본적 보기

성명

이종춘

한자명

李鍾春

생몰년도

1857 ~ 1931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07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서울 서울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춘

한자명

李鍾春

생몰년도

1854 ~ 1931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건국포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남도 구례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출

한자명

李鍾出

생몰년도

1890 ~ 1966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의성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칠

한자명

李鍾七

생몰년도

1864 ~ 미상

운동계열

의병

포상훈격

2008애족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충청남도 천안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태

한자명

李鍾泰

생몰년도

1916 ~ 2000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경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택

한자명

李鍾澤

생몰년도

1896 ~ 1963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1990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전라북도 고창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필

한자명

李鍾弼

생몰년도

1898 ~ 1968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4애족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남도 울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필

한자명

李鍾弼

생몰년도

1914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9애국장

생존여부

미상

본적

경기도 진위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하

한자명

李鍾夏

생몰년도

1875 ~ 1948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200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북도 진천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학

한자명

李鍾學

생몰년도

1869 ~ 1907

운동계열

의열투쟁

포상훈격

1995애국장

생존여부

사망

본적

충청남도 금산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학

한자명

李鍾學

생몰년도

1879 ~ 1943

운동계열

3.1운동

포상훈격

1995대통령표창

생존여부

사망

본적

경상북도 청도

자세히 보기

성명

이종한

한자명

李琮漢

생몰년도

미상 ~ 미상

운동계열

국내항일

포상훈격

2012대통령표창

생존여부

미상

본적

미상

자세히 보기